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근대 잡지를 통해 본 1920/30년대 ‘라디오 방송’의 수용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cceptance of Radio in 1920s/1930s Modern Korea; Through 《Byeolgeongon》 and 《Samcheonri》 as Modern Magazin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450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927년 2월 16일 경성방송국이 개국했다. 일제 강점기 하에서 등장한 경성방송국은 식민통치를위한 도구로 기능하기도 했지만, 한편으로는 이 땅에 근대성을 전파하는 근대 미디어이기도 했다.이에 본 연구에서는 1920/30년대에 활발하게 발행되었던 《별건곤》과 《삼천리》를 통해 근대 미디어로서 라디오가 어떠한 표상으로 수용되었는지를 살펴본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선의 근대 지식인들은 근대 과학기술의 산물로서 라디오에 대해 분명히 인식했다. 과학적 원리를 통해라디오가 세계를 연결하는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수단이라는 것을 분명히 전달하고자 했으며, 이러한과학기술 역량이 조선에도 축적되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기도 했다. 문명의 이기로서 라디오가 가진자와 지배자의 이익에 우선한다는 것도 직시했다. 라디오는 근대적 공간과 풍경을 새롭게 만들어 낸다는 것에도 주목했다. 라디오 방송을 하는 경성방송국은 서울의 새로운 구경거리가 되기도 했고, 지붕위에 라디오 안테나를 매단 문화촌 역시 새로운 근대적 풍경을 만들어 내기도 했다. 또한 거리의 라디오확성기는 근대 문명의 도구를 활용한 새로운 마케팅 수단으로서 활용되면서 근대적 거리 풍경을 연출하기도 했다. 라디오는 또한 연예오락 프로그램을 통해 식민지 조선에 근대적 대중문화를 전파하기도했다. 1920/30년대의 근대 잡지 《별건곤》과 《삼천리》는 이같은 라디오의 역할을 기록하고 전파했다. 신문물에 경이를 표하면서 우리 조선도 이러한 신문명을 만들어내는 역량을 갖추어야 한다고 촉구하기도 했다. 또한 라디오라는 신문명과 결합하는 대중문화를 지원하기도 했으며, 그 부작용을 날카롭게 지적하기도 했다. 그러나 근대성의 매개자로서 라디오에만 집중했지, 식민지 통치 도구로서의 라디오의 모습에는 소홀했다는 아쉬움을 보여주기도 했다.
      번역하기

      1927년 2월 16일 경성방송국이 개국했다. 일제 강점기 하에서 등장한 경성방송국은 식민통치를위한 도구로 기능하기도 했지만, 한편으로는 이 땅에 근대성을 전파하는 근대 미디어이기도 했...

