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농촌진흥공무원 전문지도연구회 퍼실리테이터 교육과정 설계 = Designing Facilitator Training Program for Korea Extension Specialis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110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facilitator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of Korea Extension Specialist as CoP for rural extension workers' professional training and development. Three approaches, such as experts conference, member check, and SME reviews, were applied for this study.
      First, in experts conference, 34 roles of facilitator were suggested through nominal group technique, in consequence, four role models were derived from aforementioned roles. Second, reviews for role models suggested by experts conference were executed from 7 areas of Korea Extension Specialist's recipients via written statement. Researchers generalized the facilitator role model in rural development by synthesizing their reviews and adding roles of facilitator. Lastly, facilitator roles and competencies are validated by two SMEs who have specialty in respective area, one in facilitating, and the other in competency modeling.
      A total of 5 role categories and 14 competencies were derived as facilitators for Korea Extension Specialist. 5 roles are as follows: ① CoP activation facilitator ② CoP change agent ③ CoP performance supporter ④ HRD process manager ⑤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facilitator. Facilitator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is consist of 7 modules which reflects of the 14 competencies and has two types as kind of crops and extension. This study recommends the diversification on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profile and delivery methods in accordance with maturity level of Korea Extension Specialist as CoP for enlarging facilitator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facilitator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of Korea Extension Specialist as CoP for rural extension workers' professional training and development. Three approaches, such as experts conference, member check, and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facilitator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of Korea Extension Specialist as CoP for rural extension workers' professional training and development. Three approaches, such as experts conference, member check, and SME reviews, were applied for this study.
      First, in experts conference, 34 roles of facilitator were suggested through nominal group technique, in consequence, four role models were derived from aforementioned roles. Second, reviews for role models suggested by experts conference were executed from 7 areas of Korea Extension Specialist's recipients via written statement. Researchers generalized the facilitator role model in rural development by synthesizing their reviews and adding roles of facilitator. Lastly, facilitator roles and competencies are validated by two SMEs who have specialty in respective area, one in facilitating, and the other in competency modeling.
      A total of 5 role categories and 14 competencies were derived as facilitators for Korea Extension Specialist. 5 roles are as follows: ① CoP activation facilitator ② CoP change agent ③ CoP performance supporter ④ HRD process manager ⑤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facilitator. Facilitator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is consist of 7 modules which reflects of the 14 competencies and has two types as kind of crops and extension. This study recommends the diversification on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profile and delivery methods in accordance with maturity level of Korea Extension Specialist as CoP for enlarging facilitator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농촌진흥공무원 직무교육 활성화를 위해 농촌진흥청 실행공동체인 전문지도연구회의 퍼실리테이터 역량강화 교육과정을 설계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전문가협의회, 구성원 점검, 전문가 검토의 세 가지 접근 방식을 적용하였다.
      먼저, 전문가협의회에서는 명목그룹기법을 통해 퍼실리테이터의 다양한 역할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네 가지의 역할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구성원 점검에서는 7대 분야별 전문지도연구회를 대상으로 전문가협의회에서 도출된 역할에 관한 서면의견서를 발송하여 역할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를 종합하고 추가적인 역할을 덧붙임으로써 퍼실리테이터의 역할을 일반화하였다. 마지막으로 각각 역량 모델링과 퍼실리테이팅 관련 내용전문가 2인의 검증 과정을 통해 역할과 역량 모델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전문지도연구회 퍼실리테이터의 5대 역할과 14개의 역량을 정립하였다. 퍼실리테이터의 역할은 ① CoP 활성화 촉진자, ② CoP 변화관리자, ③ CoP 성과창출 지원자, ④ HRD 프로세스 지원자, ⑤ 교육과정 촉진자 등과 같다. 설계된 퍼실리테이터 역량강화 교육과정은 7개의 모듈에서 14개의 역량이 반영될 수 있도록 하였다. 교육과정의 경우에는 전문지도연구회의 7대 그룹별 구성을 감안해 작목 분야 중심과 농업지원 중심으로 구별하였다. 향후 퍼실리테이터 역량강화 교육의 확산을 위해서는 전문지도연구회에 대해 실행공동체로서의 성숙도 수준별로 퍼실리테이터 역량강화 교육과정의 구성 및 교육 운영 방식을 차별화할 것을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농촌진흥공무원 직무교육 활성화를 위해 농촌진흥청 실행공동체인 전문지도연구회의 퍼실리테이터 역량강화 교육과정을 설계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전문가협의회, ...

