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독소에 의한 간 상해 때 Kupffer 세포의 역할과 작용 기전을 규명하기 위하여 내독소(Escherichia coli 026 : B6 lipopolysaccharide)를 Sprague-Dawley rat에 체중 100g 당 1.5㎎을 복강내에 투여하여 15분, 30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993963
1993
Korean
510.5
학술저널
313-337(25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내독소에 의한 간 상해 때 Kupffer 세포의 역할과 작용 기전을 규명하기 위하여 내독소(Escherichia coli 026 : B6 lipopolysaccharide)를 Sprague-Dawley rat에 체중 100g 당 1.5㎎을 복강내에 투여하여 15분, 30분, ...
내독소에 의한 간 상해 때 Kupffer 세포의 역할과 작용 기전을 규명하기 위하여 내독소(Escherichia coli 026 : B6 lipopolysaccharide)를 Sprague-Dawley rat에 체중 100g 당 1.5㎎을 복강내에 투여하여 15분, 30분, 1시간, 2시간, 4시간, 8시간, 16시간, 24시간, 72시간, 120시간 후 Kupffer세포의 형태학적 변화를 광학 및 전자현미경적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광학현미경적 소견으로는 내독소 투여 15분 후부터 Kupffer 세포 수의 증가와 비대가 관찰되었으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더욱 심해졌고, 동모양혈관내 호중구, 적혈구 및 섬유소의 침윤이 관찰되었다. 4시간 후에는 동모양혈관의 울혈과 확장이 관찰되었고 호중구외에도 호산구 및 림프구 등의 염증세포가 침윤되었다. 72시간 후 울혈은 감소되었고, 120시간 경과 후 Kupffer 세포의 수는 증가하였지만 형태학상 대조군과는 큰 차이는 없었다.
전자현미경적 소견으로는 내독소 투여 15분 후부터 Kupffer 세포에서는 포음소포의 증가와 일차 리소솜과 이차 리소솜의 수와 크기의 증가가 관찰되었으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더욱 심해졌다. 진정염색질이 증가하였고 무과립형질내세망의 증가와 종창, 과립형질내세망의 종창, 골지복합체의 종창 및 폴리리보솜이 관찰되었다. 사립체의 종창, 전자밀도 저하 및 능선의 소실이 관찰되었고, 혈소판과 섬유소의 응집으로 인한 미소혈전이 동모양혈관내에서 관찰되었다. 72시간 후 Kupffer 세포의 이차 리소솜이 감소되었으며, 120시간 후 Kupffer 세포는 형태학적으로 대조군과 큰 차이는 없었다. 간세포는 1시간 후 지방변성이 보였고, 16시간 후에는 저산소성 공포 및 괴사가 관찰되었다.
이상의 성적을 종합하면 Kupffer 세포는 음세포작용에 의해 내독소를 탐식하고 진정염색질의 양의 증가와 세포소기관의 증가에 의해 활성화되어 리소솜의 형성을 증가시켜 내독소를 분해하고 해독화하여 간세포의 방어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내독소에 의한 간 상해는 간세포에 대한 직접적인 독성작용이라기 보다는 이러한 Kupffer 세포의 탐식과 분해하는 기능부전과 동모양혈관내 미소혈전 형성에 의한 허혈이 간 상해를 일으키는데 관여하였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role of Kupffer cells in the mechanism of endotoxin-induced liver injury. The study on fine structure of Kupffer cells was performed after the injection of endotoxin. The endotoxin(Escherichia coli lipopolysacc...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role of Kupffer cells in the mechanism of endotoxin-induced liver injury. The study on fine structure of Kupffer cells was performed after the injection of endotoxin. The endotoxin(Escherichia coli lipopolysaccharide 026 : B6, 1.5㎎/100g of body weight) was intraperitoneally injected in Sprague-Dewley rats. Animals were sacrificed at 1/4, 1/2, 1, 2, 4, 8, 16, 24, 72 and 120 hours after the injection of endotoxin. Livers were extirpated and processed to be examined by light and electron microscopy.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erized as follows:
Early changes observed in liver after endotoxin injection included the increased number and hypertrophy of Kupffer cells, infiltration of neutrophils and presence of fibrin thrombi within the sinusoids. The continuous increase of the Kupffer cells in number with hypertrophy, congestion and infiltration of inflammatory cells within the sinusoids were observed. Hepatocytes showed fatty change and occasional necrosis. At 72 hours the congestion decreased. At 120 hours the number of Kupffer cells was increased, but the morphology of Kupffer cells became similar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 numbers and sizes of primary and secondary lysosomes and amount of euchromatin of Kupffer cells increased. Swellings and increase in number of mitochondria, Golgi complex, smooth endoplasmic reticulum, rough endoplasmic reticulum were evident. Microthrombi were present within the sinusoids. The swelling of rough endoplasmic reticulum and mitochondria, decrease of glycogen particles, fatty change, hypoxic vacuoles, pyknotic nuclei and occasional necrosis were observed in hepatocytes. At 72 hours the number of secondary lysosomes in Kupffer cells decreased. At 120 hours the morphology of Kupffer cells became similar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According to these results, it was postulated that the endotoxin was initially taken up by pinocytosis into Kupffer cells and degraded in secondary lysosomes of activated Kupffer cells. Kupffer cells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efense mechanism of liver during endotoxemia. The dysfunction of Kupffer cells and ischemia by sinusoidal microthrombi may cause liver injury.
실험동물에서 두개강내 정맥동의 부위별 폐쇄가 두개강내에 미치는 영향
Mefenamic acid를 이용한 미숙아 동맥관 개존증 치험
학술지 이력
|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 2022-01-01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 2016 | 0.03 | 0.03 | 0 |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 0 | 0 | 0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