      1927년 2월 16일 경성방송국이 개국했다. 일제 강점기 하에서 등장한 경성방송국은 식민통치를위한 도구로 기능하기도 했지만, 한편으로는 이 땅에 근대성을 전파하는 근대 미디어이기도 했다.이에 본 연구에서는 1920/30년대에 활발하게 발행되었던 《별건곤》과 《삼천리》를 통해 근대 미디어로서 라디오가 어떠한 표상으로 수용되었는지를 살펴본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선의 근대 지식인들은 근대 과학기술의 산물로서 라디오에 대해 분명히 인식했다. 과학적 원리를 통해라디오가 세계를 연결하는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수단이라는 것을 분명히 전달하고자 했으며, 이러한과학기술 역량이 조선에도 축적되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기도 했다. 문명의 이기로서 라디오가 가진자와 지배자의 이익에 우선한다는 것도 직시했다. 라디오는 근대적 공간과 풍경을 새롭게 만들어 낸다는 것에도 주목했다. 라디오 방송을 하는 경성방송국은 서울의 새로운 구경거리가 되기도 했고, 지붕위에 라디오 안테나를 매단 문화촌 역시 새로운 근대적 풍경을 만들어 내기도 했다. 또한 거리의 라디오확성기는 근대 문명의 도구를 활용한 새로운 마케팅 수단으로서 활용되면서 근대적 거리 풍경을 연출하기도 했다. 라디오는 또한 연예오락 프로그램을 통해 식민지 조선에 근대적 대중문화를 전파하기도했다. 1920/30년대의 근대 잡지 《별건곤》과 《삼천리》는 이같은 라디오의 역할을 기록하고 전파했다. 신문물에 경이를 표하면서 우리 조선도 이러한 신문명을 만들어내는 역량을 갖추어야 한다고 촉구하기도 했다. 또한 라디오라는 신문명과 결합하는 대중문화를 지원하기도 했으며, 그 부작용을 날카롭게 지적하기도 했다. 그러나 근대성의 매개자로서 라디오에만 집중했지, 식민지 통치 도구로서의 라디오의 모습에는 소홀했다는 아쉬움을 보여주기도 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16th Feburary 1927, Gyeongseong Broadcast Station had launched. Gyeongseong Broadcast Station, which had been operating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ad functioned as an apparatus of occupation. But it also regarded modern Radio media system which spread the modernism. So, this study examine how Radio had accepted in modern Korea and what radio represented relations with modern life. For this, this study review modern reading material 《Byeolgeongon》 and 《Samcheonri》, which widely read in 1920s-1930s as popular magazines. To sum up this study, modern Korea’s intellectuals were obviously perceived Radio to be creature of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they conveyed that Radio is new technology and communication system to linking the world and emphasized this kind of scientific ability must accumulate in modern Korea. They also understood modern conveniences like Radio serve to promote benefit of bourgeois and dominator. On the one hand, Radio as a modern material set the modern life fashion in street and cityscape; Gyeongseong Broadcast Station become known as a sightseeing building, and modern village which install radio antenna on the roof also created modern landscape. Radio loudspeaker was utilized for fresh marketing technique. On the other hand, radio broadcasting created and spread the modern mass-culture through entertainment program such as popular music, radio drama, comic monologue. 《Byeolgeongon》 and 《Samcheonri》 as modern reading materials reported and delivered these Radio’s features and social phenomenon; They bolstered the modern mass culture which connected radio and pointed out the adverse reaction. Like this, these two magazines mainly focused Radios’s feature as a mediator of modernism, but they were careless about the another radio’s feature closely related with an apparatus of colonial occupation.
      번역하기

      In 16th Feburary 1927, Gyeongseong Broadcast Station had launched. Gyeongseong Broadcast Station, which had been operating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ad functioned as an apparatus of occupation. But it also regarded modern Radio media syste...

      In 16th Feburary 1927, Gyeongseong Broadcast Station had launched. Gyeongseong Broadcast Station, which had been operating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ad functioned as an apparatus of occupation. But it also regarded modern Radio media system which spread the modernism. So, this study examine how Radio had accepted in modern Korea and what radio represented relations with modern life. For this, this study review modern reading material 《Byeolgeongon》 and 《Samcheonri》, which widely read in 1920s-1930s as popular magazines. To sum up this study, modern Korea’s intellectuals were obviously perceived Radio to be creature of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they conveyed that Radio is new technology and communication system to linking the world and emphasized this kind of scientific ability must accumulate in modern Korea. They also understood modern conveniences like Radio serve to promote benefit of bourgeois and dominator. On the one hand, Radio as a modern material set the modern life fashion in street and cityscape; Gyeongseong Broadcast Station become known as a sightseeing building, and modern village which install radio antenna on the roof also created modern landscape. Radio loudspeaker was utilized for fresh marketing technique. On the other hand, radio broadcasting created and spread the modern mass-culture through entertainment program such as popular music, radio drama, comic monologue. 《Byeolgeongon》 and 《Samcheonri》 as modern reading materials reported and delivered these Radio’s features and social phenomenon; They bolstered the modern mass culture which connected radio and pointed out the adverse reaction. Like this, these two magazines mainly focused Radios’s feature as a mediator of modernism, but they were careless about the another radio’s feature closely related with an apparatus of colonial occup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배경적 논의 : 근대 잡지 시대에 탄생한 라디오 방송
      • 3.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 4. 연구결과 : 라디오에 대한 인식과 라디오를 매개로하는 사회문화적 양상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배경적 논의 : 근대 잡지 시대에 탄생한 라디오 방송
      • 3.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 4. 연구결과 : 라디오에 대한 인식과 라디오를 매개로하는 사회문화적 양상
      • 5.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근수, "한국잡지사" 청록출판사 1980

