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10년대 국내 독립운동사 연구의 동향과 과제 -2000년대의 연구를 중심으로- = Tendencies and Tasks of the Researches about Korean Internal independence Movements in 1910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bstract Tendencies and Tasks of the Researches about Korean Internal Independence Movements in 1910s Yoon, Kyung-ro Recently researches on the Korean internal independence movements in 1910s have been made prosperously. So we could understan...

      ■Abstract Tendencies and Tasks of the Researches about Korean Internal Independence Movements in 1910s

      Yoon, Kyung-ro



      Recently researches on the Korean internal independence movements in 1910s have been made prosperously. So we could understand various aspects of them. Activities, leaders, ideologies, policies, and characteristics of them became known to us.
      Characteristics of researches on the Korean internal independence movements in 1910s have been studied during 2000s are as follow. First of all, studies about Chae Eung-eon loyal resistance troops and secret societies as Daehan Gwangbokhoe(大韓光復會), Taeeulgyo(太乙敎), and Chunglimgyo(靑林敎) have been presented. Next, researches about educational activities of the Christian religion and the Cheondogyo, and them of cultural movements for inspiring national spirit have been carried out. Finally, studies of national movements had been happened in the provinces of Korea have been carried out.
      In spite of many researches, we have a lot of task. In the future. First, we need to study about members of the organizations and societies for Korean Liberation. Second, it is necessary for us to study of characteristics and relations of members of them. Third, we have necessity to study of meaning of educational activities by religion organizations and schools. Fourth, we need to study of the attitudes of Koreans about Korean independence movements. Fifth, it is necessary to study connection between internal independence movement organizations and independence movement organizations. Finally, we need to study an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nal independence movements in 1910s and 3ㆍ1 Move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국문요약1910년대 국내 독립운동사 연구의 동향과 과제-2000년대의 연구를 중심으로-윤경로 이 글은 2000년대에 행해진 1910년대의 국내독립운동에 대한 연구의 성과를 분석하여 정리한 ...

