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강원남부 폐광지역 개발기금 사업의 경제적 효과 : 2001~2021년간의 기금사업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2001년부터 2021년 기간의 강원남부 폐광지역 4개 시군을 대상으로 전개된 폐광지역개발기금 투자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 기간 동안 연차별 ...

      본 논문은 2001년부터 2021년 기간의 강원남부 폐광지역 4개 시군을 대상으로 전개된 폐광지역개발기금 투자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 기간 동안 연차별 투자 건수 1,220개로 구성된 691개의 재원 사업이 이행되었다. 분석대상 기간 동안 연차별로 투자된 재원의 합계는 총 1조 6,180.5억원이며, 지역산업연관분석을 통해 실증적으로 경제적 파급효과를 도출하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폐광지역개발기금의 투자금액의 면에서 보면, 대체로 생산유발효과가 상대적으로 낮은 3차산업 부문에 대한 재원의 비중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고려해야 할 점은 3차산업 부문의 취업유발효과가 이 지역에서 타 산업에 비해 높다는 점이다. 이러한 산업구조적 특성을 토대로 향후 폐광지역개발기금 사업의 경제적 효과를 최적화시키기 위해서는 유발계수 값의 분포를 고려한 재원의 배분 계획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본고의 추정결과는 향후 폐광지역 개발기금의 합리적인 배분을 위한 실증적 기초 자료로서의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economic effects of the closed mine area development fund on the southern part of the Gangwon provinces during the period 2001~2021. In this time frame, 691 financial projects comprising 1,220 items in the annual base w...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economic effects of the closed mine area development fund on the southern part of the Gangwon provinces during the period 2001~2021. In this time frame, 691 financial projects comprising 1,220 items in the annual base were carried out and the total amount of investment was 1,618.05 billion Won. The main goal of this study was to derive empirical evidence about the economic effect of this fund through the regional industrial input-output tables. An analysis of the distribution of financial resources available to the specific fields revealed that the portion of funds invested in the tertiary industry sector has a low production inducement effect, which was not comparable with other industries. However, the movement of the employment inducement coefficient of tertiary industries led by the services sector in this area is comparatively high. Based on the regional character of the industrial structure, it is necessary to make a deliberate funds distribution plan taking the movement of the above inducement coefficients into consideration, to optimize the economic effect of the closed mine area development fund. The empirical output derived from this study would assist policymakers in establishing an effective distribution strategy for the closed mine area development fund in the futu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기존연구의 검토 및 연구방법
      • 3. 폐기금 사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기존연구의 검토 및 연구방법
      • 3. 폐기금 사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 4. 결론
      • Reference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