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스톡옵션의 행사와 기업의 조세회피 = Stock Option Exercise and Tax Avoida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959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firms' tax avoidance associated with the stock option. We expect the exercise of stock options is closely related to the firms' tax avoidance because book-tax conformity is relatively high in Korea. Firms with exercised stock options are likely to have greater increase in the taxable income as well as book income compared to the firms without exercised stock options. Thus, we anticipate that the firms with exercised stock options have more incentives to avoid taxes than the firms without exercised options. Specifically, firms with high exercise ratio are likely to have greater increase in taxable income and thus avoid taxes more aggressively compared to the firms with lower exercise ratio. In addition, we assume that firms engage in tax avoidance activity after the exercise, not prior to the exercise because they tend to focus on the strategy of lowering their increased tax burden after the exercise, while they focus on the strategy of increasing book income to boost their stock prices prior to the exercise. We analyze firms that grant stock options from 2000 to 2009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stock option exercise and tax avoidance. We find following empirical results. First, tax avoidance are significantly greater for firms with exercising stock options than firms without exercising options. Second, tax avoidance is significantly greater for firms with high ratio of the option exercise than the firms with low exercise ratio. Third, firms engage in tax avoidance activity in the period when the option is exercised, not in the prior period of the exercise. This study makes a contribution to the literature by addressing stock option exercise from the tax perspective. We expect that our findings will have new implications for firms and financial information users who are interested in stock option under the current circumstances where lack wide range of research on the option exercise.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s the firms' tax avoidance associated with the stock option. We expect the exercise of stock options is closely related to the firms' tax avoidance because book-tax conformity is relatively high in Korea. Firms with exercised stock o...

      This study examines the firms' tax avoidance associated with the stock option. We expect the exercise of stock options is closely related to the firms' tax avoidance because book-tax conformity is relatively high in Korea. Firms with exercised stock options are likely to have greater increase in the taxable income as well as book income compared to the firms without exercised stock options. Thus, we anticipate that the firms with exercised stock options have more incentives to avoid taxes than the firms without exercised options. Specifically, firms with high exercise ratio are likely to have greater increase in taxable income and thus avoid taxes more aggressively compared to the firms with lower exercise ratio. In addition, we assume that firms engage in tax avoidance activity after the exercise, not prior to the exercise because they tend to focus on the strategy of lowering their increased tax burden after the exercise, while they focus on the strategy of increasing book income to boost their stock prices prior to the exercise. We analyze firms that grant stock options from 2000 to 2009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stock option exercise and tax avoidance. We find following empirical results. First, tax avoidance are significantly greater for firms with exercising stock options than firms without exercising options. Second, tax avoidance is significantly greater for firms with high ratio of the option exercise than the firms with low exercise ratio. Third, firms engage in tax avoidance activity in the period when the option is exercised, not in the prior period of the exercise. This study makes a contribution to the literature by addressing stock option exercise from the tax perspective. We expect that our findings will have new implications for firms and financial information users who are interested in stock option under the current circumstances where lack wide range of research on the option exercis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스톡옵션과 관련된 기업의 조세회피에 대해 분석하였다. 우리나라와 같이 회계이익과 과세소득의 정합성이 높은 회계 ‧ 세무 환경 하에서는 스톡옵션의 행사가 기업의 조세회피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스톡옵션을 행사한 기업은 기업의 성장으로 인해 회계이익의 증가와 함께 과세소득이 동반하여 증가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조세회피 전략을 통해 조세를 절감하고자 할 유인이 높다. 특히, 스톡옵션의 행사비율이 높을수록 높은 회계이익의 증가와 함께 조세비용의 부담이 더 크게 증가하였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행사비율이 낮은 기업에 비해 보다 적극적으로 조세회피를 할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스톡옵션의 행사직전연도에는 일정 수준 이상의 회계이익을 달성함으로서 주가를 상승시키고자 하는 반면 주가 상승 후 스톡옵션을 행사한 연도에는 높아진 조세비용을 절감하고자 할 것으로 기대되므로 조세회피 행위는 스톡옵션의 행사직전연도가 아닌 행사연도에 나타날 것으로 예측된다.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09년도까지 스톡옵션을 부여한 기업을 대상으로 스톡옵션의 행사여부, 행사비율 및 행사연도와 조세회피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스톡옵션을 행사한 기업은 행사하지 않은 기업에 비하여 조세회피 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스톡옵션을 행사하는 경우 회계이익의 증가에 따른 과세부담의 증가가 크기 때문에 보다 적극적으로 조세회피를 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특히, 스톡옵션의 행사비율이 높을수록 조세회피 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행사여부 뿐만 아니라 스톡옵션의 행사비율 역시 조세회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검증하였다. 또한, 스톡옵션의 행사한 기업의 조세회피는 행사직전연도가 아닌 행사연도에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과는 달리 세무적 관점에서 스톡옵션의 행사와 관련된 기업의 조세회피를 고찰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스톡옵션의 도입 이후 실제 행사에 대해 다양한 연구가 미흡한 시점에 본 연구의 결과는 스톡옵션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는 기업들과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에게 또 다른 측면의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 바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스톡옵션과 관련된 기업의 조세회피에 대해 분석하였다. 우리나라와 같이 회계이익과 과세소득의 정합성이 높은 회계 ‧ 세무 환경 하에서는 스톡옵션의 행사가 기업의 조세회피...

