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 실행에 유아교사의 경험을 알아보기 위해 기존의 연구물들을 종합하여 질적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2019 개정 누리과정 실시하는 현장에서 드러나는 교사 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419425
2024
Korean
912
학술저널
1-16(1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 실행에 유아교사의 경험을 알아보기 위해 기존의 연구물들을 종합하여 질적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2019 개정 누리과정 실시하는 현장에서 드러나는 교사 의 ...
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 실행에 유아교사의 경험을 알아보기 위해 기존의 연구물들을 종합하여 질적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2019 개정 누리과정 실시하는 현장에서 드러나는 교사 의 경험에 대한 포괄적인 파악을 위한 것이므로 분석 대상이 충 8편을 선정하였다. 8편의 분석 대상 연구물을 반복하여 읽으면서, 개별 연구마다 저자의 의도와 자료의 의미를 유지하는 동시에 2019 개정 누리과정 실행에 현장에서 나타나는 교사의 경험에 대해 추출된 분석틀인 ‘경험, 어려움’을 중심으로 8개 범주를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개정 누리 과정 실행되면서 교 사들이 놀이중심, 유아중심 교육과정을 운영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그러나 교사들은 놀이지원을 하면서 어디까지 놀이고 어디까지 교육인지 구분하기 어려운 것을 느끼게 되면서, 명확한 지침이 없어서 혼란스러움을 경험하게 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결과 의 바탕으로 놀이중심 교육과정을 실행에 유아교사가 유아의 놀이를 지원하는 과정에서 나아가 야 할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유아놀이의 가치를 더 깊이 생각하고 유아중심, 놀이중심 교육과정의 가치와 목표를 조화롭게 실천하기 위해 교사의 과대한 업무량을 줄이고 유아의 놀이를 관찰하고 기록하여 그것을 바탕으로 성찰하는 시간을 제공해 주어야 한다. 둘째, 교사마다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교사들은 서로의 정보 를 공유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해 주는 것을 제안해 본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conducted a qualitative meta-analysis by synthesizing existing studies to find out the experienc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ourse. Since it is for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teach...
This study conducted a qualitative meta-analysis by synthesizing existing studies to find out the experienc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ourse. Since it is for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teacher's experiences revealed in the field of implementa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ourse, a total of 8 studies were selected. While reading the eight studies to be analyzed repeatedly, the authors' intentions and the meaning of the data were maintained for each individual study, and eight categories were made centering on 'Experiences, Difficulties', an analysis framework extracted from the teacher's experiences in the field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ours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irst, it can be seen that teachers have made a lot of effort to operate the play-oriented and early childhood-oriented curriculum while implementing the revised Nuri course. Second, while providing play support, teachers felt that it was difficult to distinguish between how far they played and how far they were educated, and experienced confusion because there were no clear guidelines.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in which early childhood teachers should proceed in the process of supporting children's play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play-oriented curriculum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think deeply about the value of early childhood play and are early childhood-oriented.In order to harmoniously practice the values and goals of the play-centered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excessive workload of teachers, observe and record children's play, and provide time for reflection based on it. Second, since each teacher has a different degree of understanding of the curriculum, it is suggested that teachers provide a place to share information with each other.
목차 (Table of Contents)
A Century of Global Management
Feasibility of Northeast Asian Economic and Trade Cooperation in Global Value Chai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