      ■국문요약1910년대 국내 독립운동사 연구의 동향과 과제-2000년대의 연구를 중심으로-윤경로

      이 글은 2000년대에 행해진 1910년대의 국내독립운동에 대한 연구의 성과를 분석하여 정리한 글이다. 이 시기의 연구는 크게 세 가지의 측면에서 두드러진다. 첫째 대한광복회를 비롯한 비밀결사의 조직과 활동에 대한 연구가 눈에 띄게 진척되었다. 둘째 독립운동의 기저로서 교육운동과 천도교를 비롯한 민족종교단체의 역량, 민족정신을 고취하기 위한 문화적 활동에 대한 천착이 이루어졌고, 독립운동의 배경으로서 일제의 지배이데올로기와 통치정책, 통치제도와 통치기구, 통치사업에 대한 연구에서 상당한 발전이 있었다. 셋째 지방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관심이 제고되면서 1910년대 지방의 독립운동에 관한 글이 여러 편 발표되었다.
      1910년대 대표적 비밀결사인 대한광복회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의 결과, 대한광복회의 정식 명칭에 대한 재고가 있었고, 대한광복회의 지부의 조직과 활동이 구명되었다. 또, 본부의 박상진과 채기중 뿐만 아니라, 지부의 이관구와 조현균 등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졌다. 아울러 민족종교인 태을교와 청림교의 비밀결사 조직과 군자금 모집 활동이 밝혀졌다.
      1910년대 독립운동의 기반, 혹은 민족운동의 역량과 관련된 연구로는 무엇보다도 교육 활동에 대한 연구가 눈에 띈다. 종교단체와 자치단체의 사립학교와 강습소를 통한 교육운동에 대한 글이 다수 발표되었다. 다음으로는 민족의식의 형성과 관련하여, 개조론, 문화사학, 영웅 만들기 등에 대한 글이 새롭게 소개되었다.
      독립운동의 원인이 되는 일제의 지배와 관련된 연구로는 일제의 지배이데올로기와 통치정책, 통치제도, 통치기구, 통치사업에 관련된 연구가 있었다. 그리하여 일제가 동화, 군사기지화, 경제예속화의 목표 하에 여러 가지 사업을 전개하였고, 근대화ㆍ문명화를 내세우며 한인들을 예속시키려 하였음이 다시금 강조되었다. 그리고 일본시찰단, 상공회의소, 문화재 조사사업, 태형령 등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졌다. 특히 부산을 비롯한 경상도, 그리고 전라도의 지배와 통치에 관한 글이 다수 발표된 점을 주목할 만하다.
      지방의 1910년대 국내독립운동에 대한 연구는 경북에서 특히 활발히 이루어졌다. 김희곤을 비롯한 연구자들은 안동ㆍ영덕 등 경북 출신 인물의 비밀결사활동과 교육운동을 검토하였다. 새로운 방식의 연구로서, 연구독립운동을 전개한 가문이 영향력을 행사하였던 한 마을을 사회경제적으로 조사하여 독립운동 가문의 독립운동과 해외 이주로 인해 마을의 사회계층의 변화가 발생하였음을 입증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 성과에도 불구하고 1910년대 국내독립운동에 대한 연구는 앞으로도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다. 첫째, 지방의 독립운동과 그 주도인물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현재 시ㆍ군의 독립운동에 관심을 갖는 자치단체는 소수이고, 그 수준도 매우 열악한 상태이다. 따라서 대다수 시ㆍ군의 독립운동에 관한 보다 더 큰 관심과 후원이 요구된다.
      둘째, 독립운동단체 구성원들의 정치ㆍ경제ㆍ사회ㆍ사상적 기반을 규명하기 위한 입체적 유기적 연구가 행해져야 할 것이다. 즉, 그들이 그 단체에 참여한 배경을 이해하기 위하여, 이들의 혈연과 학연, 정치적 경험의 공유 문제, 정치 이념 등을 통합적으로 고찰하고, 종합적으로 연구하는 것이 요구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종해, "항일구국운동의 원조 대한광복회 총사령장 朴尙鎭 의사" 12 : 2006

      2 강만길, "한국민족해방투쟁사 연구현황과 과제 , 한국근현대연구입문" 역사비평사 1988

      3 조동걸, "한국민족주의운동의 발전과 독립운동연구" 지식산업사 1993

      4 조동걸, "한국독립운동의 지역적 특성" 7 : 1993

      5 조동걸, "한국독립운동의 시기별 특성" 8 : 1994

      6 김창수, "한국독립운동사의 연구사적 검토" 6 : 1991

      7 박중훈, "풍기광복단의 명칭과 1916년 재흥설 검토" 5 : 2000

      8 권보드래, "진화론의 갱생, 인류의 탄생 ―1910년대의 인식론적 전환과 3․1 운동" 대동문화연구원 66 (66): 223-253, 2009

      9 김호일, "일제하 대한광복단의 역사적 위상" 70 : 2004

      10 성주현, "일제강점기 민족종교의 비밀결사와 독립운동자금 모금운동" 한국민족운동사학회 (56) : 147-188, 2008

      1 박종해, "항일구국운동의 원조 대한광복회 총사령장 朴尙鎭 의사" 12 : 2006

      2 강만길, "한국민족해방투쟁사 연구현황과 과제 , 한국근현대연구입문" 역사비평사 1988

      3 조동걸, "한국민족주의운동의 발전과 독립운동연구" 지식산업사 1993

      4 조동걸, "한국독립운동의 지역적 특성" 7 : 1993

      5 조동걸, "한국독립운동의 시기별 특성" 8 : 1994

      6 김창수, "한국독립운동사의 연구사적 검토" 6 : 1991

      7 박중훈, "풍기광복단의 명칭과 1916년 재흥설 검토" 5 : 2000

      8 권보드래, "진화론의 갱생, 인류의 탄생 ―1910년대의 인식론적 전환과 3․1 운동" 대동문화연구원 66 (66): 223-253, 2009

