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韓․中․日 中世時期 度量衡制 比較 硏究 = A Comparative Study on System of Weights and Measures in Medieval Korea, China and Japa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deals with system of weights and measures in medieval Korean, China and Japan by the comparative method. Firstly, the measuring instruments in medieval Korea, China and Japan were made at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offices under state con...

      This paper deals with system of weights and measures in medieval Korean, China and Japan by the comparative method.
      Firstly, the measuring instruments in medieval Korea, China and Japan were made at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offices under state control. The central managements were undertaken by the Bureau of the Capital Markets(京市署, Gyeongsiseo) in Goryeo dynasty, Court of the Imperial Treasury(太府寺, Tàifǔsì) and Ministry of Works(工部, Gōngbù) in Song and Yuan dynasty and Ministry of the Treasury(大蔵省, Ōkura-shō) in Heian and Kamakura periods. And the local of 國司 were assumed by each major region.
      Secondly, Chon-Cheok(寸尺) were centrally used as the units of the ruler(尺) in the medieval. Goryeo dynasty did not divided them separately, and so used commonly the big ruler of Tang dynasty(唐大尺) as the woodworking ruler(營造尺), the fabric measuring ruler(布帛尺), the land surveying ruler(量田尺), etc. After the 12th century, there were finally various ruler such as the land surveying ruler and the woodworking ruler(=the fabric measuring ruler), etc. And the golden ruler(金尺) was used as a decoration and the finger length ruler(指尺) was used as the land surveying ruler. Keeping to use the ruler used in the Tang dynasty, Song dynasty used widely it while calling ‘the three office’s ruler(三司尺)’ or ‘the three offices’ cotton and silk ruler(三司布帛尺)’, etc. And the small ruler(小尺) used in Tang dynasty was used for an astronomy. The name of ruler in Yuan dynasty was not known, but its length was slightly longer than that in Song dynasty. The big ruler of Tang dynasty and the ruler of Goguryeo(高句麗尺) have been used in Heian and Kamakura periods, The ruler of Korea, China and Japan, as their common characteristic, was somewhat longer than ever and have not names by use as yet.
      Thirdly, in the medieval, the volume units of less than Du(斗) were the same, but there was also difference in each country. In Goryeo, 15Du=1Seok(石), while in Song and Yuan Dynasty and Heian and Kamakura periodes, 10Du=1Seok. Song dynasty, however, calculated as 1Gok(斛)=5Du. And the volume of 1Seung(升) was about 0.34ℓ in Goryeo, while in Song and Yuan dynasty was about 0.7ℓ~1ℓ, and in Heian and Kamakura periods was about 1.1ℓ, 1.4ℓ.
      Fourthly, the scale unit in the medieval was 1 Geun(斤), which was 16 Ryang(兩). Considering the introduction of scale of Yuan to Goryeo and decimal system in Gyeongguk Daejeon (經國大典), it suggested that Goryeo used decimal system in units less than Ryang and Song and Yuan used also decimal system. And It is more likely that the medieval Japan also did the same. The weight of 1 Geun was about 600g, in which there were no much differen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한․중․일 중세시기 도량형제의 비교 연구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세시기 도량형은 국가의 주도로 중앙과 지방의 관청에서 제작하였는데, 중앙의 경우 고려는 京市署가, 송․원...

      한․중․일 중세시기 도량형제의 비교 연구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세시기 도량형은 국가의 주도로 중앙과 지방의 관청에서 제작하였는데, 중앙의 경우 고려는 京市署가, 송․원대는 太府寺와 工部가, 평안․겸창기는 大藏省에서 담당하였고, 지방은 각 지역의 國司가 담당하였다.
      둘째, 척의 단위는 ‘촌․척’을 중심으로 운용되었고, 이하도 마찬가지다. 고려의 척은 분화하지 않고 기존의 唐大尺을 營造, 布의 수취, 그리고 量田 등에 공용하다가, 12세기 이후 金尺을 형장식의 사용과 指尺을 量田尺으로 사용함으로써 量田尺과 營造用의 尺(=布帛尺) 등이 존재하였다. 송은 당대의 척을 계승하였으며, 이러한 척을 三司尺 혹은 三司布帛尺 등의 이름으로 사용하였고, 당의 小尺을 天文用 척으로 사용하였다. 원대의 척은 명칭을 알 수 없지만, 송대보다 약간 길어졌다. 평안․겸창․남북조기는 이전의 당대척과 고구려척을 계승하여 사용하였다. 3국의 척은 이전의 시기보다 길었고, 용도별 명칭이 아직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부피의 단위는 斗 이하는 동일하였지만, 斗와 石은 고려가 15두=1석이지만, 송․원대와 평안․겸창기는 10두=1석이지만, 송대는 5두=1斛도 사용되었다. 1승의 용적은 고려가 약 0.34ℓ인 반면, 송․원대는 약 0.7ℓ와 1ℓ 내외였고, 平安․鎌倉․南北朝期는 약 1.1ℓ 혹은 1.4ℓ 정도였다.
      넷째, 저울의 단위는 1근 16량을 사용하였다. 량 아래의 단위는 고려에서 원의 저울 도입과 『경국대전』에 십진법이었던 점을 고려할 때 십진법을 사용하였고, 송․원에도 십진법을 사용하였고, 일본 중세도 그럴 가능성이 많다. 1근의 중량은 약 600g 정도에서 큰 차이가 없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국립민속박물관, "한국의 도량형" 신유문화사 1997