      2 최덕교, "한국잡지백년" 현암사 2004

      3 최서영, "한국의 저널리즘; 120년의 역사와 사상" 커뮤니케이션북스 2002

      4 백미숙, "한국의 미디어 사회문화사" 한국언론재단 307-380, 2007

      5 김민환, "한국언론사" 사회비평사 1996

      6 임종수, "한국방송의 기원 : 초기 라디오 방송에서 제도, 편성, 장르의 형성과 진화" 한국언론학회 48 (48): 370-396, 2004

      7 한국방송협회, "한국방송 70년사" 한국방송협회․한국방송공사 1997

      8 한국방송공사, "한국방송 60년사" 한국방송공사 1987

      9 조남현, "한국문학잡지사상사"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2

      10 이연, "한국 방송의 사회문화사" 한울 27-61, 2011

      1 김근수, "한국잡지사" 청록출판사 1980

      2 최덕교, "한국잡지백년" 현암사 2004

      3 최서영, "한국의 저널리즘; 120년의 역사와 사상" 커뮤니케이션북스 2002

      4 백미숙, "한국의 미디어 사회문화사" 한국언론재단 307-380, 2007

      5 김민환, "한국언론사" 사회비평사 1996

      6 임종수, "한국방송의 기원 : 초기 라디오 방송에서 제도, 편성, 장르의 형성과 진화" 한국언론학회 48 (48): 370-396, 2004

      7 한국방송협회, "한국방송 70년사" 한국방송협회․한국방송공사 1997

      8 한국방송공사, "한국방송 60년사" 한국방송공사 1987

      9 조남현, "한국문학잡지사상사"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2

      10 이연, "한국 방송의 사회문화사" 한울 27-61, 2011

      11 박용규, "한국 방송의 사회문화사" 한울 90-128, 2011

      12 사고, "탄정대(彈正臺)" 5 (5): 66-, 1933

      13 소식, "춤 잘추는 서도기생 소리 잘하는 남도기생" 3 (3): 44-48, 1931

      14 서재길, "제국의 전파네트워크와 식민지 조선의 자기 표상" (5) : 224-247, 2011

      15 세태비평, "정보실: 우리사회의 제 사정" 13 (13): 77-90, 1941

      16 박용규, "일제하 라디오 방송의 음악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1930년대를 중심으로" 언론정보연구소 47 (47): 134-172, 2010

