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空間名詞「中」の文法化に関する中日対照研究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9277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중국어와 일본어의 공간명사 ‘中(zhong)’과 ‘中(なかnaka/ちゅうcyū)’의 문법화 현상을 고찰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 된다. Croft(2001)의 네 가지 복문 유형에 근거하여 “~中” 구문을 보어절(complements), 관계사절(adjoined relative clauses) 및 부사절(adverbial clauses)의 연속체(the continuum frame) 안에 넣어 분석해 봤다. 일본어에서 ‘中’의 훈독 ‘なかnaka’가 공간명사로서 보어절 역할을 수행할 때는 주절의 서술어가 보통 이동동사로 되어 있다. 한편 주절 서술어가 이동동사에서 다른 일반 동사로 바뀔 때는 ‘中’ 구문이 보어절에서 관계사절이나 부사절로 변한다. 또한 일본어의 ‘中’ 구문은 상황 묘사와 직접 경험을 강조하는 용법이 있다는 점을 주의해야 한다. 이는 일본어의 “IHRC구조(internally headed relativizative clauses)”와 공통성을 지니고 있으며 일본어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일본어에 비해 중국어의 ‘中’ 구문도 보어절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나 그보다 “在NP/AP/VP中”과 같이 전치사-후치사(circumposition) 구조로 사용되며 문장에서 부사절 역할을 하는 경우가 더 일반적이다. 이러한 변화 과정도 마찬가지로 “보어절—관계사절—부사절”의 연속체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在NP/AP/VP中” 구문은 모두 지칭의 뜻을 나타내고 서술의 뜻은 그리 발달하지 않다. 그러므로 ‘中’을 진정한 문법화로 보기 어렵다.
      ‘中’ 구문이 시상(aspect) 기능으로 쓰일 때에만 진정한 문법화가 실현된다고 볼 수 있다. 일본어의 ‘中(ちゅうtyū)’도 비슷한 용법이 있으며 중 · 일 두 언어의 문법화 기제가 서로 유사하다. 즉 의미적으로는 공간 의미에서 시간 의미로 전이되고 통사적으로는 부사절이 부각되어 (prominence) 전경화(foregrounding) 내용을 나타낼 수 있으며 이때 중 · 일의 ‘中’ 구문은 모두 진행상을 나타낸다. 화용적으로는 “V中” 구문이 주로 기사문, 통고문 문체에 쓰인다. 그러나 일본어는 음독, 훈독의 제약으로 한자어 어간(Chinese wors) 또는 일부 고유어 어간(native Japanese words) 뒤에만 ‘中(ちゅうtyū)’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하여 일본어 접속절에서 진행상을 나타낼 때는 주로 ‘最中(さいちゅう saityū)’이나 ‘最中(さなかsanaka)’을 사용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중국어와 일본어의 공간명사 ‘中(zhong)’과 ‘中(なかnaka/ちゅうcyū)’의 문법화 현상을 고찰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 된다. Croft(2001)의 네 가지 복문 유형에 근거하여 “~中” 구문�...

      본 연구는 중국어와 일본어의 공간명사 ‘中(zhong)’과 ‘中(なかnaka/ちゅうcyū)’의 문법화 현상을 고찰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 된다. Croft(2001)의 네 가지 복문 유형에 근거하여 “~中” 구문을 보어절(complements), 관계사절(adjoined relative clauses) 및 부사절(adverbial clauses)의 연속체(the continuum frame) 안에 넣어 분석해 봤다. 일본어에서 ‘中’의 훈독 ‘なかnaka’가 공간명사로서 보어절 역할을 수행할 때는 주절의 서술어가 보통 이동동사로 되어 있다. 한편 주절 서술어가 이동동사에서 다른 일반 동사로 바뀔 때는 ‘中’ 구문이 보어절에서 관계사절이나 부사절로 변한다. 또한 일본어의 ‘中’ 구문은 상황 묘사와 직접 경험을 강조하는 용법이 있다는 점을 주의해야 한다. 이는 일본어의 “IHRC구조(internally headed relativizative clauses)”와 공통성을 지니고 있으며 일본어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일본어에 비해 중국어의 ‘中’ 구문도 보어절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나 그보다 “在NP/AP/VP中”과 같이 전치사-후치사(circumposition) 구조로 사용되며 문장에서 부사절 역할을 하는 경우가 더 일반적이다. 이러한 변화 과정도 마찬가지로 “보어절—관계사절—부사절”의 연속체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在NP/AP/VP中” 구문은 모두 지칭의 뜻을 나타내고 서술의 뜻은 그리 발달하지 않다. 그러므로 ‘中’을 진정한 문법화로 보기 어렵다.
      ‘中’ 구문이 시상(aspect) 기능으로 쓰일 때에만 진정한 문법화가 실현된다고 볼 수 있다. 일본어의 ‘中(ちゅうtyū)’도 비슷한 용법이 있으며 중 · 일 두 언어의 문법화 기제가 서로 유사하다. 즉 의미적으로는 공간 의미에서 시간 의미로 전이되고 통사적으로는 부사절이 부각되어 (prominence) 전경화(foregrounding) 내용을 나타낼 수 있으며 이때 중 · 일의 ‘中’ 구문은 모두 진행상을 나타낸다. 화용적으로는 “V中” 구문이 주로 기사문, 통고문 문체에 쓰인다. 그러나 일본어는 음독, 훈독의 제약으로 한자어 어간(Chinese wors) 또는 일부 고유어 어간(native Japanese words) 뒤에만 ‘中(ちゅうtyū)’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하여 일본어 접속절에서 진행상을 나타낼 때는 주로 ‘最中(さいちゅう saityū)’이나 ‘最中(さなかsanaka)’을 사용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mainly examines the grammaticalization of the Chinese spatial term“中(zhong)”and Japanese spatial term “中(naka /tyū)”.Based on Croft’s examination of the four types of complex sentences(2001),we hereby analyze the construction of “中(naka)”and “中(zhong)”in the continuum frame of complements, adjoined relative clauses and adverbial clauses. Depending on the differences in the subordinate clauses and main clauses, “中(naka)”shows different levels of grammaticalization, which are all embodied in the construction of “subordinate clause + 中(naka)”.Similar usages can be found in the Chinese“中(zhong)”,hence the typological meanings of the examination of “中(naka)”in Japanese.
      On the other hand, “中 (naka)”in Japanese is used to describe status and direct experience, which is related to the “IHRC (internally headed relativizative clauses) construction”, a special feature of the Japanese language. In addition, “中(zhong)”and “中(tyū)” can act as an aspect auxiliary after they achieve a real sense of grammaticalization. Semantically, it’s a language universal that the meaning of space can be transformed into the meaning of time. In syntax, an adverbial clause can act as a main clause by way of “prominence”. What is different is that Japanese is restricted by the kun-yomi and onn-yomi, so instead of“中( tyū)”, “最中(saityū)”or “最中 (sanaka)”are often use as aspect auxiliaries.
      번역하기