      2 이종봉, "한국 도량형사" 소명 2016

      3 박흥수, "한국 古代의 量田法과 量田尺에 관한 연구" 1974

      4 朴興秀, "한․중도량형제도사" 성균관대 출판부 1999

      5 전룡철, "고려의 수도 개성성에 대한 연구(1)" (2) : 1980

      6 呂恩暎, "高麗時代의 量田制" 2 : 1986

      7 呂恩暎, "高麗時代의 量制-結負制 이해의 기초로서-" 3 : 1987

      8 "高麗史節要"

      9 "高麗史"

      10 "韓國金石總覽"

      1 국립민속박물관, "한국의 도량형" 신유문화사 1997

      2 이종봉, "한국 도량형사" 소명 2016

      3 박흥수, "한국 古代의 量田法과 量田尺에 관한 연구" 1974

      4 朴興秀, "한․중도량형제도사" 성균관대 출판부 1999

      5 전룡철, "고려의 수도 개성성에 대한 연구(1)" (2) : 1980

      6 呂恩暎, "高麗時代의 量田制" 2 : 1986

      7 呂恩暎, "高麗時代의 量制-結負制 이해의 기초로서-" 3 : 1987

      8 "高麗史節要"

      9 "高麗史"

      10 "韓國金石總覽"

      11 "韓國文集叢刊"

      12 李宇泰, "韓國古代의 量制" 10 : 1993

      13 李宗峯, "韓國中世度量衡制硏究" 혜안 2001

      14 "鎌倉遺文"

      15 "至正條格"

      16 "續日本記"

      17 小泉袈裟勝, "秤" 法政大學 出版局 2001

      18 岩田重雄, "柳之御所出土の尺度" 日本計量史學會 17 : 1995

      19 小泉袈裟勝, "枡" 法政大學 出版局 1998

      20 小泉袈裟勝, "東洋尺度史の諸問題" (351) : 1977

      21 水鳥川和夫, "日本度量衡史の硏究-面積․尺度編" デザイエツグ株式會社 2018

      22 "新訂增補國史大系"

      23 李宇泰, "新羅時代의 結負制" 5 : 1989

      24 朴興秀, "新羅 및 高麗의 量田法에 관하여" 1972

      25 박흥수, "新羅 및 高麗 때의 量制度와 量尺에 관하여" 5 : 1977

      26 "新唐書"

      27 "新元史"

      28 阿部猛, "度量衡의 事典" 同成社 2006

      29 朴興秀, "度量衡과 國樂論叢" 대방문화사 1980

      30 小泉袈裟勝, "度量衡の歷史" 原書房 1978

      31 "平安遺文"

      32 岩田重雄, "尺座をめぐる人たち" 日本計量史學會 1982

      33 "宋會要輯稿"

      34 "宋史"

      35 "宋刑統"

      36 "天聖令"

      37 "夢溪筆談"

      38 "元史"

      39 "元典章"

      40 "五妻鏡"

      41 丘光明, "中國科學技術史-度量衡卷" 科學出版社 2003

      42 丘光明, "中國歷代度量衡考" 科學出版社 1992

      43 梁方中, "中國歷代度量衡之變遷及其時代特徵" (3) : 1980

      44 金基協, "中國度量衡圖集" 법인문화사 1993

      45 吳承洛, "中國度量衡史" 商務印書館 1937

      46 丘光明, "中國度量衡" 新華出版社 1993

      47 河南星計量局, "中國古代度量衡論文集" 中州古籍出版社 1990

      48 丘光明, "中國古代度量衡" 商務印書館 1996

      49 岩田重雄, "中國․朝鮮․日本の長さ標準" 日本計量史學會 16 : 1994

      50 水鳥川和夫, "中世西日本における使用升の容積と標準升" 76 (76): 2011

      51 水鳥川和夫, "中世畿內における使用升の容積と標準升" 75 (75): 2010

      52 水鳥川和夫, "中世東日本における使用升の容積と標準升" 78 (78): 2012

      53 山岸素夫, "中世大袖の規格化と甲冑用鷹バカリについて" 日本計量史學會 9 : 1987

      54 郭正忠, "三至十四世紀中國的權量度量" 社會科學出版社 1993

      55 小泉袈裟勝, "ものさし" 法政大學 出版局 2001

      56 宮本佐知子, "さし․ます․はかり" 雄山閣 9 :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5-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rnal of Seokdang Academy -> Journal of Seokdang Academy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3-2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rnal of Seokdang Academy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석당전통문화연구원 -> 석당학술원
      영문명 : Seokdang Academic Research Institute of Traditional Culture Dong-A University -> Seokdang Academy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2 0.62 0.5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46 1.395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