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ㆍ중ㆍ미 대학생 소비자의 정보신뢰성이 식품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Information Reliability on Safety Behavior among Korean, Chinese and American University Student -Focused on Food Consump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405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생명기술의 발달로 인한 새로운 물질 개발과 함께 재화의 정보가 점점 전문적이고 복잡해지고 있는 환경 속에서 정보의 신뢰성은 소비자들이 재화를 구매하는데 있어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의 정보신뢰성이 식품안전행동에 직ㆍ간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정보 신뢰성의 중요성을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또한, 정보신뢰성이 식품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중국ㆍ미국의 경우와 비교해 보았다. 이를 위하여 국내외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측정도구를 수집한 후, 한국과 중국, 미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분석은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식품정보신뢰성이 정보요구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식품표시 정보신뢰성은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식품안전 커뮤니케이션 신뢰성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보요구도가 식품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한국과 중국의 경우 표시정보 확인행동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미국의 경우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보이고 있었다. 셋째, 한국소비자의 식품안전행동이 중국과 미국에 비해 정보신뢰성에 더 많은 영향을 받고 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한국사회에서 정보신뢰성은 타국에 비해 매우 중요한 요인이며, 소비자 역량 또한 정보신뢰성 못지않게 중요한 요인으로 밝혀졌다. 이에 정부는 기업 대한 적절한 규제와 감시를 통하여 소비자들에게 올바른 정보가 제공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할 것이며, 식품안전사건ㆍ사고 또는 새로운 식품위해에 대해서는 정확한 정보를 중립적인 자세에서 제공함으로써 소비자들의 정보신뢰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또한 소비자 교육을 통하여 소비자의식을 함양하고 올바른 식품소비 행동 매뉴얼을 작성하여 배포 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하여 소비자역량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생명기술의 발달로 인한 새로운 물질 개발과 함께 재화의 정보가 점점 전문적이고 복잡해지고 있는 환경 속에서 정보의 신뢰성은 소비자들이 재화를 구매하는데 있어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

      생명기술의 발달로 인한 새로운 물질 개발과 함께 재화의 정보가 점점 전문적이고 복잡해지고 있는 환경 속에서 정보의 신뢰성은 소비자들이 재화를 구매하는데 있어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의 정보신뢰성이 식품안전행동에 직ㆍ간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정보 신뢰성의 중요성을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또한, 정보신뢰성이 식품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중국ㆍ미국의 경우와 비교해 보았다. 이를 위하여 국내외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측정도구를 수집한 후, 한국과 중국, 미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분석은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식품정보신뢰성이 정보요구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식품표시 정보신뢰성은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식품안전 커뮤니케이션 신뢰성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보요구도가 식품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한국과 중국의 경우 표시정보 확인행동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미국의 경우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보이고 있었다. 셋째, 한국소비자의 식품안전행동이 중국과 미국에 비해 정보신뢰성에 더 많은 영향을 받고 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한국사회에서 정보신뢰성은 타국에 비해 매우 중요한 요인이며, 소비자 역량 또한 정보신뢰성 못지않게 중요한 요인으로 밝혀졌다. 이에 정부는 기업 대한 적절한 규제와 감시를 통하여 소비자들에게 올바른 정보가 제공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할 것이며, 식품안전사건ㆍ사고 또는 새로운 식품위해에 대해서는 정확한 정보를 중립적인 자세에서 제공함으로써 소비자들의 정보신뢰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또한 소비자 교육을 통하여 소비자의식을 함양하고 올바른 식품소비 행동 매뉴얼을 작성하여 배포 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하여 소비자역량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roduct information is increasingly professional and complicated because of bio technology development. Consumers' information reliability is major effective factor in a complex market environment when consumer purchases some goods.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at consumers' information reliability affects food safety behavior directly and indirectly. In addition this research especially focused on analysing the differences for consumers' information reliability and safety behavior among Korea, China and America. The implications based on thes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consumers' information reliability has positive effect on food safety communication reliability but not effect on food display information. Secondly, consumers' information needs positively affect food display information confirmation only in American. Thirdly, Koean consumers' food safety behavior is even more affected by information reliability than Chinese and American. Results showed that consumers' information reliability and safety competency are very important factors of Korean society compared with Chinese and American. Therefore, government should create an atmosphere which offers consumers information rightly through restricting and monitoring the corporation. In addition, food safety education and a wide variety of activities such as publishing food consumption conduct manual should aim to develop consumers competency.
      번역하기

      Product information is increasingly professional and complicated because of bio technology development. Consumers' information reliability is major effective factor in a complex market environment when consumer purchases some goods. This study attempt...

