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어(韓國語) 표준화(標準化)와 신어(新語) 형성(形成) 과정(過程)에서 한자어(漢字語)의 위상(位相)과 기능(機能) -국어사전(國語辭典)과 신어(新語)에서의 한자어(漢字語) 비중(比重)을 중심으로- = The Status and Function of Sino-Korean Words in the Process of Standardization and Formation of Neologism in Korean -Focused on the proportion of Sino-Korean words in the entries of Korean dictionaries and neologisms -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한국어 표준화와 신어 형성 과정이 한자어의 위상과 기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고는 국어사전 표제어와 신어 형성에서 나타나는 한...

      본고는 한국어 표준화와 신어 형성 과정이 한자어의 위상과 기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고는 국어사전 표제어와 신어 형성에서 나타나는 한자어의 비중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한국어의 표준화, 특히 국어사전을 통한 표준화 과정에서 한자어의 비중이 점차 감소하고 있고, 신어 형성 과정에서도 한자어의 비중이 대폭 감소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한국어에서 한자어의 위상과 기능을 약화시킬 가능성이 있다. 또한 신어 造語의 측면에서 한자어의 새로운 사용 방식이 매우 활성화되고 있는데, 이러한 변화도 한자어의 위상과 기능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한자어의 전통적인 사용 방식에도 중요한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어의 표준화와 신어형성 과정에서 한자어의 비중이 감소하는 것은 일상생활에서 한자어를 인지하거나 사용하는 경험이 감소하는 것으로 귀결될 수 있다. 이러한 변화는 일상생활에서 한자어가 사용되어야 할 필요성 또는 이유를 제시하지 못한다면, 단지 한자어 교육을 강화하는 것만으로는 그 변화를 되돌리기 어려워 보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aimed to examine how the process of standardization and formation of neologism in Korean affects the status and function of Sino-Korean words in the proportion of Sino-Korean words in the entries of Korean dictionaries and neologisms. More s...

      The study aimed to examine how the process of standardization and formation of neologism in Korean affects the status and function of Sino-Korean words in the proportion of Sino-Korean words in the entries of Korean dictionaries and neologisms.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nge in the proportion of Sino-Korean words in entries of Korean dictionaries and neologism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roportion of Sino-Korean words has gradually decreased in the standardization process, especially through the Korean dictionary. Furthermore, the proportion has also decreased considerably in the process of formation of neologisms. These changes are likely to weaken the status and function of Sino-Korean words in Korean. In addition, in terms of the word-formation of neologisms, new ways of using Sino-Korean words are present. Thus, these changes are expected not only to affect the status and function of Sino-Korean words, but also to bring fundamental changes to the traditional way of using them. A decrease in the proportion of Sino-Korean words in the process of standardization and formation of neologism can result in a decrease in the experience of recognizing and using Sino-Korean words in daily life. These changes are difficult to reverse by strengthening Sino-Korean words education unless the necessity or reason for using Sino-Korean words in everyday life is presented.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