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상 기록의 수행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the Performativity of Documentation via the Moving Ima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193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uring the 2000s, the boundaries between documentary films and artworks using record images became blurred, and convergence and transformation among genres have prevailed. This study aims to describe the new topography of documentation via the moving image through its two orientations considering the concept of performativity as an enhancement for both. The two image recording orientations used here originate from the desire for conservation and possession. Conservation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value of records accomplished by observations and indexical images, while possession is disregarded as a residual characteristic in the mainstream of visual documentation, in which an agent of record is reflected. Documentation via the moving image, which is executed between the two conflicting desires, is performative. Performativity, referring to the acts of being fermented and created only through production and without an objective reference to authenticity illuminates the behavioral aspects of image recording and provides a conceptual basis demonstrating the value of its possessive characteristic. This study critically examines the research by Stella Bruzzi, who asserted that documentary production is a performative act, and attempts to complement the notion of performativity in documentation via the moving image through the temporary and incidental properties of image recording, which it is felt she overlooked. According to Erika Fischer-Lichte, temporary and incidental properties are prerequisites of performativity during performances. With an analysis of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image record and performance and a reconsideration of performativity by John L. Austin, who discovered the concept, this study intends to reexamine the performativity of documentation via the moving image. In addition, based on the idea of Austin, who saw the subject of the utterer and the world of customs as the conditions under which performative utterance is properly put into effect, conservation and possession in image recording are repositioned into a new relationship of thesis-antithesis-synthesis.
      번역하기

      During the 2000s, the boundaries between documentary films and artworks using record images became blurred, and convergence and transformation among genres have prevailed. This study aims to describe the new topography of documentation via the moving ...

      During the 2000s, the boundaries between documentary films and artworks using record images became blurred, and convergence and transformation among genres have prevailed. This study aims to describe the new topography of documentation via the moving image through its two orientations considering the concept of performativity as an enhancement for both. The two image recording orientations used here originate from the desire for conservation and possession. Conservation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value of records accomplished by observations and indexical images, while possession is disregarded as a residual characteristic in the mainstream of visual documentation, in which an agent of record is reflected. Documentation via the moving image, which is executed between the two conflicting desires, is performative. Performativity, referring to the acts of being fermented and created only through production and without an objective reference to authenticity illuminates the behavioral aspects of image recording and provides a conceptual basis demonstrating the value of its possessive characteristic. This study critically examines the research by Stella Bruzzi, who asserted that documentary production is a performative act, and attempts to complement the notion of performativity in documentation via the moving image through the temporary and incidental properties of image recording, which it is felt she overlooked. According to Erika Fischer-Lichte, temporary and incidental properties are prerequisites of performativity during performances. With an analysis of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image record and performance and a reconsideration of performativity by John L. Austin, who discovered the concept, this study intends to reexamine the performativity of documentation via the moving image. In addition, based on the idea of Austin, who saw the subject of the utterer and the world of customs as the conditions under which performative utterance is properly put into effect, conservation and possession in image recording are repositioned into a new relationship of thesis-antithesis-synthesi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2000년대를 전후하여 기록적 영상을 사용하는 영화와 미술작품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장르 간의 융합과 변형이 빈번하게 나타난다. 이 연구는 영상 기록의 새로운 지형을 영상 기록이 가진 두 지향성과 둘 사이를 조율하는 수행성의 개념을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영상 기록의 두 지향성은 보존과 소유의 욕망에서 비롯되어, 보존은 지표적 실사영상, 관찰자적 태도를 통해 성취되며 기록물의 가치와 직결되었고, 소유는 기록 주체가 반영되는 특질이자 주류의 영상 기록에서 잉여적 특질로 폄하되어 왔다. 두 상충하는 욕망 사이에서 실행되는 영상 기록은 수행적이다. 진위를 판별할 객관적 참조 대상 없이, 오직 수행됨을 통해 발효되고 창출됨을 의미하는 수행성은 기록의 행위적 측면을 조명하며 영상 기록이 가진 소유적 특징의 가치를 증명할 개념적 토대를 제공한다. 이 연구는 다큐멘터리 제작을 수행적 행위라고 주장한 브루지의 연구를 비판적으로 고찰하여, 그가 간과한 영상 기록의 일회성과 사건성을 통해 영상 기록의 수행성 개념을 보완하고자 한다. 피셔-리히테에 의하면, 일회성과 사건성은 퍼포먼스 공연에서 수행성이 발현되는 전제조건이다. 본 연구는 영상 기록과 퍼포먼스의 유사성을 분석하고, 수행성을 최초로 정의한 오스틴의 언어철학적 개념을 재고하여 영상 기록의 수행성을 재규명한다. 또한, 발화자라는 주체와 관습이라는 세계를 수행문이 적절하게 발효되는 조건으로 본 오스틴의 연구로부터 착안하여, 영상 기록의 보존과 소유의 특징을 새로운 정반합의 관계로 재배치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2000년대를 전후하여 기록적 영상을 사용하는 영화와 미술작품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장르 간의 융합과 변형이 빈번하게 나타난다. 이 연구는 영상 기록의 새로운 지형을 영상 기록이 가진 두...