      이 연구의 목적은 농촌진흥공무원 직무교육 활성화를 위해 농촌진흥청 실행공동체인 전문지도연구회의 퍼실리테이터 역량강화 교육과정을 설계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전문가협의회, 구성원 점검, 전문가 검토의 세 가지 접근 방식을 적용하였다.
      먼저, 전문가협의회에서는 명목그룹기법을 통해 퍼실리테이터의 다양한 역할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네 가지의 역할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구성원 점검에서는 7대 분야별 전문지도연구회를 대상으로 전문가협의회에서 도출된 역할에 관한 서면의견서를 발송하여 역할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를 종합하고 추가적인 역할을 덧붙임으로써 퍼실리테이터의 역할을 일반화하였다. 마지막으로 각각 역량 모델링과 퍼실리테이팅 관련 내용전문가 2인의 검증 과정을 통해 역할과 역량 모델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전문지도연구회 퍼실리테이터의 5대 역할과 14개의 역량을 정립하였다. 퍼실리테이터의 역할은 ① CoP 활성화 촉진자, ② CoP 변화관리자, ③ CoP 성과창출 지원자, ④ HRD 프로세스 지원자, ⑤ 교육과정 촉진자 등과 같다. 설계된 퍼실리테이터 역량강화 교육과정은 7개의 모듈에서 14개의 역량이 반영될 수 있도록 하였다. 교육과정의 경우에는 전문지도연구회의 7대 그룹별 구성을 감안해 작목 분야 중심과 농업지원 중심으로 구별하였다. 향후 퍼실리테이터 역량강화 교육의 확산을 위해서는 전문지도연구회에 대해 실행공동체로서의 성숙도 수준별로 퍼실리테이터 역량강화 교육과정의 구성 및 교육 운영 방식을 차별화할 것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Wilkinson, M., "회의에 날개를 달아주는 퍼실리테이션 스킬" 다산서고 2009

      2 이영석, "퍼실리테이션의 개요(Facilitation overview)" 월간HRD 106-109, 2009

      3 정진철, "지도직공무원 역량개발을 위한 연구모임체 활동 모델 개발" 농촌진흥청 2010

      4 이찬, "중소기업 경력개발 지원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설계"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0 (40): 191-223, 2008

      5 농촌진흥청, "주요 업무계획"

      6 장태원, "조직구성원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이 흡수능력과 정서적 몰입 및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식경영학회 12 (12): 17-34, 2011

      7 김진모, "전문지도연구회 활동성과 분석과 지도공무원 전문능력개발 방향" 농촌진흥청 2005

      8 김진모, "전문지도연구회 학습조직 구축 수준과 조직효과성과의 관계" 한국농·산업교육학회 38 (38): 137-163, 2006

      9 김진모, "일반모델 덧씌우기 방식을 적용한 농촌지도공무원 역량모델 개발" 한국농·산업교육학회 39 (39): 115-138, 2007

      10 오헌석, "역량중심 인적자원개발의 비판과 쟁점 분석" 한국경영교육학회 47 (47): 191-214, 2007

      1 Wilkinson, M., "회의에 날개를 달아주는 퍼실리테이션 스킬" 다산서고 2009

      2 이영석, "퍼실리테이션의 개요(Facilitation overview)" 월간HRD 106-109, 2009

      3 정진철, "지도직공무원 역량개발을 위한 연구모임체 활동 모델 개발" 농촌진흥청 2010

      4 이찬, "중소기업 경력개발 지원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설계"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0 (40): 191-223, 2008

      5 농촌진흥청, "주요 업무계획"

      6 장태원, "조직구성원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이 흡수능력과 정서적 몰입 및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식경영학회 12 (12): 17-34, 2011