      Product information is increasingly professional and complicated because of bio technology development. Consumers' information reliability is major effective factor in a complex market environment when consumer purchases some goods.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at consumers' information reliability affects food safety behavior directly and indirectly. In addition this research especially focused on analysing the differences for consumers' information reliability and safety behavior among Korea, China and America. The implications based on thes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consumers' information reliability has positive effect on food safety communication reliability but not effect on food display information. Secondly, consumers' information needs positively affect food display information confirmation only in American. Thirdly, Koean consumers' food safety behavior is even more affected by information reliability than Chinese and American. Results showed that consumers' information reliability and safety competency are very important factors of Korean society compared with Chinese and American. Therefore, government should create an atmosphere which offers consumers information rightly through restricting and monitoring the corporation. In addition, food safety education and a wide variety of activities such as publishing food consumption conduct manual should aim to develop consumers competenc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척도의 정교화 과정
      • 국문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척도의 정교화 과정
      • Ⅴ. 연구결과
      • Ⅵ.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Solomon, Michael R., "행동론" 경문사 2011

      2 정정화, "함평지역 고등학생의 식품위생 및 안전의식 조사" 조선대학교 2009

      3 최정민, "일부 식품위생안전 사건들이 고등학교 학생들의 식품표시 이용실태에 미치는 변화"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4 김성숙, "위험사회을 사는 소비자와 생활안전" 도서출판 대영문화사 2011

      5 유현정, "식품안전에 대한 소비자체감도가 식품안전지향행동에 미치는 영향의 구조모형 분석"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8 (8): 49-70, 2012

      6 송유진, "식품구매시 소비자의 지각된 위험이 안전의식과 안전추구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의 구조모형분석 - 서울과 상해소비자를 중심으로 -" 한국소비자학회 19 (19): 215-244, 2008

      7 진대일, "식품 위해에 관한 예비 교사들의 인식 조사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8 유현정, "소비자의 식품안전 체감 및 역량척도 개발 연구" 한국소비자학회 23 (23): 79-104, 2012

      9 김효정, "소비자의 식품 위해요인에 대한 인식도 및 식품 안전에 대한 정보탐색 행동"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9 (19): 116-129, 2009

      10 황정선, "소비자안전체감지수개발연구" 한국소비자원 2009

      1 Solomon, Michael R., "행동론" 경문사 2011

      2 정정화, "함평지역 고등학생의 식품위생 및 안전의식 조사" 조선대학교 2009

      3 최정민, "일부 식품위생안전 사건들이 고등학교 학생들의 식품표시 이용실태에 미치는 변화"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4 김성숙, "위험사회을 사는 소비자와 생활안전" 도서출판 대영문화사 2011

      5 유현정, "식품안전에 대한 소비자체감도가 식품안전지향행동에 미치는 영향의 구조모형 분석"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8 (8): 49-70, 2012

      6 송유진, "식품구매시 소비자의 지각된 위험이 안전의식과 안전추구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의 구조모형분석 - 서울과 상해소비자를 중심으로 -" 한국소비자학회 19 (19): 215-244, 2008

      7 진대일, "식품 위해에 관한 예비 교사들의 인식 조사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8 유현정, "소비자의 식품안전 체감 및 역량척도 개발 연구" 한국소비자학회 23 (23): 79-104, 2012

      9 김효정, "소비자의 식품 위해요인에 대한 인식도 및 식품 안전에 대한 정보탐색 행동"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9 (19): 116-129, 2009

      10 황정선, "소비자안전체감지수개발연구" 한국소비자원 2009

      11 박명희, "소비자상담" 교문사 2007

      12 아시아뉴스통신, "소비자 미국산 소고기 불신...원산지 미표시, 거짓표시 미국산 다수차지"

      13 국민일보, "미국, 광우병 위험무시국으로 격상, 쇠고기추가개방압력 현실화되나"

      14 최아영, "멀티채널 환경에서 소비자는 어떻게 정보를 탐색하는가?: 선호하는 정보원천에 따른 소비자 유형화와 관련 요인" 한국소비자학회 23 (23): 135-164, 2012

      15 박성옥, "돈과 센스-소규모 아동보육 영리사업 계획을 위한 지침서" 시그마프레스 2002

      16 경기일보, "대학생 평균 생활비 ‘적정 수준’…… 가장 지출이 많은 항목은?"

      17 김효진, "대구·경북지역 초등학생의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과 지식이 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18 손혜은, "고등학생의 식품위생 및 안전 의식과 HACCP 인지도 조사" 영남대 2007

      19 서울신문, "美광우병 여파 소고기 수입 줄어들어"

      20 Frewer, Lynn J., "What Determines Trust in Information about Food-related Risks? Underlying Psychological Constructs" 16 (16): 473-486, 1996

      21 Rossati, S., "The Perception of Risks Associated with Food-Related Hazards and the Perceived Reliability of Sources of Information" 39 (39): 491-500, 2004

      22 Siegrist, M., "Perception of Hazards: The Role of Social Trust and knowledge" 20 (20): 713-720, 2000

      23 Wang., H., "Information on Food Safety, Consumer Preference and Behavior: The Case of Seafood in the US" 33 : 293-300, 2013

      24 Kornelis, Marcel, "Consumer Selection of Food Safety Information Source" 27 (27): 327-335, 2007

      25 McCluskey, J. J., "Consumer Preferenced and WTP for Food Labeling: a Discussion of Empirical Studies" 34 (34): 95-102, 2003

      26 Rutsaert, P., "Consumer Interst in Receiving Information through Social Media about the Risks of Pesticide Residues" 34 : 386-392, 2013

      27 Lancaster, K, "A New Approach to Consumer Theory" 74 (74): 132-157, 196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9-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사)위기관리이론과실천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위기관리논집 -> Crisisonomy
      외국어명 : Korean Review of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 Crisisonomy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0.8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5 0.86 1.09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