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연구논문 : 학교 내 공식처벌이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 자아낙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The Effect of Official Punishment in Schools on Juvenile Delinquency: The Mediating Role of Self-Label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585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들어 점점 더 심각해지고 있는 청소년들의 비행 및 범죄를 예방하려는 목적으로 다시금 강력한 처벌이 그 수단으로써 논의되고 있다. 하지만 초기의 낙인이론가들은 사회의 공식적 기...

      최근 들어 점점 더 심각해지고 있는 청소년들의 비행 및 범죄를 예방하려는 목적으로 다시금 강력한 처벌이 그 수단으로써 논의되고 있다. 하지만 초기의 낙인이론가들은 사회의 공식적 기관이 비행행동을 저지른 사람에게 낙인효과를 주는 방식의 처벌을 가할 경우, 이를 통해 얻어지는 사회적 반응에 행위자가 적응하게 되면서 비행자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하게 되고, 결국 또 다른 이차적인 일탈행동을 야기할 수 있다고 보아, 공식적 처벌의 부정적인 영향에 대해 경고하였다. 이러한 측면에서 하루 중 대부분의 시간을 학교에서 보내는 청소년들에게는 학교는 가장 강력한 사회적 낙인을 부여할 수 있는 공간이 될 수 있으며, 학교에서 공식적 처벌을 통한 낙인을 부여받을 경우 비행자로서의 정체성 형성이 불가피할 것이다. 본 연구는 초기의 낙인이론이 제시한 바와 같이 공식처벌과 자아낙인, 비행의 시간적 인과관계가 유의미하게 나타날 것인지, 나타난다면 공식처벌의 비행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력을 감안하고서도 자아낙인을 통한 매개효과가 유의미한지 학교환경 속에서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시행한「한국청소년패널」의 중2패널 자료 중에서 3차(고1), 4차(고2), 5차(고3)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 분석을 시행 하였다. 분석결과, 공식처벌과 자아낙인, 비행의 시간적 인과관계가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자아낙인이 학교로부터 받는 공식 처벌과 비행행동의 관계에 있어서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갖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바람직한 청소년정책과 후속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논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zero tolerance type of tough policy has been prevailing in our society and has gained popularity among researchers and the public alike. Such anapproach is based on the notion that tough punishment prevent delinquent adolescents from committing ad...

      The zero tolerance type of tough policy has been prevailing in our society and has gained popularity among researchers and the public alike. Such anapproach is based on the notion that tough punishment prevent delinquent adolescents from committing additional delinquency and crime, which is based on the deterrence theory. However, labeling theory insists that the unintendedprimary delinquency may be developed into secondary deviance through self-labeling after those juveniles having been punished by official agencies. Considering juveniles’ situation in school, it is natural to assume that official punishment in school may bring strong self-labeling related to delinquent identity as the youth spend most of their time in school. It appears that there has not been enough attempt to investigate these causal relationships in our school settings. Based on the early labeling theory, current study attempted to fill this void by examining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official punishment, self-labeling, and delinquent behavior of adolescents in high school. By using the three waves of the Korean Youth Panel Survey data, we employed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which considers time effects and causal relationships at the same time. The result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aths from official punishment to delinquencies via self-labeling. Additionall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labeling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Suggestions for policies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based on the finding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보각, "학교에서의 낙인이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 중앙승가대학교 논문집 6 : 233 ~ 258, 1998

      2 박현수, "청소년비행에 있어 낙인의 효과에 대한 경험적 연구 : 비공식 낙인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 20 (1) : 227 ~ 251, 2009

      3 이성식, "청소년비행과 비공식낙인의 영향: 청소년패널자료의 분석" 형사정책연구 18 (3) : 1105 ~ 1128, 2007

      4 이은주, "청소년 비행과 일차적 자아개념의 상호적 인과관계- 잠재상태,특성 자기회귀 모델을 통한 재검증" 한국심리학회지 16 (4) : 447 ~ 468, 2010

      5 최인섭, "처벌의 낙인효과에 관한 연구" 1996

      6 백승희,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적용한 종단연구: 휴대전화의존도, 정서문제, 학교생활적응간의 관계" 아시아교육연구 15 (4) : 167 ~ 188, 2014

