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4차 산업혁명시대의 기독교의 역할과 교육방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ole of Christianity and the Educational Direction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071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Schwab mentione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t the World Economic Forum Annual Meeting 2016, discussions have been ongoing about it and the future societ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xceeds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influences society, culture, and lifestyle. Moreover, in the face of the COVID-19 crisis, society continues to experience and realize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lthough we hope that this era will surely improve human life, we are also concerned about human alienation and social and economic polarization that may emerge as a consequence. How, then, does Christianity contribute to the public space and set the direction for education in this day and age? This study focused on the role of Christianity and the direction of education dur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First, I examine problems in terms of the inner and outer aspects of individuals and communities that may occur dur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rough the perspectives of Mitchell, a psychologist, Bellah, a sociologist, McGrath, a theologian, and Bostrom, a philosopher. Through their theories, we can view the lives of individuals in the real, virtual, and transcendental worlds of this era. I find that Christianity can provide a transcendent norm in this world, give meaning to life, and change people and the world. Therefore, I suggest the creation and expression of symbols as a direction for education. For this form of education, I recommend five steps, namely, observing, entering, discovering, participating, and making symbols. In this manner, people can represent the kingdom of God in the real world.
      번역하기

      Since Schwab mentione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t the World Economic Forum Annual Meeting 2016, discussions have been ongoing about it and the future societ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xceeds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influenc...

      Since Schwab mentione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t the World Economic Forum Annual Meeting 2016, discussions have been ongoing about it and the future societ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xceeds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influences society, culture, and lifestyle. Moreover, in the face of the COVID-19 crisis, society continues to experience and realize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lthough we hope that this era will surely improve human life, we are also concerned about human alienation and social and economic polarization that may emerge as a consequence. How, then, does Christianity contribute to the public space and set the direction for education in this day and age? This study focused on the role of Christianity and the direction of education dur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First, I examine problems in terms of the inner and outer aspects of individuals and communities that may occur dur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rough the perspectives of Mitchell, a psychologist, Bellah, a sociologist, McGrath, a theologian, and Bostrom, a philosopher. Through their theories, we can view the lives of individuals in the real, virtual, and transcendental worlds of this era. I find that Christianity can provide a transcendent norm in this world, give meaning to life, and change people and the world. Therefore, I suggest the creation and expression of symbols as a direction for education. For this form of education, I recommend five steps, namely, observing, entering, discovering, participating, and making symbols. In this manner, people can represent the kingdom of God in the real worl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신근, "화해와 치유의 생명 공동체인 하나님 나라의 온전성을 지향하는 지역 교회 교육 연구: “공적 교육 공동체 모델”을 중심으로" 한국기독교교육학회 (42) : 133-168, 2015

      2 김종서, "현대 종교사회학의 의미와 방법론 연구" 16 (16): 127-141, 1993

      3 고원석, "현대 기독교교육 방법론" 장로회신학대학교 출판부 2019

      4 "표준국어대사전 [Standard Korean Dictionary]"

      5 지용근, "통계로 본 기독교의 공공성 회복과 시민윤리" 505 : 18-25, 2021

      6 Schwab, K., "클라우스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 더 넥스트(The Next)" 메가스터디북스 2018

      7 신형섭, "제인 밴의 상징적 예배언어가 주는 기독교교육적 함의들" 한국기독교교육학회 (36) : 319-342, 2013

      8 김정준, "제4차 산업혁명과 교육목회의 새 전망: 인공지능을 중심으로" 한국기독교교육학회 (55) : 47-88, 2018

      9 김도일,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목회" 기독한교 2017

      10 김정준, "제4차 산업혁명 시대 기독교교육의 인간상 고찰" 한국기독교교육학회 (59) : 125-158, 2019

      1 장신근, "화해와 치유의 생명 공동체인 하나님 나라의 온전성을 지향하는 지역 교회 교육 연구: “공적 교육 공동체 모델”을 중심으로" 한국기독교교육학회 (42) : 133-168, 2015

      2 김종서, "현대 종교사회학의 의미와 방법론 연구" 16 (16): 127-141, 1993

      3 고원석, "현대 기독교교육 방법론" 장로회신학대학교 출판부 2019

      4 "표준국어대사전 [Standard Korean Dictionary]"

