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평생학습사회의 문학교육 양상과 평가 방향 = Literary Education at Lifelong Learning Society and Evaluating Literary Competenc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2400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ifelong education is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in 21st century. Up until now, evaluation of literary education has been performed focusing on the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education, written texts and personal appreciating activities of the reader. However, lifelong education requires new extended concepts to evaluate literary education. From infancy to senescence in time, from individual to society in space, and from public, private, and personal in practice field, lifelong education needs a wide vision and new concept of integrated literary competency evaluation.
      Integrated literary competency evaluation is designed to evaluate overall literary competency of an individual and society for lifelong literature learning. It is based on the balance and tension between a learner - educational support system and text directivity – life/culture directivity. Through this evaluation, contribution of literary education in general education as in development of each individual and society can be more clarified. Moreover, the ideal and reality of literary education can be diagnosed in a viewpoint of lifelong education, along with meaningful suggestions to improve the range and quality of literary education in each lifetime period. Finally, a logical basis to differentiate foci of learning and evaluating activities by each lifetime period can be prepared, which will eventually improve the entire literary education.
      번역하기

      Lifelong education is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in 21st century. Up until now, evaluation of literary education has been performed focusing on the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education, written texts and personal appreciating activities of the...

      Lifelong education is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in 21st century. Up until now, evaluation of literary education has been performed focusing on the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education, written texts and personal appreciating activities of the reader. However, lifelong education requires new extended concepts to evaluate literary education. From infancy to senescence in time, from individual to society in space, and from public, private, and personal in practice field, lifelong education needs a wide vision and new concept of integrated literary competency evaluation.
      Integrated literary competency evaluation is designed to evaluate overall literary competency of an individual and society for lifelong literature learning. It is based on the balance and tension between a learner - educational support system and text directivity – life/culture directivity. Through this evaluation, contribution of literary education in general education as in development of each individual and society can be more clarified. Moreover, the ideal and reality of literary education can be diagnosed in a viewpoint of lifelong education, along with meaningful suggestions to improve the range and quality of literary education in each lifetime period. Finally, a logical basis to differentiate foci of learning and evaluating activities by each lifetime period can be prepared, which will eventually improve the entire literary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21세기로 깊이 들어가면서 평생학습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지금까지의 문학교육평가는 주로 학교교육 단계에서, 문자 텍스트를 자료로 하여, 개별 독자의 이해⋅감상 행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으나 평생학습사회에서는 그보다 확장된 평가가 필요하다. 시간적으로 영⋅유아기부터 노년기까지, 공간적으로 개인 공간에서 사회 공간에 걸쳐, 실천 영역에서 공공 부분⋅민간 부문⋅사적 부문으로 넓게 퍼져 있는 평생학습을 감당하려면 통합적인 문학역량평가를 구안해야 한다.
      통합적 문학역량평가는 평생문학학습을 위하여 학습자와 학습 지원 시스템 사이, 텍스트 지향성과 삶⋅문화 지향성 사이의 긴장과 균형을 바탕으로 개인과 사회의 총체적인 문학 역량을 평가하는 기획이다. 이를 통하여 개인의 성장과 사회 발전이라는 교육 일반의 목적에 문학교육이 기여하는 바를 분명히 하고, 생애적 조망 아래 문학교육의 현실태와 이념태를 실제적으로 점검⋅조정하며, 다양한 장(場)에서 이루어지는 문학 학습의 질을 높이는 방안을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생애 전환기를 분기점으로 각 단계마다 학습과 평가의 초점을 달리하면서 문학교육 체제를 정교화하는 근거도 마련할 수 있다.
      본고는 이와 관련하여 평생학습의 관점에서 문학교육의 체제와 위상을 점검하고, 장기적인 개인의 성장과 문학문화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문학역량평가의 방법을 거시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하여 평생문학학습 및 문학교육평가에 관한 문제의식을 심화⋅확산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21세기로 깊이 들어가면서 평생학습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지금까지의 문학교육평가는 주로 학교교육 단계에서, 문자 텍스트를 자료로 하여, 개별 독자의 이해⋅감상 행위 중심으로 이...

