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촌락을 자기완결적 개체라기보다는 지역적 존재로 보고 일정 수의 촌락이 상호작용하는 기본 단위로서 촌락권의 형성과정에 접근한 것이다. 이를 검토하기 위해 전통적으로 한국...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6388050
2004
-
980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36-52(17쪽)
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촌락을 자기완결적 개체라기보다는 지역적 존재로 보고 일정 수의 촌락이 상호작용하는 기본 단위로서 촌락권의 형성과정에 접근한 것이다. 이를 검토하기 위해 전통적으로 한국...
이 논문은 촌락을 자기완결적 개체라기보다는 지역적 존재로 보고 일정 수의 촌락이 상호작용하는 기본 단위로서 촌락권의 형성과정에 접근한 것이다. 이를 검토하기 위해 전통적으로 한국의 촌락 형성에서 중요한 주체였던 조선시대 사족집단에 주목한 다음, 오서산의 계거지 청라동을 사례로 사회관계망과 촌락권 사이의 습합관계를 규명하였다. 연구 결과. 청라동에서는 경관과 장소의 측면에서 서로 대비되는 두 개의 사회지역을 확인하였으며 본 고에서는 각각 촌락권- I 과 촌락권 -II 로 명명하였다. 전자는 기원이 14세기말로 소급되는 전형적인 사족집단의 촌락권으로서 유교적 경관과 장소로 특징지어진다. 후자는 19세기 이후에 형성된 촌락권으로서 기층민속경관 및 장소가 탁월하게 나타난다. 두 촌락권 공히 혈연-지연 관계를 기반으로 형성되었지만, 전자가 화암서원을 상징경관으로 내세우는 權力共同體 성향의 촌락권이라면 후자는 마을 중앙의 堂山을 정신적 구심점으로 한 삼림지의 개간 주체로서 生計共同體로서의 성격이 강하다. 근·현대 이후 촌락권 II 는 전통시기의 정치·사회적 중심이었던 촌락권 I 에 대응하여 청라동의 새로운 경제적 중심지로 부상하였다. 오늘날 정라동에는 전통시기의 정치·사회적 중심이었던 촌락권 I 과 근·현대 이후 청라동의 새로운 경제적 중심지로 부상한 촌락권 II 가 사회·공간적으로 여전히 분리성향을 띠며 공존하고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ural settlement constitutes a part of rural community and can be better understood as a regional existence rather than just a self-sufficient unit. This study examines the probable connections between socio-spatial nexus and the forming of rural com...
Rural settlement constitutes a part of rural community and can be better understood as a regional existence rather than just a self-sufficient unit. This study examines the probable connections between socio-spatial
nexus and the forming of rural community based on the interpretation of landscape at or around the village of Cheong-ra dong in South Choongchung Province. In this paper I suggest two realms of rural communities termed community I and community II respectively. The former which originates in the 14th century can be characterized as power-oriented community, while the latter which began shaping up late in the 19th century is a typical case of livelihood community. The main finding from literary and field trip evidence is that the community II outran the former socic-political core of Cheong-ra dong, or community I, and rose to be a new center of local economy in the mode구 period.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嶺西太白山地에 있어서 氏族의 移動과 村落의 形成에 관한 硏究" 30-46, 1986
2 "충남의 서원사우" 충청남도 1999
3 "촌락사회지리학의 개념 구성과 마을 연구" 6 : 267-283, 2004
4 "일본의 한 촌락사회의 민간신앙" 39 : 329-343, 1997
5 "農村景觀의 形態的 硏究 - 驪州利川地方을 中心으로" 96-115, 1979
6 "氏族村落의 形成過程과 立地 및 儒敎文化景觀 - 安東地方의 士族村落을 중심으로 -" 241-251, 1983
7 "村落空間の分類體系とその統合的檢討" 51 (51): 433-456, 1999
8 "村落內小社會集團の成立と基礎地域の社會的紐帶" 52 (52): 63-79, 2000
9 "村落, 어떻게 파악할 것인가?" 공주대 지역개발연구소 7 : 1-16, 1998
10 "朝鮮時代 村落의 地域的 性格" 17-32, 1987
1 "嶺西太白山地에 있어서 氏族의 移動과 村落의 形成에 관한 硏究" 30-46, 1986
2 "충남의 서원사우" 충청남도 1999
3 "촌락사회지리학의 개념 구성과 마을 연구" 6 : 267-283, 2004
4 "일본의 한 촌락사회의 민간신앙" 39 : 329-343, 1997
5 "農村景觀의 形態的 硏究 - 驪州利川地方을 中心으로" 96-115, 1979
6 "氏族村落의 形成過程과 立地 및 儒敎文化景觀 - 安東地方의 士族村落을 중심으로 -" 241-251, 1983
7 "村落空間の分類體系とその統合的檢討" 51 (51): 433-456, 1999
8 "村落內小社會集團の成立と基礎地域の社會的紐帶" 52 (52): 63-79, 2000
9 "村落, 어떻게 파악할 것인가?" 공주대 지역개발연구소 7 : 1-16, 1998
10 "朝鮮時代 村落의 地域的 性格" 17-32, 1987
11 "智異山地 村落의 立地" 12 (12): 37-52, 2000
12 "景觀體驗과 場所의 社會化 전환기의 한국지리" 71-94, 1993
13 "慶州李氏大同譜" 경주이씨 대동보편찬위원회 1978
14 "同族村의 文化地理的 硏究 - 蔚州郡 上北面 池內里의 事例硏究 -" 19-37, 1990
15 "南陽洪氏 同族社會集團의 地域化過程" 383-424, 1985
16 "半月面 四里 同族部落에 대한 硏究 - 起源과 發達過程을 中心으로 -" 29-52, 1980
17 "保寧地方의 性理學 受容과 그 學脈" 대보문화연구회 6 : 33-48, 1997
18 "The restructuring of social imaginations in rural geography" 14 (14): 121-153, 1998
19 "The Dictionary of Human Geography" Blackwell 2001
20 "Rural geography" 26 (26): 665-670, 2002
21 "Postmodern rural geography? A reply to Murdoch and Pratt Journal of Rural Studies 9" 429-436, 1993
22 "Journal of Rural Studies 9" 411-427, 1993
23 "Human Territorial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6
24 "Deconstructing and reconstructing rural geographies" 3 : 345- 350, 1996
25 ""종족집단의 지역화과정에 관한 연구(Ⅱ) 경관생산단계" 38 (38): 575-590, 2003
[서평] 남기고 싶은 우리의 지리 이야기, 권혁재. 2004. 산악문화.
[서평] Doiin Cultural Geography, ed., Pamela Shurmer-Smith. 2002. Sage Publications.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12-26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 문화역사지리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4 | 0.64 | 0.6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5 | 0.66 | 0.935 | 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