      5 지용근, "통계로 본 기독교의 공공성 회복과 시민윤리" 505 : 18-25, 2021

      6 Schwab, K., "클라우스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 더 넥스트(The Next)" 메가스터디북스 2018

      7 신형섭, "제인 밴의 상징적 예배언어가 주는 기독교교육적 함의들" 한국기독교교육학회 (36) : 319-342, 2013

      8 김정준, "제4차 산업혁명과 교육목회의 새 전망: 인공지능을 중심으로" 한국기독교교육학회 (55) : 47-88, 2018

      9 김도일,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목회" 기독한교 2017

      10 김정준, "제4차 산업혁명 시대 기독교교육의 인간상 고찰" 한국기독교교육학회 (59) : 125-158, 2019

      11 Mitchell. S. A., "정신분석학적 대상관계이론" 한국심리치료연구소 1999

      12 McGrath, A., "정교하게 조율된 우주" IVP 2014

      13 Baumeister, R. F., "인생의 의미" 도서출판 원미사 1992

      14 양금희, "이야기·예술·기독교교육" 장로회신학대학교 출판부 2010

      15 양금희, "의례이론과 의례적 인식론을 통해서 본 예전의 기독교교육적 의미" 한국기독교교육학회 (37) : 83-114, 2014

      16 이규민, "융의 종교심리학에 나타난 종교의 역할과 치유적 기능: 종교이해의 타당성과 기독교교육적 함의를 중심으로" 한국기독교교육학회 (43) : 137-167, 2015

      17 McGrath, A., "우주의 의미를 찾아서" 새물결플러스 2013

      18 James, W., "심리학의 원리1" 아카넷 2017

      19 McGrath, A., "신없는 사람들: 우리 시대 무신론의 오만과 편견" IVP 2012

      20 김도일, "시종일관(始終一貫) 성령 안에서 성령과 함께 교육하기"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4) : 491-518, 2010

      21 Bostrom, N., "슈퍼인텔리전스: 경로, 위험, 전략" 까치글방 2019

      22 McGrath, A., "삶을 위한 신학" IVP 2014

      23 Bellah, R. N., "사회변동의 상징구조" 삼영사 1970

      24 김상균, "메타버스 새로운 기회 : 디지털 지구, 경제와 투자의 기준이바뀐다" 베가북스 2021

      25 최환영, "로버트 벨라의 종교개념 : 상징적 실재주의를 중심으로"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9

      26 "네이버 국어사전[Naver Korean Dictionary]"

      27 Myers, B., "과학신학탐구" 기독교문서선교회 2010

      28 McGrath, A., "과학신학 탐구" 기독교문서선교회 2010

      29 McGrath, A., "과학신학" IVP 2011

      30 Lanier, J., "가상 현실의 탄생" 열린책들 2018

      31 Bellah, R. N., "Where faith meets culture" Cascade Books 2010

      32 Bellah, R. N., "Varieties of civil religion" Wipf & Stock Publishers 1980

      33 Winnicott, D. W., "Transitional objects and transitional phenomena. through paediatrics to psycho-analysis" Hogarth Press 1951

      34 Kim, H. S., "The future of protestant religious education in an age of globalization" Waxmann Publisher 2018

      35 Winnicott, D. W., "The family and individual development" Tavistock 1965

      36 Harter, S., "The construction and conservation of the self: James and cooley revisited in lapsley d. k. & power, f. c. self, ego, and identity" Springer-Verlag 1988

      37 Bellah, R. N., "The broken covenant" The Seabury Press 1975

      38 Kohut, H., "The analysis of the self"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1971

      39 Bellah, R. N., "Religion in human evolution : From the paleolithic to the axial ag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1

      40 Mitchell. S. A., "Relationality : From attachment to intersubjectivity" Routledge Taylor & Francis Group 2000

      41 Mitchell. S. A., "Relational concepts in psychoanalysis : An integra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1988

      42 "IT 조선 (3. 6)"

      43 Bostrom, N., "Human enhancement"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44 Mitchell. S. A., "Hope and dread in psychoanalysis" BasicBooks 1993

      45 Bellah, R. N., "Habits of the heart : Individualism and commitment in american life" Harper & Row 1985

      46 Bellah, R. N., "Beyond belief: Essays on religion in a post-traditional world" Harper & Row, Publishers 1970

      47 양금희, "AI시대의 영성적 가르침에 관한 연구 : “관상적 가르침”을 중심으로" 한국기독교교육학회 (66) : 11-48, 2021

      48 양금희, "AI(인공 지능)의 인식론적 문제와 기독교 교육" 신학사상연구소 (183) : 165-197, 2018

      49 McGrath, A., "A scientific theology: Reality" T&T Clark 2006

      50 임창호, "4차산업혁명 시대의 기독교교육 방향성 제고" 한국기독교교육학회 (56) : 11-44, 2018

      51 박상진, "3.1운동에 있어서 기독교학교의 역할과 오늘날의 과제" 한국기독교교육학회 (58) : 11-51, 201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3-3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Christian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of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KCI등재
      2014-12-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A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6-30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Christian Education -> The Korea Society for the Study of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6-06-2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Christian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2 1.22 1.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6 0.87 1.101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