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8세기 조선 문인지식인의 시로 꿈꾼 동아시아 = 한 · 중 · 일, 분열과 갈등의 시대를 넘어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6104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18세기 중후반 북학파 문인지식인들에게서 공통으로 확인되는 ‘동아시아의 소통과 공존에 대한 인식의 양상’을 구체적으로 천착하여, 그 의미를 파악하고 가치를 평가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북학파 문인지식인 가운데 원중거(元重擧)와 박제가(朴齊家)와 유득공(柳得恭)을 대표 인물로 선택하여 그 인식의 특징을 분석하고, 그 결과에 평가와 의미를 더하였다.
      일본 문사의 시선집인 『일동조아』를 엮어 조선에 소개한 원중거는 ‘임진왜란 이후 지속된 재침의 우려를 불식시키고 조선과 일본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으리란 비전’을 새롭게 열었고, 박제가와 유득공은 원중거가 꿈꾸었던 비전을 시를 통해 실천하였다. ‘동아시아 문사와의 소통과 공존’을 꿈꾼 박제가는 회인시(懷人詩)를 통해 그려냈고, 유득공은 『병세집』에 담아냈다. ‘사해가 하나’라는 박제가의 해동(海同)의 인식과 ‘동시대를 함께한다’는 유득공의 병세(幷世)의 의식에는 ‘동아시아 5개국 문사의 시를 통한 동시대적 소통과 공존의 면모’가 잘 드러난다. 말 그대로 ‘시로 꿈꾼 동아시아’인 셈이다.
      물론 해동의 인식과 병세의 의식은 청나라 중심의 국제질서의 범주를 벗어나지 못하는 한계를 드러낸다. 그러나 청나라를 중심으로 수직적으로 배열되는 조공체계와 달리 해동과 병세는 수평적이고 동시대적인 소통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적지 않다. 더욱이 조선의 문사가 조선의시문을 중심으로 동아시아 4국의 문사와 시문을 종합하여 ‘동아시아의 소통과 공존에 대한 인식’을 구체적으로 실천하고 있다는 사실은 높게 평가할 만하다. 18세기 북학파 문인지식인에게서 공통으로 보이는 이러한 인식과 그 구체적 실천의 양상은 최근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동아시아 문화공동체 논의에도 일정부분 기여하는 바가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본고는 18세기 중후반 북학파 문인지식인들에게서 공통으로 확인되는 ‘동아시아의 소통과 공존에 대한 인식의 양상’을 구체적으로 천착하여, 그 의미를 파악하고 가치를 평가하는데 주된...

