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과 사회변동의 관계는 흔히 기술도구론, 기술결정론, 기술사회구성론 등의 방식으로 설명된다. 이 세가지 모델은 서로 배타적이지 않으며 상호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실제적인 역사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66685
2004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기술과 사회변동의 관계는 흔히 기술도구론, 기술결정론, 기술사회구성론 등의 방식으로 설명된다. 이 세가지 모델은 서로 배타적이지 않으며 상호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실제적인 역사변...
기술과 사회변동의 관계는 흔히 기술도구론, 기술결정론, 기술사회구성론 등의 방식으로 설명된다. 이 세가지 모델은 서로 배타적이지 않으며 상호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실제적인 역사변동을 주도한다. 기술발전 양상과 방향은 특정사회를 지배하는 정치적 이데올로기(예를 들면 정부에 의한 금서목록의 작성과 검열제도)에 영향을 받으며, 때로는 당대의 독특한 문화관행도 분리해 생각할 수 없다. 18세기 프랑스에서의 인쇄술의 발전으로 인한 여론형성과 대중적인 정보전달은 구체제 사회질서를 붕괴시키고 개인주의적이며 자유주의적인 시민사회의 형성을 자극하는가? 인쇄기술의 발달은 특정한 독서혁명(대중적 독서에서 홀로 읽기로, 소리내어 읽기에서 묵독으로)을 발생시키는 직접적인 원인인가 아니면 그 결과인가? 인쇄출판술의 발전은 공적 영역의 확장, 독립적인 저술가의 탄생, 공공여론의 형성 등과 같은 '현대적 현상들'이 등장하는데 얼만큼 기여했는가? 기술사적 측면에서 18세기 프랑스 앙시앙 레짐의 사회문화의 성격을 진단한다면, 그 당시 민중문화와 엘리트문화를 엄격히 구분하는 것이 가능하며 역사적 현실에 부합되는가? 이와 같은 질문들에 대답을 모색하려는 것이 본 연구의 주요내용을 구성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