      본 연구는 스톡옵션과 관련된 기업의 조세회피에 대해 분석하였다. 우리나라와 같이 회계이익과 과세소득의 정합성이 높은 회계 ‧ 세무 환경 하에서는 스톡옵션의 행사가 기업의 조세회피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스톡옵션을 행사한 기업은 기업의 성장으로 인해 회계이익의 증가와 함께 과세소득이 동반하여 증가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조세회피 전략을 통해 조세를 절감하고자 할 유인이 높다. 특히, 스톡옵션의 행사비율이 높을수록 높은 회계이익의 증가와 함께 조세비용의 부담이 더 크게 증가하였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행사비율이 낮은 기업에 비해 보다 적극적으로 조세회피를 할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스톡옵션의 행사직전연도에는 일정 수준 이상의 회계이익을 달성함으로서 주가를 상승시키고자 하는 반면 주가 상승 후 스톡옵션을 행사한 연도에는 높아진 조세비용을 절감하고자 할 것으로 기대되므로 조세회피 행위는 스톡옵션의 행사직전연도가 아닌 행사연도에 나타날 것으로 예측된다.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09년도까지 스톡옵션을 부여한 기업을 대상으로 스톡옵션의 행사여부, 행사비율 및 행사연도와 조세회피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스톡옵션을 행사한 기업은 행사하지 않은 기업에 비하여 조세회피 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스톡옵션을 행사하는 경우 회계이익의 증가에 따른 과세부담의 증가가 크기 때문에 보다 적극적으로 조세회피를 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특히, 스톡옵션의 행사비율이 높을수록 조세회피 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행사여부 뿐만 아니라 스톡옵션의 행사비율 역시 조세회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검증하였다. 또한, 스톡옵션의 행사한 기업의 조세회피는 행사직전연도가 아닌 행사연도에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과는 달리 세무적 관점에서 스톡옵션의 행사와 관련된 기업의 조세회피를 고찰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스톡옵션의 도입 이후 실제 행사에 대해 다양한 연구가 미흡한 시점에 본 연구의 결과는 스톡옵션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는 기업들과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에게 또 다른 측면의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 바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태수, "한국기업에서 경영자 보상과 경영성과간의 관계" 24 (24): 87-115, 1999

      2 최원욱, "특수관계자 거래가 조세회피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세무학회 28 (28): 9-35, 2011

      3 노준화, "주식매입선택권의 과세제도와 개산방안에 관한 연구" (35) : 105-122,

      4 전규안, "주식매수선택권의 합리적인 과세방안" 17 (17): 5-39, 2001

      5 박종국, "조세회피와 외국인지분율" 한국세무학회 26 (26): 105-135, 2009

      6 전규안, "조세비용과 비조세비용의 상충관계가 재무보고이익과 세무보고이익의 차이에 미치는 영향" 한국회계학회 29 (29): 29-56, 2004

