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에서 다루고자 하는 주제는 크게 두 가지다. 첫째, 푸코 사상에서 에로스의 문제를 통치와 주체화의 개념에 입각하여 살펴보는 것이다. 지난 1996년부터 콜레주 드 프랑스 강의록이 출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277898
2017
-
미셸 푸코 ; 통치 ; 대항품행 ; 주체화 ; 에로스 ; 을의 민주주의 ; Michel Foucault ; Government ; Counter-Conduct ; Subjectivation ; Eros ; Democracy of Ul
KCI등재
학술저널
39-80(42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에서 다루고자 하는 주제는 크게 두 가지다. 첫째, 푸코 사상에서 에로스의 문제를 통치와 주체화의 개념에 입각하여 살펴보는 것이다. 지난 1996년부터 콜레주 드 프랑스 강의록이 출간...
이 글에서 다루고자 하는 주제는 크게 두 가지다. 첫째, 푸코 사상에서 에로스의 문제를 통치와 주체화의 개념에 입각하여 살펴보는 것이다. 지난 1996년부터 콜레주 드 프랑스 강의록이 출간되면서 푸코의 권력론과 그의 윤리적 주체화 이론 사이에는 비일관성이나 단절이 존재하기보다는 연속성이 존재한다는 것이 뚜렷이 드러나게 되었다. 또한 여기에서 핵심적인 개념이 통치성 내지 통치 및 품행인도 내지 대항품행 개념이라는 점 역시 분명하게 밝혀지고 있다. 이 글은 통치 및 대항품행 개념에 입각하여 푸코에게서 에로스의 핵심은 주체화의 문제라는 것을 보여주고자 한다. 둘째, 우리는 ‘을의 민주주의’라는 관점에 따라 푸코의 이론을 비판적으로 평가해보려고 한다. 푸코의 이론은 권력 관계를 행위자들 사이의 자유로운 게임으로 규정하고 지배를 비대칭적인 관계로 제시함으로써 갑과 을의 관계를 새로운 시각에서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 하지만 푸코는 권력 관계가 지배의 상태로 변형되는 이유는 무엇인지 제대로 설명하지 않는다. 더 나아가 갑과 을의 비대칭적 지배관계에서도 배제되어 있는 약소자들, 곧 ‘을의 을’의 문제를 어떻게 이해해야 할지 충분히 해명하지 못한다. 여성들 및 성적 소수자들이 우리 사회에서 이러한 의미의 을의 지위에 놓여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푸코 이론의 이러한 공백을 메울 수 있는 길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 want to discuss two Foucauldian themes in this paper. First, I will examine the question of eros in Foucault’s thought according to his concept of subjectivation. After the publication of his Collège de France lectures since 1996, we came to real...
I want to discuss two Foucauldian themes in this paper. First, I will examine the question of eros in Foucault’s thought according to his concept of subjectivation. After the publication of his Collège de France lectures since 1996, we came to realize that there is an explicit continuity between his theory of power and his later ethical problematics. Especially, the concepts of government and of counter-conduct play a key role in this transition. I will try to show that the question of eros in Foucault should be understood on the problematics of subjectivation. Second, I will critically reappraise Foucault’s theory of subjectivation from the viewpoint of ‘democracy of ul(乙)’. I think that his theory cast a new light on the relations between kab and ul in suggesting new definitions of power and of domination: that is, in distinction of the former as the strategic games between free agents, the latter as the asymmetrical relations represents the kab(甲)-ul relationship. However, Foucault did not explain the reason of why the power relations are transformed into the state of domination(kab-ul relations), and, moreover how to understand the ‘ul of ul’ like sexual minorities, refugees or the disable persons etc. who are excluded even the kab-ul relationship.
참고문헌 (Reference)
1 위르겐 하버마스, "현대성의 철학적 담론" 문예출판사 1994
2 미셸 푸코, "푸코의 맑스: 둣치오 뜨롬바도리와의 대담" 갈무리 2004
3 진태원, "푸코와 민주주의: 바깥의 정치, 신자유주의, 대항품행" 철학연구소 29 : 153-188, 2012
4 심세광, "푸코에게"주체"란 무엇인가? 실천이론으로서 푸코의 주체이론의 변모" (65) : 2011
5 애너메리 야고스, "퀴어이론 입문" 도서출판 여이연 2012
6 미셸 푸코, "주체의 해석학: 1981∼82년 콜레주 드 프랑스 강의록" 동문선 2007
7 주디스 버틀러, "젠더 트러블 : 페미니즘과 정체성의 전복" 문학동네 2008
8 진태원, "을의 민주주의를 위한 정치철학적 단상" (96) : 2017
9 윤보라, "여성혐오가 어쨌다구?" 현실문화 2015
10 이현재, "여성혐오, 그 후" 들녘 2016
1 위르겐 하버마스, "현대성의 철학적 담론" 문예출판사 1994
2 미셸 푸코, "푸코의 맑스: 둣치오 뜨롬바도리와의 대담" 갈무리 2004
3 진태원, "푸코와 민주주의: 바깥의 정치, 신자유주의, 대항품행" 철학연구소 29 : 153-188, 2012
4 심세광, "푸코에게"주체"란 무엇인가? 실천이론으로서 푸코의 주체이론의 변모" (65) : 2011
5 애너메리 야고스, "퀴어이론 입문" 도서출판 여이연 2012
6 미셸 푸코, "주체의 해석학: 1981∼82년 콜레주 드 프랑스 강의록" 동문선 2007
7 주디스 버틀러, "젠더 트러블 : 페미니즘과 정체성의 전복" 문학동네 2008
8 진태원, "을의 민주주의를 위한 정치철학적 단상" (96) : 2017
9 윤보라, "여성혐오가 어쨌다구?" 현실문화 2015
10 이현재, "여성혐오, 그 후" 들녘 2016
11 미셸 푸코, "안전, 영토, 인구: 1977∼78년 콜레주 드 프랑스 강의록" 난장 2011
12 진태원, "스피노자의 귀환 : 현대철학과 함께 돌아온 사유의 혁명가" 민음사 2017
13 미셸 푸코, "성의 역사 3권: 자기에의 배려" 나남출판사 1990
14 미셸 푸코, "성의 역사 2권: 쾌락의 활용" 나남출판사 1990
