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청소년 문학의 향유 맥락을 살피고 그 문학교육적 함의를 모색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문학교육의 목표가 교실을 넘어 소설 문화를 스스로 향유하는 평생 독자를 기르는 것이라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청소년 문학의 향유 맥락을 살피고 그 문학교육적 함의를 모색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문학교육의 목표가 교실을 넘어 소설 문화를 스스로 향유하는 평생 독자를 기르는 것이라면...
이 연구는 청소년 문학의 향유 맥락을 살피고 그 문학교육적 함의를 모색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문학교육의 목표가 교실을 넘어 소설 문화를 스스로 향유하는 평생 독자를 기르는 것이라면, 청소년 문학을 통한 독자층의 형성은 학교 안과 밖을 아우르는 중요한 문학 교육의 전제가 된다.
그러나 청소년 문학은 어른들이 바라는 청소년의 모습을 반영하여 계도의 관점으로 치우치거나 학습과 지나치게 긴밀하게 묶이면서 본래의 문학적 본질로부터 멀어지기도 하였다. 청소년이 당사자로서 자신의 목소리를 내며,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는 문학을 향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청소년 문학 및 문학 교육의 새로운 변화가 요청된다. 무엇보다도 청소년을 계도하고 훈육해야 할 미완의 존재이자 어떻게든 포박하고 이 세계 내로 불러들여야 할 불온한 타자로 볼 것이 아니라 그 자체로 온전한 의미를 갖는 현재형의 주체로 존중하는 패러다임의 변화가 필요하다. 이는 문학 교육 전체의 판도를 바꾸는 것이며, 그보다 더 나아가 교육과 사회, 그리고 삶을 바라보는 관점을 전환하는 일이다.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정용, "환상과 현실 사이, 독일 청소년 문학의 경향과 한국에서의 수용 가능성"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18 : 1999
2 박경희, "한국청소년소설과 청소년의 성장 담론" 역락 2017
3 오세란, "한국 청소년 소설 연구" 청동거울
4 김성진, "학교 폭력에 대한 청소년 소설의 서사화 양상" 한국문학치료학회 26 : 333-354, 2013
5 Barthes, R., "텍스트의 즐거움" 동문선 2002
6 이금이, "청춘기담" 사계절 2014
7 우신영, "청소년창작소설에 나타난 부모-자녀 서사 연구" 한민족어문학회 (73) : 479-505, 2016
8 허병식, "청소년을 위한 문학은 없다" 63-82, 2009
9 김영희, "청소년은 청소년 소설을 어떻게 읽고 있나" 11 (11): 48-63, 2013
10 박경희, "청소년소설의 성장 서사 연구 - 성과 사랑의 의사결정을 중심으로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7 (7): 643-664, 2016
1 김정용, "환상과 현실 사이, 독일 청소년 문학의 경향과 한국에서의 수용 가능성"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18 : 1999
2 박경희, "한국청소년소설과 청소년의 성장 담론" 역락 2017
3 오세란, "한국 청소년 소설 연구" 청동거울
4 김성진, "학교 폭력에 대한 청소년 소설의 서사화 양상" 한국문학치료학회 26 : 333-354, 2013
5 Barthes, R., "텍스트의 즐거움" 동문선 2002
6 이금이, "청춘기담" 사계절 2014
7 우신영, "청소년창작소설에 나타난 부모-자녀 서사 연구" 한민족어문학회 (73) : 479-505, 2016
8 허병식, "청소년을 위한 문학은 없다" 63-82, 2009
9 김영희, "청소년은 청소년 소설을 어떻게 읽고 있나" 11 (11): 48-63, 2013
10 박경희, "청소년소설의 성장 서사 연구 - 성과 사랑의 의사결정을 중심으로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7 (7): 643-664, 2016
11 박경희, "청소년소설의 성장 담론 연구 - 또래 문화를 중심으로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6 (6): 233-260, 2015
12 임은희, "청소년문학 텍스트를 활용한 윤리적 성의 문학교육 고찰" 한국언어문화학회 (47) : 333-356, 2012
13 김성진, "청소년 소설의 장르적 특징과 문학교육" 한국어교육학회 103-110, 2010
14 김명순, "청소년 소설의 문학적 성격과 문제점" 현대문학이론학회 (36) : 221-240, 2009
15 오세란, "청소년 문학의 정체성을 묻다" 창비 2015
16 김중신, "청소년 문학의 재개념화를 위한 고찰" 한국문학교육학회 9 : 11-36, 2002
17 "청소년 문학의 길을 묻다-청소년이 보는 청소년 문학" 창비 4 (4): 2006
18 김상욱, "전복적 상상력으로서의 청소년 문학" (여름) : 2009
19 강유정, "장르로서의 청소년 소설" (가을) : 2009
20 김현철, "일제기 청소년 문제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21 김성진, "인터넷 로맨스 서사물 읽기의 맥락과 문학교육" 한국현대소설학회 (26) : 273-291, 2005
22 정혜경, "이 시대의 아이콘 ‘청소년(을 위한)’ 문학의 딜레마" 107-123, 2008
23 김경연, "우리들의 타화상 : 아동청소년 문학의 세계" 창비 2008
24 정소연, "옆집의 영희 씨" 창비 2015
25 황선열, "아동청소년 문학의 새로움" 푸른책들 2008
26 김정우, "스마트 교육 시대의 문학교육" 국어교육학회 49 (49): 77-105, 2014
27 Spivak, G. C., "서발턴은 말할 수 있는가? : 서발턴 개념의 역사에 관한 성찰들" 그린비출판사 2013
28 Scholes, Robert, "문학이론과 문학교육: 텍스트의 위력" 하우 1995
29 김대행, "문학교육원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0
30 우한용, "문학교육과 문화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7
31 이재기, "맥락 중심 문식성 교육 방법론" 청람어문교육학회 (34) : 99-128, 2006
32 김명희, "독일청소년문학에 나타난 자아정체성 문제와 수업모델 연구 - 미리암 프레슬러의 <씁쓸한 초콜릿>을 중심으로"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65 (65): 171-193, 2016
33 정명순, "독일 청소년 문학과 문학교육" 한국독일언어문학회 (37) : 337-358, 2007
34 김경연, "독일 '아동 및 청소년 문학'연구 : 교육적 관점과 미적 관점의 역사적 고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35 "기획회의"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 2008
36 박진, "그래서 우리는 소설을 읽는다" 자음과모음 2011
37 남민우, "‘사이버-청소년문학’의 문학교육적 의미 연구-문학교육적 비평의 정립을 위한 시론" 한국문학교육학회 (19) : 241-298, 2006
38 김경애, "‘보는’ 소설로의 전환, 로맨스 웹소설 문화 현상의 함의와 문제점"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8 (8): 1367-1388, 2017
교육과정을 토대로 한 교과 통합 수업 연구 - 『물고기는 물고기야』를 중심으로 -
비극성의 관점에서 본 고전소설 결말 구조 연구 - <이생규장전>, <운영전>을 중심으로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7-1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Literature Education Research |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7 | 0.77 | 0.6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9 | 0.61 | 1.085 | 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