본 연구의 목적은 본질적으로 추구하는 궁극적 목적과 연구를 실현할 수 있는 수행 목적으로 구분하였다. 수행 목적은 본 연구가 다년간의 연구이기 때문에 1년차 연구와 2년차 연구의 수행 ...
본 연구의 목적은 본질적으로 추구하는 궁극적 목적과 연구를 실현할 수 있는 수행 목적으로 구분하였다. 수행 목적은 본 연구가 다년간의 연구이기 때문에 1년차 연구와 2년차 연구의 수행 목적으로 분리하였다.
본 연구의 궁극적 목적은 두 가지이다. 먼저 수업 시연 평가에서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평가 기준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기존의 수업 시연 평가에서 총괄적이고 경험적인 평가 기준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이를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평가 기준안을 마련하는 것이 본 연구의 첫 번째 궁극적 목적이다. 본 연구가 추구하는 또 하나의 궁극적 목적은 중등교원임용시험을 준비하는 예비교사의 수업 시연 능력을 신장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이다. 마련된 수업 시연 언어ㆍ행동 기준을 바탕으로 예비 교사들의 수업 시연 장면을 동영상으로 촬영하고, 그것을 분석하여 예비교사들에게 자신의 발표 시 문제점들에 대하여 피드백을 하면서 예비교사들의 수업 시연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본 연구의 배경이자 두 번째 궁극적 목적이다.
다음으로 본 연구의 수행적 목적을 연차별로 분리하였는데, 연구 1년차의 수행 목적은 학습자의 발표 동영상 데이터베이스를 수집하여 이에 대한 양적 분석을 통하여 수업 시연 언어와 수업 시연 행동에 대한 기준 요소들을 추출하는 것이다. 그리고 수업 시연 언어와 행동에 대한 기준안을 마련하고, 이에 대한 현장 적용 활동을 2년차 연구 수행의 목적으로 한다. 곧, 1년차에 마련된 수업 시연 언어ㆍ행동 기준안을 점검하고 교실 현장에서 학습자들에게 직접적으로 적용하여 도움을 두는 것이 2년차 연구의 수행 목적이다.
1년차 연구 목적이 예비교사들의 수업 시연 발표 동영상을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업 시연 언어ㆍ행동 기준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 연구 목적을 완수하기 위해서 양적 연구 방법과 설문 조사 방법을 이용하였다.
2년차 연구는 1년차의 연구 결과물인 수업 시연 언어ㆍ행동 기준안을 가지고, 학습자(예비교사)들에게 이를 적용하여 검증하는 실험 관찰 연구이다. 이 연구에는 학습자의 수업 시연 능력의 변화를 관찰해야 하기 때문에 주로 학습자 관찰을 통한 질적 연구 방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물을 본 연구자의 강의에 직접적으로 반영하여 수행한 연구 결과 모두 국어과 예비교사들의 수업 시연 능력에 발전적 변화를 가져왔다. 강의를 통해 국어과 예비교사들의 수업 시연 동영상 자료를 확보하고, 해당 예비교사들에게 나름의 수업 시연 관련 정보와 피드백을 수행한 결과 수강 학생들은 자신의 수업 시연 변화의 모습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