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려시대 浮石寺의 역사․문화적 성격 = A Study on the Historical & Cultural Character that the Buseok-Temple(浮石寺) Created in the Koryo(高麗)-Dynasty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ttempt to analyze into the sects belonging of the Buseok- Temple, and national & social status that the Buseok-Temple was played the role in the the Koryo-Dynasty. in the process, this paper analyzed into the historical & cultural characte...

      This paper attempt to analyze into the sects belonging of the Buseok- Temple, and national & social status that the Buseok-Temple was played the role in the the Koryo-Dynasty. in the process, this paper analyzed into the historical & cultural character of the Cultural heritage & Memory heritage that the Buseok-Temple was created in the Koryo-Dynasty.
      The Buseok-Temple was also a key member of Hwa-ueom-school(華嚴宗)'s temple during the Koryo-Dynasty, and was succeeded to the hwa- ueom one-vehicle(華嚴一乘)’s thought of the Euisang(義湘) that was played the role as a Buddhist major monk. in the process, Buseok-Temple expanded its Buddhist status and human links-network throughout the country.
      The Buseok-Temple was created the various Cultural heritage & Memory heritage that fit this identity during the Koryo-Dynasty. during the Jingak-guksa(眞覺國師) Cheonhee(千熙)'s stay in the second half of the Koryo-Dynasty, the Muryangsujeon(無量壽殿) & Josadang(祖師堂) of the Buseok-Temple newly was constructed, and was renovated the Amitabha- Buddha-Statues(佛說阿彌陀佛像) of the Muryangsujeon & the wall painting of the Buseok-Temple's Josadang. in addition, the Buseok-Temple newly created the Avatamsaka-Sutra(大方廣佛華嚴經)-woodblocks & the Sukhavati -Vyuha-Sutra(佛說阿彌陀經)-woodblocks in the mid-13th century. the Buddhist project also reflected the meaning that succeeded to the hwa-ueom one-vehicle’s thought of the Euisa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에서는 고려시대 부석사의 소속 종단과 국가․사회적 역할․위상을 진단하고 부석사에서 조성된 문화유산․기록유산의 성격도 검토하였다. 부석사는 신라말기 이래 고려시대에도 화...

      이 글에서는 고려시대 부석사의 소속 종단과 국가․사회적 역할․위상을 진단하고 부석사에서 조성된 문화유산․기록유산의 성격도 검토하였다.
      부석사는 신라말기 이래 고려시대에도 화엄종 소속의 핵심적인 사원으로 의상의 華嚴一乘 사상을 계승하여 발전시키며 불교적 위상과 인적 연계망을 국가․지역적으로 확장하였다. 공민왕 7년에는 외적 침략으로 부석사의 역할과 위상이 일시적으로 위축되었다가 같은 왕 21년 이후 다시 회복되었다.
      고려시대 부석사는 이러한 정체성에 걸맞는 다양한 문화․기록유산을 새롭게 조성하거나 중수하는 등 역사․문화적인 역할․위상을 창조적으로 계승․발전시켜 나가기도 하였다. 고려후기 진각국사 천희가 주석하였을 때 무량수전을 새로 지었으며, 본존불인 아미타불상도 고치고 새롭게 금으로 칠하는 동시에, 조사당도 건립하거나 중수하고 조사당의 벽화나 조사영정 등도 새롭게 수리하였다. 고종 때에는 고려역서로 농학 등과 관련된 吉凶逐月橫看 고려목판을 조성․보급하는 국가․사회적인 역할을 분담하였으며, 불설아미타경판 및 3본 대방광불화엄경판도 조성하는 등 목판 출판인쇄와 함께 아미타신앙․화엄교학을 널리 보급하고 중점적으로 연구하는 역할도 수행하였다. 이러한 조성․중수불사는 의상의 화엄일승 사상을 계승하는 의미도 반영되어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문화재청, "한국의 사찰 문화재(2017 전국 사찰 목판 일제조사) 12"

      2 한국문화재보존연구원, "중요목조문화재 단청기록화 정밀조사(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1-1권" 문화재청 2013

      3 김태형,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의 성격에 대한 고찰" 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28 (28): 45-71, 2015

      4 "신증동국여지승람"

      5 "세종실록"

      6 "삼국유사"

      7 "삼국사기"

      8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9 "동아일보"

      10 "동국이상국집"

      1 문화재청, "한국의 사찰 문화재(2017 전국 사찰 목판 일제조사) 12"

      2 한국문화재보존연구원, "중요목조문화재 단청기록화 정밀조사(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1-1권" 문화재청 2013

      3 김태형,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의 성격에 대한 고찰" 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28 (28): 45-71, 2015

      4 "신증동국여지승람"

      5 "세종실록"

      6 "삼국유사"

      7 "삼국사기"

      8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9 "동아일보"

      10 "동국이상국집"

      11 "고려사절요"

      12 "고려사"

      13 "鳳凰山浮石寺改椽記"

      14 渡邊彰, "鳳凰山浮石寺保存工事執行의際에現古記錄의歷史的價値" 삼십본산연합사무소 (5) : 1917

      15 渡邊彰, "鳳凰山浮石寺保存工事執行의際에現 古記錄의歷史的價値" 삼십본산연합사무소 (6) : 1917

      16 "順興 浮石寺 圓融國師碑文, 龍仁 瑞峯寺 玄悟國師塔碑 (「校勘譯註歷代高僧碑文"

      17 이기백, "韓國上代古文書資料集成" 일지사 1987

      18 "補閑集"

      19 김상현, "眞覺國師 千熙의 佛敎史的 位相" 한국문화사학회 (39) : 57-66, 2013

      20 위은숙, "深源寺 소장 13세기 ‘吉凶逐月橫看 高麗木板’의 農曆" 민족문화연구소 (52) : 310-359, 2012

      21 임기영, "浮石寺 간행의 판본 연구" 한국서지학회 (59) : 305-345, 2014

      22 金東賢, "浮石寺 無量壽殿과 祖師堂" 동국대학교 박물관 3 : 1977

      23 千惠鳳, "浮石寺 三本華嚴經板" 동국대학교 박물관 3 : 1977

      24 "朝鮮金石總覽"

      25 "朝鮮總督府官報"

      26 "彰聖寺眞覺國師大覺圓照塔碑"

      27 "大覺國師文集"

      28 "圓宗文類"

      29 "唐大薦福寺故寺主飜經大德法藏和尙傳"

      30 "印経跋文, 禪門拈頌集"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5-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rnal of Seokdang Academy -> Journal of Seokdang Academy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3-2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rnal of Seokdang Academy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석당전통문화연구원 -> 석당학술원
      영문명 : Seokdang Academic Research Institute of Traditional Culture Dong-A University -> Seokdang Academy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2 0.62 0.5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46 1.395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