      본고는 18세기 중후반 북학파 문인지식인들에게서 공통으로 확인되는 ‘동아시아의 소통과 공존에 대한 인식의 양상’을 구체적으로 천착하여, 그 의미를 파악하고 가치를 평가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북학파 문인지식인 가운데 원중거(元重擧)와 박제가(朴齊家)와 유득공(柳得恭)을 대표 인물로 선택하여 그 인식의 특징을 분석하고, 그 결과에 평가와 의미를 더하였다.
      일본 문사의 시선집인 『일동조아』를 엮어 조선에 소개한 원중거는 ‘임진왜란 이후 지속된 재침의 우려를 불식시키고 조선과 일본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으리란 비전’을 새롭게 열었고, 박제가와 유득공은 원중거가 꿈꾸었던 비전을 시를 통해 실천하였다. ‘동아시아 문사와의 소통과 공존’을 꿈꾼 박제가는 회인시(懷人詩)를 통해 그려냈고, 유득공은 『병세집』에 담아냈다. ‘사해가 하나’라는 박제가의 해동(海同)의 인식과 ‘동시대를 함께한다’는 유득공의 병세(幷世)의 의식에는 ‘동아시아 5개국 문사의 시를 통한 동시대적 소통과 공존의 면모’가 잘 드러난다. 말 그대로 ‘시로 꿈꾼 동아시아’인 셈이다.
      물론 해동의 인식과 병세의 의식은 청나라 중심의 국제질서의 범주를 벗어나지 못하는 한계를 드러낸다. 그러나 청나라를 중심으로 수직적으로 배열되는 조공체계와 달리 해동과 병세는 수평적이고 동시대적인 소통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적지 않다. 더욱이 조선의 문사가 조선의시문을 중심으로 동아시아 4국의 문사와 시문을 종합하여 ‘동아시아의 소통과 공존에 대한 인식’을 구체적으로 실천하고 있다는 사실은 높게 평가할 만하다. 18세기 북학파 문인지식인에게서 공통으로 보이는 이러한 인식과 그 구체적 실천의 양상은 최근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동아시아 문화공동체 논의에도 일정부분 기여하는 바가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concretely grasped ‘types of recognition on communication and co-existence’ mutually verified in literary intellectuals of Bukhakpa(北學派) in the middle and late 18C, and primarily aimed at identifying the meaning then evaluating the value. Therefore, this paper selected Won Junggeo, Park Jega, and Yu Deukgong of literary intellectuals of Bukhakpa as representative, analyzed features of their recognition, and added appraisal and meaning to the results.
      Won Junggeo, who introduced the 『Ildongjoa』, a poetry collection of Japanese literature, to the Joseon Dynasty, opened a new vision of ‘reviving the worries of a reattachment that has continued since the Imjinwaeran(壬辰倭亂) and positively changing the relationship between Joseon and Japan,’ and Park Jega and Yu Deukgong practiced the visions which Won Junggeo had dreamed through poetry. Park Jaega, who dreamed of ‘communication and coexistence with East Asian writers’, was portrayed through a poem ‘Hoeinsi(懷人詩)’, and Yu Deukgong was portrayed in 『Byeongsejip』. The consciousness of Haedong(海同) which means that four beaches are one in Park Jega and the consciousness of Byoongse(幷世)which means to be same ages together in Yu Deukgong indicated aspects of contemporary communication and coexistence through poetry of literary in five East-Asian countries very well. It was literally ‘East Asia dreaming of poetry’.
      Of course, The consciousness of Haedong(海同) and the consciousness of Byeongse(幷世) could not go beyond the limitation of the international order centered on Qing Dynasty. However, unlike the tribute system, which is vertically arranged around the Qing Dynasty, Haedong(海同) and Byoongse(幷世) were meaningful in that they were oriented toward horizontal and contemporary communication. Furthermore, the fact that Joseon`s writer concretely practiced the ‘recognition of communication and coexistence in East Asia’ by combining the literatures and poems of the four East Asian countries, centering on the poems of Joseon, was highly appreciated. This perception commonly viewed in literary intellectuals of Bukhakpa in 18C and its concrete practice will contribute to the discussions of the East Asian cultural community which is actively under way.
      번역하기

      This paper concretely grasped ‘types of recognition on communication and co-existence’ mutually verified in literary intellectuals of Bukhakpa(北學派) in the middle and late 18C, and primarily aimed at identifying the meaning then evaluating th...

      This paper concretely grasped ‘types of recognition on communication and co-existence’ mutually verified in literary intellectuals of Bukhakpa(北學派) in the middle and late 18C, and primarily aimed at identifying the meaning then evaluating the value. Therefore, this paper selected Won Junggeo, Park Jega, and Yu Deukgong of literary intellectuals of Bukhakpa as representative, analyzed features of their recognition, and added appraisal and meaning to the results.
      Won Junggeo, who introduced the 『Ildongjoa』, a poetry collection of Japanese literature, to the Joseon Dynasty, opened a new vision of ‘reviving the worries of a reattachment that has continued since the Imjinwaeran(壬辰倭亂) and positively changing the relationship between Joseon and Japan,’ and Park Jega and Yu Deukgong practiced the visions which Won Junggeo had dreamed through poetry. Park Jaega, who dreamed of ‘communication and coexistence with East Asian writers’, was portrayed through a poem ‘Hoeinsi(懷人詩)’, and Yu Deukgong was portrayed in 『Byeongsejip』. The consciousness of Haedong(海同) which means that four beaches are one in Park Jega and the consciousness of Byoongse(幷世)which means to be same ages together in Yu Deukgong indicated aspects of contemporary communication and coexistence through poetry of literary in five East-Asian countries very well. It was literally ‘East Asia dreaming of poetry’.
      Of course, The consciousness of Haedong(海同) and the consciousness of Byeongse(幷世) could not go beyond the limitation of the international order centered on Qing Dynasty. However, unlike the tribute system, which is vertically arranged around the Qing Dynasty, Haedong(海同) and Byoongse(幷世) were meaningful in that they were oriented toward horizontal and contemporary communication. Furthermore, the fact that Joseon`s writer concretely practiced the ‘recognition of communication and coexistence in East Asia’ by combining the literatures and poems of the four East Asian countries, centering on the poems of Joseon, was highly appreciated. This perception commonly viewed in literary intellectuals of Bukhakpa in 18C and its concrete practice will contribute to the discussions of the East Asian cultural community which is actively under wa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들어가며 - 17세기 분열과 갈등의 동아시아
      • 2. 원중거(元重擧)의 일본 문아(文雅) 소개
      • 3. 박제가(朴齊家)의 동아시아 문인 회억
      • 4. 유득공(柳得恭)의 동아시아 시문 종합
      • 국문초록
      • 1. 들어가며 - 17세기 분열과 갈등의 동아시아
      • 2. 원중거(元重擧)의 일본 문아(文雅) 소개
      • 3. 박제가(朴齊家)의 동아시아 문인 회억
      • 4. 유득공(柳得恭)의 동아시아 시문 종합
      • 5. 나가며 - 평가와 의미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허경진, "柳得恭 『並世集』 연구" 한중인문학회 (28) : 273-308, 2009

