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Didaktische Funktionen der Bildmaterialien in Lehrbu¨chern fu¨r Deutsch an koreanischen Schulen = 고등학교 독일어 교과서에 수록된 그림자료의 교육 기능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400115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제 6차 교육과정에 사용된 9권의 독일어 교과서에 제시된 그림을 자료로 삼아 이 그림들이 어떠한 교육목적으로 사용하도록 계획되었는지를 조사하였다. 국내외에서 개발된 독일어 교재를 보면 거의 모든 페이지에 그림이 텍스트와 함께 제공되고 있다. 외국어 교재에서 그림은 텍스트 못지 않은 분량과 교육적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
      시청각 교육 자료가 중시되는 외국어 교육에서 이러한 경향은 자연스러운 결과라 볼 수 있다. 그런데 국내에서 개발된 독일어 교과서에 실린 그림들의 교육적 기능을 분석한 결과 그림자료는 교과서의 거시구조 거의 모든 부분에 제공되어 있지만 각 분야에서 요구되는 그림의 교육적 기능이 충분하게 검토되지 않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많은 그림자료들의 경우 그냥 시각 자료에 익숙해진 학습자들의 눈길을 끌기 위한 단순한 목적으로 그림이 제공되어 있다. 예를 들어 듣기 학습을 위한 그림자료 활용의 경우 텍스트와 그림의 상호 보완 관계를 충분히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현장 교육에서의 그림자료 활용이 쉽지 않다. 또한 본문 내용 이해를 돕기 위한 그림 자료들은 대부분 문화 정보를 제대로 담지 못하고 있을 뿐 아니라 텍스트 내용과의 연계성이 충분하게 고려되지 않았다. 무엇보다도 교사지침서가 생략된 제 6차 교육과정의 교과서들이므로 교과서 내에 그림 활용에 대한 부록이 반드시 첨부되어야 할 것이지만 이에 대한 정보는 그림과 연관된 일부 교사행위 지침밖에 없다.
      본 연구 결과 제 6차 과정 용 독일어 교과서의 그림자료들은 이들의 교육적 기능이 충분히 고려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앞으로 교과서를 개발할 경우 그림자료들의 교육적 기능을 명확하게 규정한 다음 이에 적합한 그림자료를 제시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지속적인 개선을 위하여 교과서 저자와 교사, 그리고 교과서 연구자들이 서로 협조하여야 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제 6차 교육과정에 사용된 9권의 독일어 교과서에 제시된 그림을 자료로 삼아 이 그림들이 어떠한 교육목적으로 사용하도록 계획되었는지를 조사하였다. 국내외에서 개발된 독일...

      본 연구는 제 6차 교육과정에 사용된 9권의 독일어 교과서에 제시된 그림을 자료로 삼아 이 그림들이 어떠한 교육목적으로 사용하도록 계획되었는지를 조사하였다. 국내외에서 개발된 독일어 교재를 보면 거의 모든 페이지에 그림이 텍스트와 함께 제공되고 있다. 외국어 교재에서 그림은 텍스트 못지 않은 분량과 교육적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
      시청각 교육 자료가 중시되는 외국어 교육에서 이러한 경향은 자연스러운 결과라 볼 수 있다. 그런데 국내에서 개발된 독일어 교과서에 실린 그림들의 교육적 기능을 분석한 결과 그림자료는 교과서의 거시구조 거의 모든 부분에 제공되어 있지만 각 분야에서 요구되는 그림의 교육적 기능이 충분하게 검토되지 않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많은 그림자료들의 경우 그냥 시각 자료에 익숙해진 학습자들의 눈길을 끌기 위한 단순한 목적으로 그림이 제공되어 있다. 예를 들어 듣기 학습을 위한 그림자료 활용의 경우 텍스트와 그림의 상호 보완 관계를 충분히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현장 교육에서의 그림자료 활용이 쉽지 않다. 또한 본문 내용 이해를 돕기 위한 그림 자료들은 대부분 문화 정보를 제대로 담지 못하고 있을 뿐 아니라 텍스트 내용과의 연계성이 충분하게 고려되지 않았다. 무엇보다도 교사지침서가 생략된 제 6차 교육과정의 교과서들이므로 교과서 내에 그림 활용에 대한 부록이 반드시 첨부되어야 할 것이지만 이에 대한 정보는 그림과 연관된 일부 교사행위 지침밖에 없다.
      본 연구 결과 제 6차 과정 용 독일어 교과서의 그림자료들은 이들의 교육적 기능이 충분히 고려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앞으로 교과서를 개발할 경우 그림자료들의 교육적 기능을 명확하게 규정한 다음 이에 적합한 그림자료를 제시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지속적인 개선을 위하여 교과서 저자와 교사, 그리고 교과서 연구자들이 서로 협조하여야 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Forschungsgegenstände, -interessen und -methode
      • Ⅱ. Diskussionen über didaktische Funktionen der Bildmaterialien in Lehrbüchern
      • Ⅲ. Analyse der Bildmaterialien in Deutschlehrbüchern an koreanischen Schulen nach ihren didaktischen Funktionen
      • 1. Beschrankungen der Untersuchungsgegenstände
      • 2. Klassifizlerung der Bildmaterialien
      • Ⅰ. Forschungsgegenstände, -interessen und -methode
      • Ⅱ. Diskussionen über didaktische Funktionen der Bildmaterialien in Lehrbüchern
      • Ⅲ. Analyse der Bildmaterialien in Deutschlehrbüchern an koreanischen Schulen nach ihren didaktischen Funktionen
      • 1. Beschrankungen der Untersuchungsgegenstände
      • 2. Klassifizlerung der Bildmaterialien
      • 2.1 Blider auf dem Vorder- und Hintereinband
      • 2.2 Bildsammlungen direkt nach dem Vordereinband und vor dem Hintereinband
      • 2.3 Hinweise auf die Strukur des Lehrbuches
      • 2.4 Zusaztliche Lemmaterrialien zur Ausspracheubung und zum Lernen des deutschen Alphabetsystems
      • 2.5 Zusäzliche Bildrnaterialien im Anhang
      • 2.6 Bilder Innerhalb der Lektion
      • Ⅳ. Fazi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