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은 지난 20여년간 케어매니지먼트를 지역사회보호의 핵심장치로서 발전시켜왔다. 본 논문의 목적은 영국케어매니지먼트 시스템과 그 운영을 분석하고 한국 노인장기요양보험에의 정책...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564088
전용호 (남서울대학교)
2012
Korean
케어매니지먼트 ; 노인 ; 장기요양 ; 지역사회 보호 ; 영국 ; care management ; elderly people ; long-term care ; community care ; UK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1-24(24쪽)
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영국은 지난 20여년간 케어매니지먼트를 지역사회보호의 핵심장치로서 발전시켜왔다. 본 논문의 목적은 영국케어매니지먼트 시스템과 그 운영을 분석하고 한국 노인장기요양보험에의 정책...
영국은 지난 20여년간 케어매니지먼트를 지역사회보호의 핵심장치로서 발전시켜왔다. 본 논문의 목적은 영국케어매니지먼트 시스템과 그 운영을 분석하고 한국 노인장기요양보험에의 정책적 시사점을 모색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기존 문헌연구를 통해서 수행되었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영국은 케어매니지먼트를 지역사회에서노인들을 위한 전문적인 욕구 사정과 서비스 제공 등의 중요한 수단으로 활용해 왔다. 특히 전문화, 예산권한의이양, 대상의 표적화, 다양한 분야의 접근의 측면에서 케어매니지먼트를 발전시켰다. 그러나, 예산의 제한과 현장에서의 전문인력들의 한계 등 때문에 당초 목표를 충분히 달성하지는 못했다. 그러나, 영국의 경험은 우리나라에 다음과 같은 정책적인 시사점을 제시한다. 무엇보다도, 한국 노인장기요양보험에 케어매니지먼트 도입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중장기적으로 전문인력의 양성을 통한 케어매니지먼트의 전문화와 케어매니지먼트 서비스 대상의 표적화를 효과적으로 추진해야 할 것을 시사하고 있다. 아울러, 클라이언트의 복합적인 욕구를 충족하도록 다양한 분야의 협력적인 접근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UK has developed care management system as a cornerstone of community care for over 20 years.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are management system and its operation in the UK and to find policy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l...
The UK has developed care management system as a cornerstone of community care for over 20 years.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are management system and its operation in the UK and to find policy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long-term care insurance. This research was conducted by adopting literature review methodology. The findings sugguest that care management has been used as a significant means to assess needs of elderly people and deliver services for them in the community care. In particular, the policies of care management towards specialisation, budgetary devolution, targeting, and multi-disciplinary approach have been actively sought by the government. In spite of this, the policies have not been able to successfully achieved their initial aims. The experience of developing care management in the UK suggests that there are a number of useful policy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long-term care system. Most of all, the need for the introduction of care management in the long-term care system is suggested owing to its merits. In addition, in the medium and long-term, Korea also need to implement the policy toward the specialisation and targeting of care management. Moreover, it suggests that multi-disciplinary approach of care management should be actively sought in order to meet the complex needs of service user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전용호, "한국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주요한 문제점과 개선방안 - 길버트와 테렐의 분석틀을 중심으로 -"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43 (43): 345-384, 2012
2 임병우, "재가노인복지에서 케어매니지먼트 실천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34 (34): 213-238, 2006
3 전용호, "영국과 독일의 노인 장기요양서비스의 시장화와 그 결과: 이용자 관점에서의 평가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2 (32): 143-169, 2012
4 유재남, "영국·독일·호주의 노인장기요양보호에서 케어매니지먼트 체계 비교 분석" 한국노인복지학회 43 (43): 381-406, 2009
5 전용호, "영국 사회서비스 분야의 유사시장 형성과 발전 과정에 관한 연구 - 한국 노인장기요양보험에 주는 시사점" 한국사회정책학회 17 (17): 257-287, 2010
6 전용호,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서비스 질 관리 개선에 관한 연구:영국의 질 관리 시스템과 그 시사점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3 (33): 335-361, 2008
7 김미숙, "노인수발보험제도 시범사업의 케어매니지먼트 운영체계분석에 따른 정책적 제언"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5 (25): 181-202, 2006
8 차흥봉, "노인수발보험의 관리운영체계와 지역사회중심형 케어매니지먼트체계개발연구" 한림대학교 고령친화전문인력육성사업단·삼육대학교 특성화사업단 2006
9 석재은, "노인수발보장과 서비스전달체계: 케어매니지먼트의 제도화?" 143-151, 2006
10 김영숙, "노인 수발보장제도와 지역사회중심의 케어매니지먼트 체계" 한국노인복지학회 31 (31): 44-68, 2006
1 전용호, "한국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주요한 문제점과 개선방안 - 길버트와 테렐의 분석틀을 중심으로 -"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43 (43): 345-384, 2012
2 임병우, "재가노인복지에서 케어매니지먼트 실천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34 (34): 213-238, 2006
3 전용호, "영국과 독일의 노인 장기요양서비스의 시장화와 그 결과: 이용자 관점에서의 평가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2 (32): 143-169, 2012
4 유재남, "영국·독일·호주의 노인장기요양보호에서 케어매니지먼트 체계 비교 분석" 한국노인복지학회 43 (43): 381-406, 2009
5 전용호, "영국 사회서비스 분야의 유사시장 형성과 발전 과정에 관한 연구 - 한국 노인장기요양보험에 주는 시사점" 한국사회정책학회 17 (17): 257-287, 2010