      2 박종훈, "초정 박제가의 懷人詩 小考" 한국언어문화학회 (30) : 99-124, 2006

      3 손승철, "조선통신사의 역사적 상징성 검토-공존·공유·공생을 위한 시론"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30 (30): 163-, 2010

      4 박희병, "조선의 일본학 성립: 원중거와 이덕무" 규장각한국학연구원 (61) : 179-219, 2013

      5 원중거, "조선 후기 지식인, 일본과 만나다" 소명출판 2006

      6 안대회, "조선 후기 燕行을 보는 세 가지 시선-燕行使를 보내는 送序를 중심으로" 한국실학학회 (19) : 87-121, 2010

      7 원중거, "와신상담의 마음으로 일본을 기록하다" 소명출판 2006

      8 이승수, "박제가 삶의 마음속 出路, 燕京의 友情" 동아시아문화연구소 (50) : 187-214, 2011

      9 정일남, "박제가 懷人詩 연구" 한국한문학회 (36) : 1-19, 2005

      10 李德懋, "雅貞遺稿"

      1 허경진, "柳得恭 『並世集』 연구" 한중인문학회 (28) : 273-308, 2009

      2 박종훈, "초정 박제가의 懷人詩 小考" 한국언어문화학회 (30) : 99-124, 2006

      3 손승철, "조선통신사의 역사적 상징성 검토-공존·공유·공생을 위한 시론"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30 (30): 163-, 2010

      4 박희병, "조선의 일본학 성립: 원중거와 이덕무" 규장각한국학연구원 (61) : 179-219, 2013

      5 원중거, "조선 후기 지식인, 일본과 만나다" 소명출판 2006

      6 안대회, "조선 후기 燕行을 보는 세 가지 시선-燕行使를 보내는 送序를 중심으로" 한국실학학회 (19) : 87-121, 2010

      7 원중거, "와신상담의 마음으로 일본을 기록하다" 소명출판 2006

      8 이승수, "박제가 삶의 마음속 出路, 燕京의 友情" 동아시아문화연구소 (50) : 187-214, 2011

      9 정일남, "박제가 懷人詩 연구" 한국한문학회 (36) : 1-19, 2005

      10 李德懋, "雅貞遺稿"

      11 朴齊家, "貞蕤閣集"

      12 朴齊家, "縞紵集"

      13 徐浩修, "燕行紀"

      14 朴趾源, "燕巖集"

      15 洪大容, "湛軒書"

      16 趙曮, "海槎日記"

      17 元重擧, "和國志"

      18 柳得恭, "冷齋集"

      19 元重擧, "乘槎錄"

      20 박수밀, "「渡江錄」에 나타난 경계의 인식론" 한국한문학회 (56) : 393-422, 2014

      21 정민, "18, 19세기 조선 지식인의 병세의식(幷世意識)" 규장각한국학연구원 (54) : 183-204, 2011

      22 이홍식, "1763年 계미통신사의 일본 문화 인식 — 현천(玄川) 원중거(元重擧)를 중심으로 —" 온지학회 (41) : 175-200, 2014

      23 이홍식, "1763 계미통신사행과 한일 관계의 변화 탐색 -충돌과 갈등 양상을 중심으로-" 동아시아문화연구소 (49) : 89-118,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1 0.41 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797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