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明使 姜曰廣의 朝鮮 使行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2218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17세기 전반 조선을 대하는 명의 태도와 요구를 관철시키는 방식을 天啓 6년(1626)에 사신으로 파견된 姜曰廣의 ??軒紀事?를 중심으 로 고찰하였다. 이 시기 명 조정이 주변국을 대하는...

      이 글은 17세기 전반 조선을 대하는 명의 태도와 요구를 관철시키는
      방식을 天啓 6년(1626)에 사신으로 파견된 姜曰廣의 ??軒紀事?를 중심으
      로 고찰하였다. 이 시기 명 조정이 주변국을 대하는 태도는 창업군주인
      洪武帝의 대외인식과 연결되어 있다. 건국 초기 명조는 이상적인 질서가
      갖춰야 하는 요건들을 정하고 그 내용을 채워냈고, 그것을 주변국가들과의
      관계로까지 확대하였다.
      이러한 틀에 따라, 명의 사신들은 조선의 제도와 문물이 독자적인 것이
      아니라 중국의 고대와 연결된 것이고, 명과 뿌리가 같은 문화와 역사를 공
      유한다는 인식을 반영한 평가들이 이어졌다. 이렇듯 문사와 예의에 대한
      언급들은 명과 조선이 같은 프레임 안에 머물게 하는 장치였다. 이 프레임
      은 홍무제가 예를 기반으로 동아시아 국제질서를 구축하고자 한 이래 17
      세기 전반까지 그대로 계승되고 있었다.
      이처럼 이 글에서는 명의 사신들이 조선을 대하는 방식에는 일정한 패
      턴이 있었다는 점을 밝혔다. 이 때문에 강왈광을 비롯한 명의 사신들은,
      조선의 제도, 문물, 문학적 소양을 평가하는 내용에서는 그 수준이 높다고
      서술하고 있다. 그런데 그 평가는 조선의 것이 중국의 것과 얼마나 비슷한
      지를 살펴보는 것이 기준이었다. 이는 같은 틀 안에 있다는 점을 계속 강
      조하는 것인데, 이것은 조선 측의 운신의 폭을 좁게 만드는 방식이었다.
      조선 측이 ‘중화’를 닮기 위해 노력하고, 그 프레임 안에서 위상을 확인받으려는 시도가 명의 의도를 수용하게 하는 상황을 만드는 데 활용되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17세기 초 동아시아와 사신파견
      • 1. 명 중심의 국제질서 동요
      • 2. 姜曰廣 파견의 목적
      • Ⅲ. 文事와 禮儀의 틀
      • Ⅰ. 머리말
      • Ⅱ. 17세기 초 동아시아와 사신파견
      • 1. 명 중심의 국제질서 동요
      • 2. 姜曰廣 파견의 목적
      • Ⅲ. 文事와 禮儀의 틀
      • 1. 계승되는 프레임
      • 2. 명이 조선을 대하는 태도
      • Ⅳ. 맺음말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경록, "홍무제의 대외인식과 조공제도의 정비" 명청사학회 (37) : 1-31, 2012

      2 한명기, "이여송과 모문룡" 역사문제연구소 (90) : 356-383, 2010

      3 夫馬進, "연행사와 통신사" 신서원 2008

      4 김한규, "사조선록연구" 서강대학교 출판부 2011

      5 박원호, "명초조선관계사연구" 일조각 2002

      6 정동훈, "명초 국제질서의 재편과 고려의 위상 –홍무 연간 명의 사신 인선을 중심으로–" 한국역사연구회 (89) : 113-150, 2013

      7 이경룡, "명대 지식인의 조선 인식과 양국의 防北정책" 명청사학회 (25) : 67-96, 2006

      8 조영록, "鮮初의 朝鮮出身 明使考" 14 : 1990

      9 이현종, "朝鮮初期 對外關係-對明關係-" 9 : 1977

      10 "明經世文編" 中華書局 1997

      1 김경록, "홍무제의 대외인식과 조공제도의 정비" 명청사학회 (37) : 1-31, 2012

      2 한명기, "이여송과 모문룡" 역사문제연구소 (90) : 356-383, 2010

      3 夫馬進, "연행사와 통신사" 신서원 2008

      4 김한규, "사조선록연구" 서강대학교 출판부 2011

      5 박원호, "명초조선관계사연구" 일조각 2002

      6 정동훈, "명초 국제질서의 재편과 고려의 위상 –홍무 연간 명의 사신 인선을 중심으로–" 한국역사연구회 (89) : 113-150, 2013

      7 이경룡, "명대 지식인의 조선 인식과 양국의 防北정책" 명청사학회 (25) : 67-96, 2006

      8 조영록, "鮮初의 朝鮮出身 明使考" 14 : 1990

      9 이현종, "朝鮮初期 對外關係-對明關係-" 9 : 1977

      10 "明經世文編" 中華書局 1997

      11 "明神宗實錄, 明熹宗實錄"

      12 谷應泰, "明史紀事本末" 商務印書館 1956

      13 "明史" 中華書局 1977

      14 이현종, "明使接待考" 12 : 1961

      15 岩井茂樹, "明代中國の禮制霸權主義と東アジアの秩序" 85 : 2005

      16 홍성구, "明代 北邊의 互市와 朝貢" 중국사학회 (72) : 67-92, 2011

      17 "中朝關係史料叢刊:使朝鮮錄" 北京圖書館出版社 2003

      18 夫馬進, "中國東アジア外交交流史の研究" 京都大學學術出版會 2007

      19 한명기, "17세기 초 明使의 서울 방문 연구 : 姜曰廣의 輶軒紀事를 중심으로" 8 :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12-17 학회명변경 한글명 : 동국사학회 -> 동국역사문화연구소
      영문명 : Dongguk Historical Society -> Dongguk history & culture institute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6 0.36 0.3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4 0.758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