6 전용호,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서비스 질 관리 개선에 관한 연구:영국의 질 관리 시스템과 그 시사점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3 (33): 335-361, 2008
7 김미숙, "노인수발보험제도 시범사업의 케어매니지먼트 운영체계분석에 따른 정책적 제언"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5 (25): 181-202, 2006
8 차흥봉, "노인수발보험의 관리운영체계와 지역사회중심형 케어매니지먼트체계개발연구" 한림대학교 고령친화전문인력육성사업단·삼육대학교 특성화사업단 2006
9 석재은, "노인수발보장과 서비스전달체계: 케어매니지먼트의 제도화?" 143-151, 2006
10 김영숙, "노인 수발보장제도와 지역사회중심의 케어매니지먼트 체계" 한국노인복지학회 31 (31): 44-68, 2006
11 Challis, D., "The value of specialist clinical assessment of older people prior to entry to care homes" 33 (33): 25-34, 2004
12 DH., "The cornerstone of care : inspection of care planning for older people" Department of Health 1997
13 Moxley, D., "The Practice of Case Management" Sage 1989
14 Chevannes, M., "Social construction of the managerialism of needs assessment by health and social care professionals" 10 (10): 168-178, 2002
15 Payne, M., "Social Work and Community Care" Macmillan 1995
16 Rothgang, H., "Social Insurance for Long-term Care : An Evaluation of the German Model" 44 (44): 436-460, 2010
17 Phillips, J., "Reviewing The Literature On Care Management, In Reviewing Care Management for Older People" Cromwell Press 1996
18 Foster, M., "Personalised social care for adults with disabilities : a problematic concept for frontline practice" 14 (14): 149-157, 2006
19 DH., "National Service Framework for Older People" Department of Health 2001
20 Glendinning, C., "Long-Term Care in the UK and in Germany compared" Anglo-German Foundation 2009
21 DH., "Independence, Well-being and Choice : Our vision for the future of social care for adults in England, Cm 6499" Department of Health 2005
22 DH., "Guidance on the Single Assessment Process for Older People" Department of Health 2002
23 Challis, D., "Comprehensive assessment of older people with complex care needs : the multi-disciplinarity of the Single Assessment Process in England" 30 (30): 1115-1134, 2010
24 Griffiths Report, "Community care : An agenda for action" HSMO 1988
25 Means, R, "Community Care : Policy and Practice" Palgrave 2004
26 DH., "Caring for People: Community care in the next decade and beyond, In Cm 849" Department of Health 1989
27 Weiner, K., "Care management arrangements for older people in England : key areas of variation in a national study" 22 (22): 419-439, 2002
28 Hadley, R., "Care into chaos : Frustration and challenge in community care" Cassell 1996
29 SSI/SWSG, "Care Management and Assessment: Managers' Guide" Department of Social Services Inspectorate and Scottish office social work services group 1991
30 SSI/SWSG, "Care Management and Assessment : Practitioners' Guide" Department of Social Services Inspectorate and Scottish office social work services group 1991
31 Stewart, K., "Assessment approaches for older people receiving social care: content and coverage" 14 (14): 147-156, 1999
32 Challis, D., "Are different forms of care-management for older people in England associated with variations in case-mix, service use and care-mangers' use of time?" 27 : 25-48, 2007
33 Warburton, R, "An Evidence-based Perspective From the Department of Health on the impact of the 1993 Reforms on the Care of Frail, Elderly People, In Research volume 3 of With Respect to Old Age: Long Term Care- Rights and Responsibilities, Community Care and Informal Care" The Stationery Office 1999
34 Challis, D., "Achieving coordinated and integrated care among long-term care services: The role of care management. in KEY POLICY ISSUES IN LONG-TERM CARE" WHO 2003
35 Chon, Y., "A Qualitative Exploratory Study on the Service Delivery System for the New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in Korea" 2012
농촌지역 고령자의 생활환경에 대한 인식이 삶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사회와 사회통합: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지역민간기관의 역할
영국의 아동사례관리체계: 조기개입과 학대아동보호를 중심으로
일본의 인지증(치매) 고령자 부양가족의 서비스 이용과 심리적 변화과정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11-23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케어매니지먼트학회 ->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영문명 : Korean Academy of Care Management -> Korean Academy of Integrated Care Management | ![]() |
2018-05-17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 of Academy Care Management -> Korean Academy of Care Management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기타)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3 | 1.13 | 1.2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7 | 1.19 | 1.629 | 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