      7 최원욱, "조세계획의 수단으로서의 영업외손익 항목 조정에 대한 연구" 한국세무학회 31 (31): 75-112, 2014

      8 고종권, "적극적 재무보고와 적극적 세무보고간의 관계 분석" 한국회계학회 21 (21): 95-130, 2012

      9 신승묘, "유효법인세율과 부채비율 사이의 인과관계 분석과 세법상 지급이자 손금불산입 규정의 유효성 평가" 한국회계학회 30 (30): 77-108, 2005

      10 고대영, "스톡옵션행사가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회계정보학회 25 (25): 113-131, 2007

      1 김태수, "한국기업에서 경영자 보상과 경영성과간의 관계" 24 (24): 87-115, 1999

      2 최원욱, "특수관계자 거래가 조세회피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세무학회 28 (28): 9-35, 2011

      3 노준화, "주식매입선택권의 과세제도와 개산방안에 관한 연구" (35) : 105-122,

      4 전규안, "주식매수선택권의 합리적인 과세방안" 17 (17): 5-39, 2001

      5 박종국, "조세회피와 외국인지분율" 한국세무학회 26 (26): 105-135, 2009

      6 전규안, "조세비용과 비조세비용의 상충관계가 재무보고이익과 세무보고이익의 차이에 미치는 영향" 한국회계학회 29 (29): 29-56, 2004

      7 최원욱, "조세계획의 수단으로서의 영업외손익 항목 조정에 대한 연구" 한국세무학회 31 (31): 75-112, 2014

      8 고종권, "적극적 재무보고와 적극적 세무보고간의 관계 분석" 한국회계학회 21 (21): 95-130, 2012

      9 신승묘, "유효법인세율과 부채비율 사이의 인과관계 분석과 세법상 지급이자 손금불산입 규정의 유효성 평가" 한국회계학회 30 (30): 77-108, 2005

      10 고대영, "스톡옵션행사가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회계정보학회 25 (25): 113-131, 2007

      11 박상수, "스톡옵션의 효율적 운용" 월간공인회계사 2000

      12 배길수, "스톡옵션의 도입에 대한 주가반응 및 스톡옵션을 도입한 기업의 특성: 대리인 비용을 중심으로" 한국회계학회 27 (27): 1-26, 2002

      13 윤태화, "스톡옵션 부여가 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친 영향" 한국세무학회 6 (6): 213-236, 2005

      14 최원석, "세금비용과 비세금비용이 자산처분손익에 미치는 상충관계" 한국회계학회 29 (29): 253-292, 2004

      15 정운오, "대리인 관계에서의 보상계약형태에 관한 실증적 연구" 107-135, 1997

      16 심상규, "경영자 스톡옵션 보상이 조세회피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회계정보학회 26 (26): 233-258, 2008

      17 Boschen, J. F., "You Can Pay Me Now and You Can Pay Me Later:The Dynamic Response of Executive Compensation to Firm Performance" 68 : 577-608, 1995

      18 Himmelberg, C. P., "Understanding the determinants of managerial ownership and the link between ownership and performance" 53 : 353-384, 1999

      19 Core, J., "The use of equity grants to manage optional equity incentive levels" 28 : 151-184, 1999

      20 Demsetz, H., "The structure of corporate ownership:Causes and consequences" 93 (93): 1155-1177, 1985

      21 Choi, W. W., "The provision of tax services by incumbent auditors and earnings management:Evidence from Korea" 20 : 79-103, 2009

      22 Brickey, J. A., "The impact of long-range managerial compensation plans on shareholder wealth" 7 : 115-129, 1985

      23 Healy, P. M., "The effect of bonus schemes on accounting decisions" 7 : 85-107, 1985

      24 Bell, T., "The Valuation Implications of Employee Stock Option Accounting for Profitable Computer Software Firms" 77 (77): 971-996, 2002

      25 Klassen, K., "The Impact of Inside Ownership Concentration on the Trade-Off Between Financial and Tax Reporting" 72 (72): 455-474, 1997

