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방사선 열화가 안전등급 케이블 화재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Radiation Deterioration on Class 1E Cable Fi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925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the effect of radiation deterioration on cable fire for a type of class 1E cable for a nuclear power plantwas investigated. Combustion and smoke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via a cone calorimeter test (ISO 5660-1), and thetoxicity index of the toxic gas emitted during combustion was analyzed by following the NES 713 standard. The peak heatrelease rate of the irradiated cable was measured to be approximately 38 kW/m2 higher than that of the non-irradiated cable. Additionally, the heat release rate of the irradiated cable temporarily increased during a certain period. This can be ascribedto the continuous pyrolysis and heat penetration as a result of the unstable formation of the char layer. The total heat releaseof the irradiated cable was measured to be approximately 2.2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non-irradiated cable. Acorresponding increase of ~2.8% in the total mass loss was observed. In the case of smoke characteristics, the irradiatedcable was measured to be 2.3 times higher in the smoke parameter and 3.8 times higher in the smoke factor comparedto the non-irradiated cable. For the toxicity index, only CO was detected above the critical factor in the non-irradiated cable,whereas both CO and HBr were detected above their critical factors in the irradiated cable.
      번역하기

      In this study, the effect of radiation deterioration on cable fire for a type of class 1E cable for a nuclear power plantwas investigated. Combustion and smoke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via a cone calorimeter test (ISO 5660-1), and thetoxicity ind...

      In this study, the effect of radiation deterioration on cable fire for a type of class 1E cable for a nuclear power plantwas investigated. Combustion and smoke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via a cone calorimeter test (ISO 5660-1), and thetoxicity index of the toxic gas emitted during combustion was analyzed by following the NES 713 standard. The peak heatrelease rate of the irradiated cable was measured to be approximately 38 kW/m2 higher than that of the non-irradiated cable. Additionally, the heat release rate of the irradiated cable temporarily increased during a certain period. This can be ascribedto the continuous pyrolysis and heat penetration as a result of the unstable formation of the char layer. The total heat releaseof the irradiated cable was measured to be approximately 2.2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non-irradiated cable. Acorresponding increase of ~2.8% in the total mass loss was observed. In the case of smoke characteristics, the irradiatedcable was measured to be 2.3 times higher in the smoke parameter and 3.8 times higher in the smoke factor comparedto the non-irradiated cable. For the toxicity index, only CO was detected above the critical factor in the non-irradiated cable,whereas both CO and HBr were detected above their critical factors in the irradiated cabl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원자력 발전소에서 사용되는 안전등급 케이블 1종에 대해 방사선 열화가 케이블 화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콘 칼로리미터 시험(ISO 5660-1)을 통한 연소특성 및 연기특성을 비교하였고 NES 713 규격에따라 연소 시 방출되는 독성가스에 대한 독성지수를 분석하였다. 방사선 조사 케이블의 최대 열방출률이 비방사선 조사케이블보다 약 38 kW/m2 높게 측정되었으며 비방사선 조사 케이블과는 다르게 다르게 일부 시간대에서 일시적으로열방출률이 증가하였다. 이는 char층의 불안정한 형성이 지속적인 열 침투 및 열분해를 일으킨 것으로 판단된다. 방사선 조사 케이블의 총 열방출률은 비방사선 조사 케이블에 비해 약 2.2배 높게 측정되었으며, 그에 따른 총 질량감소는 약 2.8% 증가하였다. 연기특성의 경우, Smoke parameter는 방사선 조사 케이블이 약 2.3배 높은 값이 측정되었으며, Smoke factor의 경우 방사선 조사 케이블이 약 3.8배 높게 측정되었다. 독성지수의 경우 비방사선 조사 케이블은CO만 치사농도 이상으로 측정되었으나, IR 케이블에서는 CO뿐만 아니라 HBr도 치사농도 이상으로 검출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원자력 발전소에서 사용되는 안전등급 케이블 1종에 대해 방사선 열화가 케이블 화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콘 칼로리미터 시험(ISO 5660-1)을 통한 연소특성 및 ...

      본 연구에서는 원자력 발전소에서 사용되는 안전등급 케이블 1종에 대해 방사선 열화가 케이블 화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콘 칼로리미터 시험(ISO 5660-1)을 통한 연소특성 및 연기특성을 비교하였고 NES 713 규격에따라 연소 시 방출되는 독성가스에 대한 독성지수를 분석하였다. 방사선 조사 케이블의 최대 열방출률이 비방사선 조사케이블보다 약 38 kW/m2 높게 측정되었으며 비방사선 조사 케이블과는 다르게 다르게 일부 시간대에서 일시적으로열방출률이 증가하였다. 이는 char층의 불안정한 형성이 지속적인 열 침투 및 열분해를 일으킨 것으로 판단된다. 방사선 조사 케이블의 총 열방출률은 비방사선 조사 케이블에 비해 약 2.2배 높게 측정되었으며, 그에 따른 총 질량감소는 약 2.8% 증가하였다. 연기특성의 경우, Smoke parameter는 방사선 조사 케이블이 약 2.3배 높은 값이 측정되었으며, Smoke factor의 경우 방사선 조사 케이블이 약 3.8배 높게 측정되었다. 독성지수의 경우 비방사선 조사 케이블은CO만 치사농도 이상으로 측정되었으나, IR 케이블에서는 CO뿐만 아니라 HBr도 치사농도 이상으로 검출되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 론 2. 시험재료 및 방법 3. 시험결과 4. 결 론 후 기 References
      • 1. 서 론 2. 시험재료 및 방법 3. 시험결과 4. 결 론 후 기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수길, "오염물질에 따른 HFIX 절연전선 피복의 특성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34 (34): 8-17, 2020