      7 홍세희, "인터넷중독과 부모와의 의사소통 사이의 자기회귀지연효과검증, 성별간 다집단분석" 교육심리연구 21 (1) : 129 ~ 143, 2007

      8 김효수, "비공식낙인과 부모애착이 청소년의 비행에 미치는 인과모형 - 매개효과의 검증을 중심으로 -" 청소년복지연구 12 (4) : 185 ~ 206, 2010

      9 김민정, "비공식 낙인이 청소년의 지위비행에 미치는영향에 관한 연구" 경찰학논총 9 (3) : 127 ~ 147, 2014

      10 尹玉卿, "법적낙인이 비행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87

      1 보각, "학교에서의 낙인이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 중앙승가대학교 논문집 6 : 233 ~ 258, 1998

      2 박현수, "청소년비행에 있어 낙인의 효과에 대한 경험적 연구 : 비공식 낙인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 20 (1) : 227 ~ 251, 2009

      3 이성식, "청소년비행과 비공식낙인의 영향: 청소년패널자료의 분석" 형사정책연구 18 (3) : 1105 ~ 1128, 2007

      4 이은주, "청소년 비행과 일차적 자아개념의 상호적 인과관계- 잠재상태,특성 자기회귀 모델을 통한 재검증" 한국심리학회지 16 (4) : 447 ~ 468, 2010

      5 최인섭, "처벌의 낙인효과에 관한 연구" 1996

      6 백승희,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적용한 종단연구: 휴대전화의존도, 정서문제, 학교생활적응간의 관계" 아시아교육연구 15 (4) : 167 ~ 188, 2014

      7 홍세희, "인터넷중독과 부모와의 의사소통 사이의 자기회귀지연효과검증, 성별간 다집단분석" 교육심리연구 21 (1) : 129 ~ 143, 2007

      8 김효수, "비공식낙인과 부모애착이 청소년의 비행에 미치는 인과모형 - 매개효과의 검증을 중심으로 -" 청소년복지연구 12 (4) : 185 ~ 206, 2010

      9 김민정, "비공식 낙인이 청소년의 지위비행에 미치는영향에 관한 연구" 경찰학논총 9 (3) : 127 ~ 147, 2014

      10 尹玉卿, "법적낙인이 비행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87

      11 Akers, R. L., "범죄학이론" 나남출판, 2011

      12 Triplett, R. A., "Theoretical and empirical specification of a model of informal labeling" Journal of Quantitative Criminology 10 (3) : 241 ~ 276, 1994

      13 Hagan, J., "The social reproduction of a criminal class in working-class London, circa 1950-1980"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6 (2) : 265 ~ 299, 1990

      14 Ageton, S. S., "The effects of legal processing on delinquent orientations" Social Proble 22 (1) : 87 ~ 100, 1974

      15 Farrington, D. P., "The Effects of Public Labeling" Brit. J. Criminology 17 (2) : 112 ~ 125, 1977

      16 Hirschfield, Paul J., "The Declining Significance of Delinquent Labels in Disadvantaged Urban Communities" Sociological Forum 23 (3) : 575 ~ 601, 2008

      17 Lemert, E. M., "Social Pathology; A systematic approach to the theory of sociopathic behavior" McGraw-Hill, 1951

      18 Kaplan, H. B., "Negative social sanctions and juvenile delinquency, Effects of labeling in a model of deviant behavior" Social Science Quarterly 72 (1) : 98 ~ 122, 1991

      19 Lee, J. S., "Labeling and the effect of adolescent legal system involvement on adult outcomes for foster youth aging out of care"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85 (5) : 441 ~ 451, 2015

      20 Lemert, E. M., "Human Deviance, Social Problems and Social Control" Prentice-Hall, 1967

      21 Rogers, J. W., "Fighting Back, Nine Modes of Adaptation to a Deviant Label" Social Proble 22 (1) : 101 ~ 118, 1974

      22 Becker, G. S., "Essays in the Economics of Crime and Punishment" NBER : 1 ~ 54, 1974

      23 Gibbs, Leonard E., "Effects of Juvenile Legal Procedures on Juvenile Offenders' Self-Attitudes" Journal of Research in Crime and Delinquency 11 : 51 ~ 55, 1974

      24 Tannenbaum, F., "Crime and the Community" Columbia University Press, 195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