      26 Matsunaga. S., "The Effects of Financial Reporting Cost on the Use of Employee Stock Options" 70 : 1-26, 1995

      27 DeFusco, R. A, "The Effect of Executive Stock Option Plans on Stockholders and Bondholders" 45 (45): 617-627, 1990

      28 DeFusco, R. A., "The Association between Executive Stock Option Plan Changes and Managerial Decision Making" 20 (20): 36-43, 1991

      29 Frank, M., "Tax reporting aggressiveness and its relation to aggressive financial reporting" 84 (84): 467-496, 2009

      30 Graham, J. R., "Tax Shelters and Corporate Debt Policy" 81 : 563-594, 2006

      31 Balsam, S., "Tax Costs and Nontax Benefits:The Case of Incentive Stock Option" 19 (19): 19-37, 1997

      32 Chauvin, K. W., "Stock price decreases prior to executive stock option grants" 7 : 53-76, 2001

      33 Hillegeist, S., "Stock Option Incentives and Firm Performance" Northwestern University and University of Navarra 2003

      34 Safdar, I., "Stock Option Exercise, Earnings Management, and Abnormal Stock Returns" University of Rochester 2003

      35 Graham, J., "Proxies for the Corporate Marginal Tax Rate" 42 : 187-221, 1996

      36 Bartov, E., "Private Information, Earnings Manipulations and Executive Stock Option Exercises" 79 (79): 889-920, 2004

      37 DeAngelo, H., "Optimal Capital Structure under Corporate and Personal Taxation" 8 (8): 3-29, 1980

      38 Balsam, S., "Managing pro forma stock option expense under SFAS 123" 17 (17): 31-45, 2003

      39 Bebchuk, L. A., "Managerial Power and Rent Extraction in the Design of Executive Compensation" 69 : 751-846, 2002

      40 Atwood, T., "Home country tax system characteristics and corporate tax avoidance:International Evidence" 77 : 1831-1860, 2012

      41 Amromin, G., "Hedging Employee Stock Options, Corporate Taxes and Debt" 56 : 513-533, 2003

      42 Core, J. E., "Estimating the Value of Employee Stock Option Portfolios and Their Sensitivities to Price and Volatility" 40 (40): 613-630, 2002

      43 Shevlin, T., "Estimating Corporate Marginal Tax Rates with Asymmetric Tax Treatment of Gains and Losses" 11 (11): 51-67, 1990

      44 Li, H., "Employee Stock Options, Residual Income Valuation and Stock Price Reaction to SFAS No. 123 Footnote Disclosures" University of Iowa 2002

      45 Graham, J., "Employee Stock Options, Corporate Taxes and Debt Policy" 59 (59): 1585-1618, 2004

      46 Rajgopal, S., "Empirical evidence on the relation between stock option compensation and risk taking" 33 : 145-171, 2002

      47 Degeorge, F., "Earnings Management to Exceed Thresholds" 72 (72): 1-33, 1999

      48 Burgstahler, D., "Earnings Management to Avoid Earnings Decreases and Losses" 24 (24): 99-126, 1997

      49 Yermack, D., "Do Corporations Award CEO Stock options Effectively" 39 : 237-269, 1995

      50 Matsunaga, S., "Disqualifying dispositions of incentive stock options:Tax benefit vs. financial reporting costs" 16 (16): 37-76, 1992

      51 Graham, J, "Debt and the Marginal Tax Rate" 41 : 41-73, 1996

      52 Desai. M., "Corporate Tax Avoidance and High Powered Incentives" 79 : 145-179, 2006

      53 Kirschenheiter, M., "Can “Big Bath” and earnings smoothing co-exist as equilibrium financial reporting strategies?" 40 (40): 761-796, 2002

      54 Aboody, D., "CEO stock option awards and the timing of corporate voluntary disclosures" 29 : 73-100, 2000

      55 Bergstresser, D., "CEO Incentives and Earnings Management" 80 (80): 511-509, 2006

      56 Mills, L. F., "Bridging the reporting gap:A proposal for more informative reconciling of book and tax income" 56 (56): 865-893, 2003

      57 Hanlon, M., "Are Executive Stock Options Associated with Future Earnings" 36 : 3-43, 2003

      58 Balsam, S., "An introduction to executive compensation" Academic Press 200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3 1.23 1.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9 1.2 2.08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