      17 김영희, "일제시기 라디오의 출현과 청취자" 한국언론학회 46 (46): 6-183, 2002

      18 박몽구, "일제 강점기 한민족 출판 연구" 한국출판학회 36 (36): 89-124, 2010

      19 논설, "열변, 열변, 열변" 8 (8): 116-127, 1936

      20 잡저, "여자직업안내: 돈 업서서 외국 유학 못가고 취직 할 곳은 몃치나 되는가" (5) : 100-105, 1927

      21 사고, "여언" (1) : 153-, 1926

      22 한양화랑, "악단 메리-그라운드" 6 (6): 152-157, 1934

      23 대담, "아릿다운 아나운사: 경성방송국의 여성 아나운사들" 7 (7): 246-251, 1935

      24 잡저, "신장한 구도 경성행진곡" (34) : 62-77, 1930

      25 야뇌, "신신화 ‘개벽이전’" (19) : 169-172, 1929

      26 요시미 순야, "소리의 자본주의: 전화, 라디오, 축음기의 사회사" 이매진 2005

      27 춘파, "서울구경 왓다가 니저버리고 가는 것" (23) : 129-131, 1929

      28 박지동, "새로 쓰는 한국언론사" 아침 149-260, 1993

      29 여운형, "새 일꾼을 환영하노라" 8 (8): 1-9, 1936

      30 경성탐보군, "상계한화" (5) : 106-107, 1927

      31 소식, "삼천리 기밀실" 7 (7): 26-31, 1935

      32 삼천리사, "사고" (1) : 19-, 1929

      33 녹안경, "부부생활의 비밀 대탐험기" (15) : 98-108, 1928

      34 설문, "백만원이 생긴다면 어떠케 쓸가? 그들의 엉뚱한 리상" (64) : 24-29, 1933

      35 김진경, "방송출연과 음반취입을 통한 기생의 음악활동" 한국국악교육학회 29 (29): 45-67, 2010

      36 이서구, "방송야화, 어떻게 하야 여러분의 귀에까지 가는가" 10 (10): 192-195, 1938

      37 회고, "방송야화" 6 (6): 121-124, 1934

      38 문예기타, "무학대사 신경성 구경" (9) : 90-95, 1927

      39 이도령, "몽견춘향기" (19) : 108-114, 1929

      40 임인생, "모던이씀" (25) : 136-140, 1930

      41 소식, "명창의 보수" 3 (3): 8-, 1931

      42 소식, "명사제씨 맛나기 전과 맛난 후의 인상" (11) : 64-69, 1928

      43 김은규, "라디오혁명"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44 승일, "라듸오·스폿트·키네마" (2) : 104-109, 1926

      45 문예기타, "동지로서 동지에게" (14) : 22-40, 1928

      46 잡저, "대대풍자 사회성공 비술" (25) : 144-150, 1930

      47 소식, "대경성의 특수촌" (23) : 106-113, 1929

      48 소식, "내외정세" 8 (8): 18-23, 1936

      49 설문, "내가 만일 단발낭과 결혼한다면" (14) : 118-124, 1928

      50 정운현, "나는 황국의 신민이로소이다" 개마고원 1999

      51 김운정, "꿈(제1막)" 4 (4): 44-46, 1932

      52 천정환, "근대적 앎의 형성과 잡지의 역할" 일조각 (37) : 173-190, 2005

      53 유선영, "근대적 대중의 형성과 문화의 전환"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17 (17): 42-101, 2009

      54 이충렬, "그림으로 읽는 한국 근대의 풍경" 김영사 2011

      55 최승일, "공기와 연극" (10) : 85-86, 1927

      56 이상길, "경성방송국 초창기 연예프로그램의 제작과 편성"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 (20): 5-74, 2012

      57 쌍S생, "경고. 여학생과 결혼하면" (10) : 134-139, 1927

      58 소식, "거리의 여학교를 차저서" 7 (7): 158-166, 1935

      59 최수일, "개벽연구" 소명출판 2008

      60 서재길, "JODK 경성방송국의 설립과 초기의 연예방송" 서울학연구소 (27) : 147-173, 2006

      61 일기자, "2일 동안에 서울 구경 골로로 하는 법, 시골 친구 안내할 순서" (23) : 58-64, 1929

      62 고은지, "20세기 '대중 오락'으로 새로 태어난 '야담'의 실체" 한국학중앙연구원 31 (31): 103-129, 2008

      63 이상길, "1920∼1930년대 경성의 미디어 공간과 인텔리겐치아: 최승일(崔承一)의 경우" 언론정보연구소 47 (47): 121-169, 2010

      64 주창윤, "1920∼1930년대 ‘모던 세대’의 형성과정" 한국언론학회 52 (52): 186-206, 2008

      65 김은규, "1920/30년대 근대 취미독물 잡지 <별건곤>을 통한 개벽사의 매체 발행 전략에 대한 연구: 발행 주제, 편집 방향, 발행 체제를 중심으로" 한국출판학회 39 (39): 5-34,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7 0.57 0.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61 0.79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