      9 김호일, "일제하 대한광복단의 역사적 위상" 70 : 2004

      10 성주현, "일제강점기 민족종교의 비밀결사와 독립운동자금 모금운동" 한국민족운동사학회 (56) : 147-188, 2008

      11 김희주, "소몽 채기중의 항일독립운동" 38 : 2002

      12 박철규, "부산지역 일본인 사회단체의 조직과 활동 - 1910년대를 중심으로 -" 부산경남사학회 56 (56): 163-206, 2005

      13 주명식, "배민수의 민족의식 형성과 민족운동 변화 연구" 연세대학교 2004

      14 김현주, "문화사의 이념과 서사전략―1900~20년대 최남선의 문화사 담론 연구" 대동문화연구원 12 (12): 225-256, 2007

      15 김희곤, "독립운동에 따른 사회계층 변화의 사례 -秋山 權奇鎰(1886~1920) 家門의 경우" 6 : 2001

      16 조준희, "대한광복회 평안도 지부장 敬齋 趙賢均" 24 : 2000

      17 김희주, "대한광복단 연구" 동국대학교 2003

      18 이성우, "광복회 연구" 충남대학교 2007

      19 장석흥, "광복단결사대의 결성과 투쟁 노선" 17 : 2001

      20 박 환, "경기지역 3ㆍ1독립운동사" 선인 2007

      21 홍영기, "蔡應彦 의병장의 생애와 활동"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6) : 117-142, 2006

      22 박환, "華史 李觀求의 민족의식과 항일독립운동" 숭실사학회 (23) : 41-67, 2009

      23 오영섭, "朝鮮光文會 硏究" 한국사학사학회 (3) : 79-140, 2001

      24 김정인, "孫秉熙의 文明開化路線과 3·1運動"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19 : 5-168, 2002

      25 박중훈, "固軒 朴尙鎭의 생애와 항일투쟁활동" 6 : 2001

      26 김승, "【기획논문】개항 이후 1910년대 용두산신사와 용미산신사의 조성과 변화과정" 부경역사연구소 (20) : 5-46, 2007

      27 吳鎭錫, "1910~1920년대 京城電氣의 강압적 인사관리와 노동자의 저항" 한국사연구회 (141) : 219-257, 2008

      28 이철호, "1910년대 후반 도쿄 유학생의 문화 인식과 실천 -『基督靑年』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연구소 (35) : 321-353, 2008

      29 권태억, "1910년대 일제의 조선 동화론과 동화정책" 규장각한국학연구원 44 (44): 99-125, 2008

      30 권태억, "1910년대 일제 식민통치의 기조" 한국사연구회 (124) : 207-232, 2004

      31 이명재, "1910년대 배민수의 민족운동 연구" 연세대학교 2004

      32 윤경로, "1910년대 독립운동의 방략과 특성 , 한국독립운동사사전 총론편" 1996

      33 윤경로, "1910년대 독립운동의 동향과 그 특성" 8 (8): 5-34, 1994

      34 손경희, "1910년대 경북지역 일본 농업이주민의 농장경영" 11 : 2000

      35 이지원, "1910년대 新知識層의 國粹觀과 國粹保存運動" 역사교육연구회 (84) : 2002

      36 류시현, "1910~1920년대 전반기 안확의 ‘개조론’과 조선 문화 연구" 역사문제연구소 21 (21): 45-75, 2009

      37 홍순권, "1910-20년대 부산부협의회의 구성과 지방정치- 협의원의 임명과 선거 실태 분석을 중심으로 -" 부산경남사학회 60 (60): 177-219, 20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1 0.81 0.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5 0.66 1.616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