      2 서현정, "비 안전등급 케이블의 연소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연소학회 24 (24): 15-24, 2019

      3 진의, "붕소/실리콘 졸 화합물로 도포된 편백 목재의 연기유해성 평가" 한국화재소방학회 34 (34): 1-10, 2020

      4 최지선, "다양한 환경에서 감마선으로 조사된 불소고분자 필름들의 구조 및 열적/물성 변화" 한국고분자학회 38 (38): 457-463, 2014

      5 장은희, "가속열화에 따른 비안전등급 케이블의 독성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33 (33): 105-113, 2019

      6 "Standard Review Plan for the Review of Safety Analysis Reports for Nuclear Power Plant" 2017

      7 A. Schnipper, "Reduced Combustion Efficiency of Chlorinated Compounds, Resulting in Higher Yields of Carbon Monoxide" 19 : 61-64, 1995

      8 J. Wang, "Recent Research Progress on the Flame-retardant Mechanism of Halogen-free Flame Retardant Polypropylene" 48 (48): 297-302, 2009

      9 "NES 713, Determination of the Toxicity Index of the Products of Combustion from Small Specimens of Materials"

      10 Y. M. Ferng, "Investigating the Burning Characteristics of Electric Cables used in the Nuclear Power Plant by Way of 3-D transient FDS Code" 241 : 88-94, 2011

      1 최수길, "오염물질에 따른 HFIX 절연전선 피복의 특성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34 (34): 8-17, 2020

      2 서현정, "비 안전등급 케이블의 연소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연소학회 24 (24): 15-24, 2019

      3 진의, "붕소/실리콘 졸 화합물로 도포된 편백 목재의 연기유해성 평가" 한국화재소방학회 34 (34): 1-10, 2020

      4 최지선, "다양한 환경에서 감마선으로 조사된 불소고분자 필름들의 구조 및 열적/물성 변화" 한국고분자학회 38 (38): 457-463, 2014

      5 장은희, "가속열화에 따른 비안전등급 케이블의 독성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33 (33): 105-113, 2019

      6 "Standard Review Plan for the Review of Safety Analysis Reports for Nuclear Power Plant" 2017

      7 A. Schnipper, "Reduced Combustion Efficiency of Chlorinated Compounds, Resulting in Higher Yields of Carbon Monoxide" 19 : 61-64, 1995

      8 J. Wang, "Recent Research Progress on the Flame-retardant Mechanism of Halogen-free Flame Retardant Polypropylene" 48 (48): 297-302, 2009

      9 "NES 713, Determination of the Toxicity Index of the Products of Combustion from Small Specimens of Materials"

      10 Y. M. Ferng, "Investigating the Burning Characteristics of Electric Cables used in the Nuclear Power Plant by Way of 3-D transient FDS Code" 241 : 88-94, 2011

      11 L. Liu, "Influence of Ferrocene on Smoke Suppression Properties and Combustion Behavior of Intumescent Flame-retardant Epoxy Composites" 122 : 437-447, 2015

      12 "ISO 5660-1, Reaction to Fire Tests – Heat Release, Smoke Production and Mass Loss Rate – Part 1: Heat Release Rate (Cone Calorime-ter Method) and Smoke Production Rate (Dynamic Measurement)”"

      13 "IEEE-383, IEEE Standard for Type Test of Class 1E Electric Cables, Field Splices, and Connections for Nuclear Power Generating Stations"

      14 A. P. Mouritz, "Heat Release of Polymer Composites in Fire" 37 (37): 1040-1054, 2006

      15 B. N. Jang, "Flame Retardant and Flame Retardant Resin Research Trend" 20 (20): 8-15, 2009

      16 L. Ahmed, "Fire Reaction Properties of Polystyrene-based Nanocomposites using Nanosilica and Nanoclay as Additives in Cone Calorimeter Test" 132 : 1853-1865, 2018

      17 "Fire PRA Methodology for Nuclear Power Facilities" 2005

      18 T. Gong, "Fire Behaviors of Flameretardant Cables Part I : Decomposition, Swelling and Spontaneous Ignition" 95 : 113-121, 2018

      19 M. R. Ricciardi, "Fire Behavior and Smoke Emission of Phosphate–based Inorganic Fire-retarded Polyester Resin" 36 (36): 203-215, 2012

      20 Z. Zhang, "Experimental Study on Smoke Characteristics of Aviation Cable Material Based on Cone Calorimeter" 1-7, 2019

      21 B. Wang, "Electron Beam Irradiation Cross Linking of Halogen-Free Flame-retardant Ethylene Vinyl Acetate(EVA)Copolymer by Silica Gel Microencapsulated Ammonium Polyphosphate and Char-forming Agent" 50 : 5596-5605, 2011

      22 L. Verardi, "Electrical Aging Markers for EPR-based Low-voltage Cable Insulation Wiring of Nuclear Power Plants" 94 : 166-170, 2014

      23 R. Shen, "Cone Calorimeter Analysis of Flame Retardant Poly(Methyl Methacrylate)-silica Nanocomposites" 128 : 1443-1451, 2017

      24 J. S. Park, "Chemorheological Aspects in Polymer Irradiation" 2 (2): 18-26, 1990

      25 L. Li, "An Enhanced Fire Hazard Assessment Model and Validation Experiments for Vertical Cable Trays" 301 : 32-38, 2016

      26 T. V. Santhosh, "An Approach for Reliability Prediction of Instrumentation & Control Cables by Artificial Neural Networks and Weibull Theory for Probabilistic Safety Assessment of NPPs" 170 : 31-44,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9-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0-1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화재.소방학회지 ->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7-07-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RANSACTION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5 0.45 0.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45 0.613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