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朝鮮總督府, (7) : 1939
2 나혜석, "理想的 婦人" (3) : 1914
3 윤상덕, "호주제도 폐지의 당위성과 개선방안에 대한 고찰" 2005
4 최길성, "한국인의 조상숭배와 효" 민속원 2010
5 이승일, "조선총독부 법제정책" 역사비평사 2008
6 강병식, "일제하 한국에서의 결혼과 이혼 및 출산 실태연구" 단국대 사학회 28 : 1995
7 김도형, "일제하 한국사회의 전통과 근대인식" 혜안 2009
8 김원열, "일제강점기 황도 유림의 사회 윤리에 대한 계보학적 연구"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1 (21): 87-116, 2010
9 허영섭, "일본 조선총독부를 세우다" 채륜
10 류미나, "식민지기 조선의 명륜학원" 교육사학회 17 (17): 53-77, 2007
1 朝鮮總督府, (7) : 1939
2 나혜석, "理想的 婦人" (3) : 1914
3 윤상덕, "호주제도 폐지의 당위성과 개선방안에 대한 고찰" 2005
4 최길성, "한국인의 조상숭배와 효" 민속원 2010
5 이승일, "조선총독부 법제정책" 역사비평사 2008
6 강병식, "일제하 한국에서의 결혼과 이혼 및 출산 실태연구" 단국대 사학회 28 : 1995
7 김도형, "일제하 한국사회의 전통과 근대인식" 혜안 2009
8 김원열, "일제강점기 황도 유림의 사회 윤리에 대한 계보학적 연구"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1 (21): 87-116, 2010
9 허영섭, "일본 조선총독부를 세우다" 채륜
10 류미나, "식민지기 조선의 명륜학원" 교육사학회 17 (17): 53-77, 2007
11 양현아, "식민지 시기 한국 가족법의 관습문제 I" 58 : 2000
12 박선미, "근대여성, 제국을 거쳐 조선으로 회유하다" 창비 2007
13 福田量作, "韓國倂合記念史" 大日本實業協會藏版 1914
14 高橋 亨, "王道儒道より皇道儒道へ" 朝鮮總督府 (295) : 1930
15 本間九介, "朝鮮雜錄" 김영사 2008
16 藤田東三, "朝鮮親族法相續法" 大阪屋號書店 1933
17 野村調太郞, "朝鮮慣習法上の家と其の相續制" 6 (6): 1940
18 朝鮮總督府中樞院, "慣習調査報告書" 1913
19 辛東植, "家禮輯解"
20 尹德榮, "全鮮儒林大會における經學院大提學訓示要旨" (45) :
21 忠淸南道, "儀禮軌範"
22 洪承日, "儀禮要覽" 1929
23 安東郡邑面 農村振興委員會, "儀禮準則"
24 金鎭孝, "儀禮備要" 儀禮備要社 1939
25 羅濬, "二禮略解"
26 장미경, "<修身書>로 본 조선총독부의 ‘식민지 여성’ 교육" 한국일본어문학회 1 (1): 377-396,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