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50~60년대 外來語 表記 政策 樹立과 普及에 관한 一考察 –문교부(1958), “로마자의 한글화 표기법”과 편수 자료를 中心으로– = Establishment and Dissemination of Loanword Transcription Policy in 1950s and 1960s: “Koreanization of Roman Characters”(1958) and Editing Material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stablishment and dissemination of loanword transcription policy in the 1950s and 1960s by reviewing printed materials such as “Koreanization of Roman Characters” enac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1958 and editing materials No. 1 and No. 3. The “Koreanization of Roman Characters” is a revision of the loanword writing norm enac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1948, and is an orthography that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urrent loanword writing rules. In the 1950s, there was no institution or department dedicated to Korean language policy; therefore, the Korean language related committee performed research and discussed the revision of the orthography itself. At the time of enactment, this norm mainly considered only the transcription of English loanwords, but later supplemented the detailed rules of various languages through editing materials. In addition, a memo from the reviewer in the book makes it possible to check the discussions of policymakers at that time, such as regarding long vowel writing. The fact that loanword orthography was supplemented, and examples of loanword usage were disseminated through editing materials reveals that when the Ministry of Education was in charge of Korean language policy, the dissemination of language regulations was emphasized in the public domain, especially in the field of education.
      번역하기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stablishment and dissemination of loanword transcription policy in the 1950s and 1960s by reviewing printed materials such as “Koreanization of Roman Characters” enac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1958 and editing...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stablishment and dissemination of loanword transcription policy in the 1950s and 1960s by reviewing printed materials such as “Koreanization of Roman Characters” enac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1958 and editing materials No. 1 and No. 3. The “Koreanization of Roman Characters” is a revision of the loanword writing norm enac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1948, and is an orthography that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urrent loanword writing rules. In the 1950s, there was no institution or department dedicated to Korean language policy; therefore, the Korean language related committee performed research and discussed the revision of the orthography itself. At the time of enactment, this norm mainly considered only the transcription of English loanwords, but later supplemented the detailed rules of various languages through editing materials. In addition, a memo from the reviewer in the book makes it possible to check the discussions of policymakers at that time, such as regarding long vowel writing. The fact that loanword orthography was supplemented, and examples of loanword usage were disseminated through editing materials reveals that when the Ministry of Education was in charge of Korean language policy, the dissemination of language regulations was emphasized in the public domain, especially in the field of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김아영, 2023, 1950~60년대 외래어 표기 정책 수립과 보급에 관한 일고찰, 어문연구, 197 : 81~106 이 연구에서는 문교부에서 1958년 제정한 “로마자의 한글화 표기법”과 󰡔편수 자료󰡕 제1호(1959), 제3호(1960) 등의 실물 자료를 검토하여 1950~60년대 당시 외래어 표기 정책의 수립과 보급 양상을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로마자의 한글화 표기법”은 문교부에서 1948년 제정한 “들온말 적는 법”을 개정한 것으로, 현행 “외래어 표기법”에도 큰 영향을 끼친 표기법이다. 1950년대에는 국어정책 전담 기관이나 부서가 없어 국어 관련 위원회에서 표기법의 개정을 직접 논의하였다. 이 표기법은 명칭에 ‘로마자’를 사용한 것이 특징이며, 제정 당시 영어 외래어 표기만을 주로 고려하였으나 이후 󰡔편수 자료󰡕를 통하여 다양한 언어의 세칙을 보완하였다. 실물 자료에 남아 있는 당시 검토자의 기록을 통해 장모음 표기 등에 대한 정책 입안자들의 논의 사항을 확인할 수 있다. 󰡔편수 자료󰡕를 통해 외래어 표기법이 보완되고 외래어 용례가 보급되었다는 점은 문교부가 국어정책을 주관하던 당시에는 공공 영역 중 특히 교육 분야에서 어문규정의 보급이 중시되었다는 일면을 보여준다.
      번역하기

      김아영, 2023, 1950~60년대 외래어 표기 정책 수립과 보급에 관한 일고찰, 어문연구, 197 : 81~106 이 연구에서는 문교부에서 1958년 제정한 “로마자의 한글화 표기법”과 󰡔편수 자료󰡕 제1호(1959...

      김아영, 2023, 1950~60년대 외래어 표기 정책 수립과 보급에 관한 일고찰, 어문연구, 197 : 81~106 이 연구에서는 문교부에서 1958년 제정한 “로마자의 한글화 표기법”과 󰡔편수 자료󰡕 제1호(1959), 제3호(1960) 등의 실물 자료를 검토하여 1950~60년대 당시 외래어 표기 정책의 수립과 보급 양상을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로마자의 한글화 표기법”은 문교부에서 1948년 제정한 “들온말 적는 법”을 개정한 것으로, 현행 “외래어 표기법”에도 큰 영향을 끼친 표기법이다. 1950년대에는 국어정책 전담 기관이나 부서가 없어 국어 관련 위원회에서 표기법의 개정을 직접 논의하였다. 이 표기법은 명칭에 ‘로마자’를 사용한 것이 특징이며, 제정 당시 영어 외래어 표기만을 주로 고려하였으나 이후 󰡔편수 자료󰡕를 통하여 다양한 언어의 세칙을 보완하였다. 실물 자료에 남아 있는 당시 검토자의 기록을 통해 장모음 표기 등에 대한 정책 입안자들의 논의 사항을 확인할 수 있다. 󰡔편수 자료󰡕를 통해 외래어 표기법이 보완되고 외래어 용례가 보급되었다는 점은 문교부가 국어정책을 주관하던 당시에는 공공 영역 중 특히 교육 분야에서 어문규정의 보급이 중시되었다는 일면을 보여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희원, "한국의언어정책현황과과제" 우리말학회·한국어문화교육학회 221-232, 2018

      2 김아영, "한국의 외래어 정책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2022

      3 문교부, "편수 자료 제3호"

      4 문교부, "편수 자료 제1호"

      5 任洪彬, "외래어 표기의 역사" 6 (6): 3-40, 1996

      6 임동훈, "외래어 표기법의 원리와 실제" 6 (6): 41-61, 1996

      7 김수현, "외래어 표기법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8 문교부, "외래어 표기법"

      9 박창원, "외래어 표기 양상의 변천" 14 (14): 59-102, 2004

      10 조태린, "언어 정책이란 무엇인가" 20 (20): 117-131, 2010

      1 정희원, "한국의언어정책현황과과제" 우리말학회·한국어문화교육학회 221-232, 2018

      2 김아영, "한국의 외래어 정책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2022

      3 문교부, "편수 자료 제3호"

      4 문교부, "편수 자료 제1호"

      5 任洪彬, "외래어 표기의 역사" 6 (6): 3-40, 1996

      6 임동훈, "외래어 표기법의 원리와 실제" 6 (6): 41-61, 1996

      7 김수현, "외래어 표기법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8 문교부, "외래어 표기법"

      9 박창원, "외래어 표기 양상의 변천" 14 (14): 59-102, 2004

      10 조태린, "언어 정책이란 무엇인가" 20 (20): 117-131, 2010

      11 이경숙, "문교부의 ‘외래어 표기법’ 변천 과정과 수용 양상 - 외래어 표기법(1986) 제정 이전의 문교부안과 편수자료를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39 (39): 107-139, 2016

      12 문교부, "로마자의 한글화 표기법"

      13 문교부, "들온말 적는 법"

      14 김민수, "국어정책론" 탑출판사 1984

      15 원흥연, "국어 외래어 표기의 변천과 형태적·의미적 특성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9

      16 대한교과서주식회사, "국어 어문 규정집"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