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도시이미지에 따른 도시운영 전략 = 울산광역시 도시공간 및 이용계획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3587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각 도시마다 특성 없는 획일적인 도시개발방식이나 도시경영전략상의 문제는 그 간 많은 비판을 받아 왔다. 이는 도시정체성을 근간으로 하는 도시의 이미지를 우선하여 도시공간과 이용을 도시계획에 비추어 적절히 반영하여 왔다기보다는 획일적 도시개발 사업을 바탕으로 토지를 구획하고 기반시설을 설치하는 방식을 취해 왔다는 것이다. 아직까지 도시별 조례의 내용은 각 지방자치단체마다 크게 다를 바 없다는 것이 이를 뒷받침해 준다.
      도시이미지가 무엇인가에 따라, 그리고 그 도시이미지가 주민에 의해 뒷받침되고 지지받는 것인가에 따라 긍정적이라면 이에 따라, 부정적이라면 우선적으로 이를 제거해야 할 것이다. 도시이미지에 미치는 주요한 변수에 따라 도시공간과 이용계획을 어떻게 수립하고, 도시이미지 요소를 얼마만큼 부각시킬 수 있을 것인가는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울산광역시를 사례로 선정하여 주민과 전문가를 대상으로 도시이미지가 어떤지 조사하고 도시공간 및 이용계획을 중심으로 어떤 요소를 우선적으로 부각시켜야 하는지를 살펴보기로 한다. 이는 울산광역시에는 도시운영전략의 주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밖의 지방자치단체에게도 의미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번역하기

      각 도시마다 특성 없는 획일적인 도시개발방식이나 도시경영전략상의 문제는 그 간 많은 비판을 받아 왔다. 이는 도시정체성을 근간으로 하는 도시의 이미지를 우선하여 도시공간과 이용을...

      각 도시마다 특성 없는 획일적인 도시개발방식이나 도시경영전략상의 문제는 그 간 많은 비판을 받아 왔다. 이는 도시정체성을 근간으로 하는 도시의 이미지를 우선하여 도시공간과 이용을 도시계획에 비추어 적절히 반영하여 왔다기보다는 획일적 도시개발 사업을 바탕으로 토지를 구획하고 기반시설을 설치하는 방식을 취해 왔다는 것이다. 아직까지 도시별 조례의 내용은 각 지방자치단체마다 크게 다를 바 없다는 것이 이를 뒷받침해 준다.
      도시이미지가 무엇인가에 따라, 그리고 그 도시이미지가 주민에 의해 뒷받침되고 지지받는 것인가에 따라 긍정적이라면 이에 따라, 부정적이라면 우선적으로 이를 제거해야 할 것이다. 도시이미지에 미치는 주요한 변수에 따라 도시공간과 이용계획을 어떻게 수립하고, 도시이미지 요소를 얼마만큼 부각시킬 수 있을 것인가는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울산광역시를 사례로 선정하여 주민과 전문가를 대상으로 도시이미지가 어떤지 조사하고 도시공간 및 이용계획을 중심으로 어떤 요소를 우선적으로 부각시켜야 하는지를 살펴보기로 한다. 이는 울산광역시에는 도시운영전략의 주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밖의 지방자치단체에게도 의미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unicipal policymakers in Korea have often encountered criticisms against uncharacteristic development projects that are usually inherited from the lack of locality into urban planning process. As a matter of fact, the so-called "supply-led approach'" of urban development without considering local context such as city image tends to only meet the minimum demand of urban service provisions including roads, sewages, and parks. As a result, it is hardly to witness the distinctive city image among most Korean cities that experience rapid urbanization during the post-war growth period. In this regard, it should be emphasized that the municipal government makes intensive endeavors to improve the city image by appropriate manners throughout the whole urban planning process.
      This paper tries to identify what city images of Ulsan, a industrial capital of the robust Korean economy, are given to the citizen, with special attention to the components of urban planning. Furthermore, the case study explores effective policy considerations of municipal governance based on the empirical evidences drawn from the survey of local experts and residents in the region, The empirical evidence shown in this case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relevant policy implications to Ulsan metropolitan city as well as other municipal governments in Korea, where urban planning process.
      번역하기

      The municipal policymakers in Korea have often encountered criticisms against uncharacteristic development projects that are usually inherited from the lack of locality into urban planning process. As a matter of fact, the so-called "supply-led approa...

      The municipal policymakers in Korea have often encountered criticisms against uncharacteristic development projects that are usually inherited from the lack of locality into urban planning process. As a matter of fact, the so-called "supply-led approach'" of urban development without considering local context such as city image tends to only meet the minimum demand of urban service provisions including roads, sewages, and parks. As a result, it is hardly to witness the distinctive city image among most Korean cities that experience rapid urbanization during the post-war growth period. In this regard, it should be emphasized that the municipal government makes intensive endeavors to improve the city image by appropriate manners throughout the whole urban planning process.
      This paper tries to identify what city images of Ulsan, a industrial capital of the robust Korean economy, are given to the citizen, with special attention to the components of urban planning. Furthermore, the case study explores effective policy considerations of municipal governance based on the empirical evidences drawn from the survey of local experts and residents in the region, The empirical evidence shown in this case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relevant policy implications to Ulsan metropolitan city as well as other municipal governments in Korea, where urban planning proces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요약
      • Ⅰ. 서론
      • Ⅱ. 도시이미지ㆍ도시공간 및 이용, 도시계획에 관한 논의
      • Ⅲ. 조사분석 및 해석
      • Ⅳ. 도시이미지에 따른 도시운영 전략
      • 논문요약
      • Ⅰ. 서론
      • Ⅱ. 도시이미지ㆍ도시공간 및 이용, 도시계획에 관한 논의
      • Ⅲ. 조사분석 및 해석
      • Ⅳ. 도시이미지에 따른 도시운영 전략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