      21세기로 깊이 들어가면서 평생학습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지금까지의 문학교육평가는 주로 학교교육 단계에서, 문자 텍스트를 자료로 하여, 개별 독자의 이해⋅감상 행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으나 평생학습사회에서는 그보다 확장된 평가가 필요하다. 시간적으로 영⋅유아기부터 노년기까지, 공간적으로 개인 공간에서 사회 공간에 걸쳐, 실천 영역에서 공공 부분⋅민간 부문⋅사적 부문으로 넓게 퍼져 있는 평생학습을 감당하려면 통합적인 문학역량평가를 구안해야 한다.
      통합적 문학역량평가는 평생문학학습을 위하여 학습자와 학습 지원 시스템 사이, 텍스트 지향성과 삶⋅문화 지향성 사이의 긴장과 균형을 바탕으로 개인과 사회의 총체적인 문학 역량을 평가하는 기획이다. 이를 통하여 개인의 성장과 사회 발전이라는 교육 일반의 목적에 문학교육이 기여하는 바를 분명히 하고, 생애적 조망 아래 문학교육의 현실태와 이념태를 실제적으로 점검⋅조정하며, 다양한 장(場)에서 이루어지는 문학 학습의 질을 높이는 방안을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생애 전환기를 분기점으로 각 단계마다 학습과 평가의 초점을 달리하면서 문학교육 체제를 정교화하는 근거도 마련할 수 있다.
      본고는 이와 관련하여 평생학습의 관점에서 문학교육의 체제와 위상을 점검하고, 장기적인 개인의 성장과 문학문화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문학역량평가의 방법을 거시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하여 평생문학학습 및 문학교육평가에 관한 문제의식을 심화⋅확산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재웅, "평생학습국가 건설을 위한 평생교육제도 활성화 방안 : 원격대학, 학점은행제, 그리고 독학학위제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행정학회 23 (23): 447-470, 2005

      2 진선희, "평생학습 시대의 초등문학교육과 평가의 기능" 한국문학교육학회 131-148, 2017

      3 최현묵, "평생교육으로서 문화예술교육의 의미(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사업을 중심으로)" 모드니문화예술교육연구소 1 (1): 169-184, 2008

      4 백은순, "평생교육 관점에서 바라본 다문화교육의 방향과 과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3-215, 2013

      5 김찬기, "성인의 문학 능력의 성격과 전망, In 평생학습 시대를 향한 문학 평가의 현황과 미래" 한국문학교육학회 195-202, 2017

      6 전은주, "생애주기별 의사소통 과업과 교육" 국어교육학회 50 (50): 87-119, 2015

      7 길호현, "생애 주기별 역량 기반 독서 평가 방안 연구" 한국언어문화학회 (59) : 81-116, 2016

      8 박인기, "미래 사회 국어능력과 국어교육의 혁신" 한국국어교육학회 (109) : 191-217, 2016

      9 민재원, "문학을 통한 성장 ‘에 대한 학습 활동 구현 양상의 비판적 검토, In 평생학습 시대를 향한 문학 평가의 현황과 미래" 한국문학교육학회 151-168, 2017

      10 김창원, "독자들의 반란 - 대안 문학이 왜 필요한가" 한국독서학회 2 : 201-237, 1997

      1 김재웅, "평생학습국가 건설을 위한 평생교육제도 활성화 방안 : 원격대학, 학점은행제, 그리고 독학학위제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행정학회 23 (23): 447-470, 2005

      2 진선희, "평생학습 시대의 초등문학교육과 평가의 기능" 한국문학교육학회 131-148, 2017

      3 최현묵, "평생교육으로서 문화예술교육의 의미(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사업을 중심으로)" 모드니문화예술교육연구소 1 (1): 169-184, 2008

      4 백은순, "평생교육 관점에서 바라본 다문화교육의 방향과 과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3-215, 2013

      5 김찬기, "성인의 문학 능력의 성격과 전망, In 평생학습 시대를 향한 문학 평가의 현황과 미래" 한국문학교육학회 195-202, 2017

      6 전은주, "생애주기별 의사소통 과업과 교육" 국어교육학회 50 (50): 87-119, 2015

      7 길호현, "생애 주기별 역량 기반 독서 평가 방안 연구" 한국언어문화학회 (59) : 81-116, 2016

      8 박인기, "미래 사회 국어능력과 국어교육의 혁신" 한국국어교육학회 (109) : 191-217, 2016

      9 민재원, "문학을 통한 성장 ‘에 대한 학습 활동 구현 양상의 비판적 검토, In 평생학습 시대를 향한 문학 평가의 현황과 미래" 한국문학교육학회 151-168, 2017

      10 김창원, "독자들의 반란 - 대안 문학이 왜 필요한가" 한국독서학회 2 : 201-237, 1997

      11 이민희, "대학입학시험 문학능력 평가의 비판적 검토와 대안" 한국문학교육학회 171-192, 2017

      12 박인기, "국어교육의 사회적 책무 – 국어교육과 사회 변동의 상호성, In 4차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하는 국어교육의 책무와 윤리" 한국어교육학회 3-29, 2017

      13 민현식, "국어교육과 생애주기(평생)교육의 학제적 접근 - 평생국어교육의 문해력 증진을 위하여 -" 국어교육학회 50 (50): 5-46,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7-1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Literature Education Research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7 0.77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9 0.61 1.085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