      This article mainly examines the grammaticalization of the Chinese spatial term“中(zhong)”and Japanese spatial term “中(naka /tyū)”.Based on Croft’s examination of the four types of complex sentences(2001),we hereby analyze the constructi...

      This article mainly examines the grammaticalization of the Chinese spatial term“中(zhong)”and Japanese spatial term “中(naka /tyū)”.Based on Croft’s examination of the four types of complex sentences(2001),we hereby analyze the construction of “中(naka)”and “中(zhong)”in the continuum frame of complements, adjoined relative clauses and adverbial clauses. Depending on the differences in the subordinate clauses and main clauses, “中(naka)”shows different levels of grammaticalization, which are all embodied in the construction of “subordinate clause + 中(naka)”.Similar usages can be found in the Chinese“中(zhong)”,hence the typological meanings of the examination of “中(naka)”in Japanese.
      On the other hand, “中 (naka)”in Japanese is used to describe status and direct experience, which is related to the “IHRC (internally headed relativizative clauses) construction”, a special feature of the Japanese language. In addition, “中(zhong)”and “中(tyū)” can act as an aspect auxiliary after they achieve a real sense of grammaticalization. Semantically, it’s a language universal that the meaning of space can be transformed into the meaning of time. In syntax, an adverbial clause can act as a main clause by way of “prominence”. What is different is that Japanese is restricted by the kun-yomi and onn-yomi, so instead of“中( tyū)”, “最中(saityū)”or “最中 (sanaka)”are often use as aspect auxiliar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1. はじめに
      • 2. 節のレベルから考える「~中」の文法化
      • 3. 接尾辞のレベルから考える「~中」の文法化
      • 4. おわりに
      • Abstract
      • 1. はじめに
      • 2. 節のレベルから考える「~中」の文法化
      • 3. 接尾辞のレベルから考える「~中」の文法化
      • 4. おわりに
      • 参考文献
      • 요지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张谊生, "试论现代汉语非典型持续体标记“中”与“间”" 4 : 18-26, 2007

      2 堀江薫, "言語のタイポロジー" 研究社 2009

      3 北原保雄, "続弾!問題な日本語" 大修館書店 2005

      4 大島弘子, "看護の言語学" くろしお出版 121-140, 2010

      5 日本語記述文法研究会, "現代日本語文法6第11部複文" くろしお出版 2008

      6 中右実, "日英語比較講座第二巻文法" 大修館書店 101-156, 1980

      7 益岡隆志, "日本語硏究とその可能性" 2015

      8 寺村秀夫, "日本語の文法(下)" 国立国語研究所 1981

      9 成田一, "日本語の名詞修飾表現" くろしお出版 67-126, 1994

      10 邢福义, "方位结构"X里"和"X中"" 4 : 208-219, 1996

      1 张谊生, "试论现代汉语非典型持续体标记“中”与“间”" 4 : 18-26, 2007

      2 堀江薫, "言語のタイポロジー" 研究社 2009

      3 北原保雄, "続弾!問題な日本語" 大修館書店 2005

      4 大島弘子, "看護の言語学" くろしお出版 121-140, 2010

      5 日本語記述文法研究会, "現代日本語文法6第11部複文" くろしお出版 2008

      6 中右実, "日英語比較講座第二巻文法" 大修館書店 101-156, 1980

      7 益岡隆志, "日本語硏究とその可能性" 2015

      8 寺村秀夫, "日本語の文法(下)" 国立国語研究所 1981

      9 成田一, "日本語の名詞修飾表現" くろしお出版 67-126, 1994

      10 邢福义, "方位结构"X里"和"X中"" 4 : 208-219, 1996

      11 P.Jホッパー , "文法化" 九州大学出版社 2003

      12 黒田成幸, "岩波講座日本語Ⅰ日本語と国語学" 岩波書店 156-176, 1977

      13 张谊生, "助词与相关格式" 安徽教育出版社 2002

      14 刁晏斌, "关于"动词+中"用法的一点思考" 55 : 1998

      15 坪本篤朗, "付加詞句の中の主要部内在型関係節" 8 : 31-54, 2005

      16 牛保义, "《激进构块语法》述介" 4 : 311-314,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1 0.31 0.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8 0.25 0.519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