      7 김진모, "전문지도연구회 활동성과 분석과 지도공무원 전문능력개발 방향" 농촌진흥청 2005

      8 김진모, "전문지도연구회 학습조직 구축 수준과 조직효과성과의 관계" 한국농·산업교육학회 38 (38): 137-163, 2006

      9 김진모, "일반모델 덧씌우기 방식을 적용한 농촌지도공무원 역량모델 개발" 한국농·산업교육학회 39 (39): 115-138, 2007

      10 오헌석, "역량중심 인적자원개발의 비판과 쟁점 분석" 한국경영교육학회 47 (47): 191-214, 2007

      11 염우선, "소그룹 퍼실리테이터의 역할과 주요역량에 대한 중요성 및 수행수준 인식 차이분석에 관한 연구 - CPF(Certified Professional Facilitator)와 기업 내 HRD담당자를 중심으로 -" 한국산업교육학회 22 (22): 67-88, 2011

      12 방유성, "성공적 지식경영을 위한 CoP 운영전략" 1 (1): 127-137, 2000

      13 엑스퍼트컨설팅, "사이버 영농 교육시스템 구축(농촌진흥공무원 역량진단 도구개발)" 농촌진흥청 2010

      14 한경수, "명목그룹 기법을 활용한 다양한 인삼소스 개발평가" 한국외식경영학회 9 (9): 109-131, 2006

      15 김진모, "농촌지도직공무원 계층교육체계 구축" 한국농업전문학교 2006

      16 김진모, "농촌지도리더 교육프로그램의 학습전이와 전이풍토의 관계" 한국농·산업교육학회 38 (38): 27-52, 2006

      17 김선희, "기업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실제" 서현사 2010

      18 Lucia, A. D, "art and science of competency models" Pfeiffer 1999

      19 Brinkerhoff, R. O., "The success case method: Find out quickly what's working and what's not" Berrett-Koehler 2003

      20 Schwarz, R. M., "The skilled facilitator: A comprehensive resource for consultants, facilitators, managers, trainers, and coaches (2nd ed.)" Jossey-Bass 2002

      21 Rothwell, W, "The ASTD reference guide to professional human resource development roles and competencies" HRD Press 1992

      22 AHIMA, "Role of CoP facilitator"

      23 홍진용, "PKNO(Problem-based Learning for Korea Naval OJT) 퍼실리테이터 육성 프로그램 개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9

      24 Garavan, T. N., "Managing intentionally created communities of practices for knowledge sourcing across organizational boundaries" 14 (14): 34-49, 2007

      25 Wenger, E., "Knowledge management as a doughnut: Shaping your knowledge strategy through communities of practice" 1-8, 2004

      26 Tarmizi, H., "Identifying challenges for facilitation in communities of practice" 4 (4): 2006

      27 Harvey, G., "Getting evidence into practice:The role and function of facilitation.Journal of Advanced" 37 (37): 577-588, 2002

      28 Cyr, L., "Facilitation competence: A catalyst for effective extension work" 46 (46): 2008

      29 Kitson, A., "Enabling the implementation of evidence-based practice: A conceptual framework" 7 : 149-158, 1998

      30 Thomson, R., "Discourse analysis and role adoption in a community of practice"

      31 Branch, J., "Cultivating extension communities of practice" University of Vermont 2008

      32 Wenger, E., "Cultivating community of practice"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2002

      33 Smith, H. A., "Creating and facilitating communities of practice. In Handbook on knowledge management 1: Knowledge matters" Springer 393-407, 2003

      34 Dubois, D. D., "Competency-based performance improvement: A strategy for organizational change" HRD Press 1993

      35 Wenger, E, "Community of practice: The organizational frontier" 139-145, 2000

      36 Sharp, J, "Community of practice: A review of the literature"

      37 Nickols, F, "Community of practice overview distance consulting company"

      38 APQC, "Communities of practice:A guide for your journey to knowledge management best practices" American Productivity & Quality Center 2002

      39 Wenger, E., "Communities of practice: Learning, meaning, and ident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40 NASDSE, "Communities of practice: A new approach to solving complex educational problems" National Association of State Directors of Special Education

      41 MLA, "CoP Handbook"

      42 APEN, "APEN mentoring scheme: A guide for mentors and mentees"

      43 Tarmizi, H., "A facilitation task taxonomy for communities of practice" 3545-3554, 2005

      44 농촌인적자원개발센터, "2011 교육훈련계획"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12-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8-0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농업교육학회 -> 한국농·산업교육학회
      영문명 : 미등록 ->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2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농업교육학회지 ->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Agricultural Education -> Journal of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KCI등재
      2005-03-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농업교육학회지 ->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Agricultural Education ->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8 1.08 1.2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2 1.35 1.587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