      2000년대를 전후하여 기록적 영상을 사용하는 영화와 미술작품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장르 간의 융합과 변형이 빈번하게 나타난다. 이 연구는 영상 기록의 새로운 지형을 영상 기록이 가진 두 지향성과 둘 사이를 조율하는 수행성의 개념을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영상 기록의 두 지향성은 보존과 소유의 욕망에서 비롯되어, 보존은 지표적 실사영상, 관찰자적 태도를 통해 성취되며 기록물의 가치와 직결되었고, 소유는 기록 주체가 반영되는 특질이자 주류의 영상 기록에서 잉여적 특질로 폄하되어 왔다. 두 상충하는 욕망 사이에서 실행되는 영상 기록은 수행적이다. 진위를 판별할 객관적 참조 대상 없이, 오직 수행됨을 통해 발효되고 창출됨을 의미하는 수행성은 기록의 행위적 측면을 조명하며 영상 기록이 가진 소유적 특징의 가치를 증명할 개념적 토대를 제공한다. 이 연구는 다큐멘터리 제작을 수행적 행위라고 주장한 브루지의 연구를 비판적으로 고찰하여, 그가 간과한 영상 기록의 일회성과 사건성을 통해 영상 기록의 수행성 개념을 보완하고자 한다. 피셔-리히테에 의하면, 일회성과 사건성은 퍼포먼스 공연에서 수행성이 발현되는 전제조건이다. 본 연구는 영상 기록과 퍼포먼스의 유사성을 분석하고, 수행성을 최초로 정의한 오스틴의 언어철학적 개념을 재고하여 영상 기록의 수행성을 재규명한다. 또한, 발화자라는 주체와 관습이라는 세계를 수행문이 적절하게 발효되는 조건으로 본 오스틴의 연구로부터 착안하여, 영상 기록의 보존과 소유의 특징을 새로운 정반합의 관계로 재배치하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이진, "영상 기록의 보존과 소유의 수행적 특성에 관한 연구 – 본인의 영상작품을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2 김정숙, "수행성의 미학 : 현대예술의 혁명적 전환과 새로운 퍼포먼스 미학" 문학과지성사 2017

      3 권하윤, "불멸사랑" 일민미술관 2015

      4 권하윤, "불멸사랑" 일민미술관 2019

      5 Heider, K. G, "민족지 영화: 영상인류학에의초대" 일신사 1992

      6 Austin, J. L, "말과 행위" 서광사 1992

      7 서현석, "다큐멘터리와 아방가르드의 접점에서 -수행적 다큐멘터리에 관한 수행적 단상들-" 한국영화학회 (43) : 229-271, 2010

      8 Nichols, B, "다큐멘터리 입문" 한울아카데미 2005

      9 Schneider, A, "Three modes of experimentation with art and ethnography" 14 (14): 171-194, 2008

      10 Lebow, A, "The cinema of me: The self and subjectivity in first person documentary" Columbia University Press 1-10, 2012

      1 김이진, "영상 기록의 보존과 소유의 수행적 특성에 관한 연구 – 본인의 영상작품을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2 김정숙, "수행성의 미학 : 현대예술의 혁명적 전환과 새로운 퍼포먼스 미학" 문학과지성사 2017

      3 권하윤, "불멸사랑" 일민미술관 2015

      4 권하윤, "불멸사랑" 일민미술관 2019

      5 Heider, K. G, "민족지 영화: 영상인류학에의초대" 일신사 1992

      6 Austin, J. L, "말과 행위" 서광사 1992

      7 서현석, "다큐멘터리와 아방가르드의 접점에서 -수행적 다큐멘터리에 관한 수행적 단상들-" 한국영화학회 (43) : 229-271, 2010

      8 Nichols, B, "다큐멘터리 입문" 한울아카데미 2005

      9 Schneider, A, "Three modes of experimentation with art and ethnography" 14 (14): 171-194, 2008

      10 Lebow, A, "The cinema of me: The self and subjectivity in first person documentary" Columbia University Press 1-10, 2012

      11 Bruzzi, S, "New Documentary: A Critical Introduction" Routledge 2000

      12 Butler, J, "Gender Trouble: Feminism and the Subversion of Identity" Routledge 1990

      13 Rothman, W, "Documentary film class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14 Plantinga, C, "Documentary" Whitechapel Gallery and The MIT Press 52-62, 2005

      15 Roe, A. H, "Animated documentary" Springer 2013

      16 이기중, "<어느 여름의 기록>(Chronique d’un été)>(1961)를 통해서 본 ‘시네마 -베리테(cinéma-vérité)’의 의미" 현대영화연구소 7 (7): 297-324,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8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Society Of Image Art And Media -> The Korean Society Of Media & Art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5 0.35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3 0.32 0.515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