15 미셸 푸코, "성의 역사 1권: 지식의 의지" 나남 2010
16 미셸 푸코, "생명관리정치의 탄생: 1978∼79년 콜레주 드 프랑스 강의록" 난장 2012
17 미셸 푸코,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 1975∼76년 콜레주 드 프랑스 강의록" 동문선 2015
18 미셸 푸코, "비판이란 무엇인가?/자기 수양" 동녘 2016
19 미셸 푸코, "미셸 푸코의 권력이론" 1994
20 미셸 푸코, "미셸 푸코의 권력이론" 1994
21 낸시 프레이저, "미셸 푸코의 권력이론" 새물결 1994
22 홍재희, "그건 혐오예요" 행성B(행성비) 2017
23 사토 요시유키, "권력과 저항" 난장 2012
24 미셸 푸코, "감시와 처벌" 나남 2003
25 Rajchman, John, "Truth and Eros : Foucault, Lacan, and the Question of Ethics" Routledge 1991
26 Winnubst, Shannon, "The Queer Thing about Neoliberal Pleasure : A Foucauldian Warning" (14) : 2012
27 Butler, Judith, "The Political" Blackwell 2001
28 McNay, Lois, "The Foucauldian Body and the Exclusion of Experience" 6 (6): 1991
29 Foucault, Michel, "Sécurité, territoire, population : Cours au Collège de France(1977-1978)" Gallimard/Seuil 2004
30 Foucault, Michel, "Surveiller et punir" Gallimard 1975
31 Balibar, Etienne, "Supposing the Subject" Verso 1994
32 Foucault, Michel, "Sujet et pouvoir" DE I 1983
33 Foucault, Michel, "Naissance de la biopolitique : Cours au Collège de France(1978-1979)" Gallimard/Seuil 2004
34 Huffer, Lynne, "Mad for Foucault : Rethinking the Foundations of Queer Theory"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0
35 Foucault, Michel, "L’éthique du souci de soi comme pratique de la liberté" DE II 1984
36 Foucault, Michel, "L’herméneutique du sujet : Cours au Collège de France(1981-1982)" Gallimard/Seuil 2001
37 Dews, Peter, "Logics of Disintegration: Post-tructuralist Thought and the Claims of Critical Theory" Verso 1987
38 Legrand, Stéphane, "Le marxisme oubliée de Foucault" (36) : 2004
39 Foucault, Michel, "Le Gouvernement de soi et des autres : Cours au Collège de France(1982-1983)" Gallimard/Seuil 2008
40 Foucault, Michel, "Le Courage de la vérité : Le Gouvernement de soi et des autres II : Cours au Collège de France(1984)" Gallimard/Seuil 2009
41 Davidson, Arnold I., "In Praise of Counter-Conduct" 24 (24): 2011
42 Foucault, Michel, "Il faut défendre la société : Cours au Collège de France(1977-1978)" Seuil 1997
43 Foucault, Michel, "Histoire de la sexualité II, Le souci de soi" Gallimard 1984
44 Foucault, Michel, "Histoire de la sexualité I, La Volonté de savoir" Gallimard 1976
45 Butler, Judith, "Gender Trouble: Feminism and the Subversion of Identity" Routledge 1999
46 Lorenzini, Daniele, "From Counter-Conduct to Critical Attitude: Michel Foucault and the Art of Not Being Governed Quite So Much" (21) : 2016
47 Lemke, Thomas, "Foucault’s Hypothesis : From the Critique of the Juridico-Discursive Concept of Power to the Analytics of Government" (9) : 2010
48 Huffer, Lynne, "Foucault’s Ethical Ars Erotica" 38 (38): 2009
49 Lemke, Thomas, "Foucault, Governmentality, Critique" 13 (13): 2002
50 Vlieghe, Joris, "Foucault, Butler and corporeal experience : Taking social critique beyond phenomenology and judgement" 40 (40): 2014
51 Lemke, Thomas, "Foucault, Biopolitics and Governmentality" Sodertorn University the Library 2013
52 Taylor, Charles, "Foucault on Freedom and Truth" 12 (12): 1984
53 Siisiäinen, Lauri, "Foucault and Gay Counter-Conduct" 30 (30): 2016
54 Bevir, Mark, "Foucault and Critique : Deploying Agency against Autonomy" 27 (27): 1999
55 McNay, Lois, "Foucault : A Critical Introduction" Polity Press 1994
56 Foucault, Michel, "Dits et écrits, vol. I-II" Gallimard 2001
57 Balibar, Etienne, "Citoyen sujet et autres essais d’anthropologie philosophique" PUF 2011
58 Montag, Warren, "Althusser and His Contemporaries: Philosophy’s Perpetual War" Duke University Press 2013
아퀴나스의 인격체 동일성 문제와 부분적 동일성 해석 -영혼개념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6-26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가톨릭철학외국어명 : The Catholic Philosophy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1 | 0.31 | 0.2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5 | 0.24 | 0.852 | 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