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 장애인에 있어서 질병과 사회부적응은 가정과 지역사회에서 시작된 것이기 때문에 문제해결의 목표는 자신의 건강과 능력이 회복되어 지역사회에서 가족, 이웃과 함께 살아가게 하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정신 장애인에 있어서 질병과 사회부적응은 가정과 지역사회에서 시작된 것이기 때문에 문제해결의 목표는 자신의 건강과 능력이 회복되어 지역사회에서 가족, 이웃과 함께 살아가게 하는...
정신 장애인에 있어서 질병과 사회부적응은 가정과 지역사회에서 시작된 것이기 때문에 문제해결의 목표는 자신의 건강과 능력이 회복되어 지역사회에서 가족, 이웃과 함께 살아가게 하는데 있다. 따라서 이러한 목표달성의 과정에는 다음과 같은 국민과 국가, 환자와 그 가족, 의료기관과 전문인력의 한결같은 마음과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다.
1. 정신장애인의 치료는 의료적, 질병 모형의 접근만으로는 심리적, 사회적 역기능과 부적응을 이해 할 수 없고, 사회적응의 향상을 기대할 수 없기 때문에 약물적, 의료적 기본처치와 사회치료가 병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정신장애인의 병원치료에 서도 환경치료와 치료 공동체 운영을 통한 사회적응훈련과 사회기술훈련이 병행되어야 하고, 회복기와 퇴원환자에게는 보다 적극적인 사회치료가 이루어져야 한다.
2. 퇴원환자나 부적응자들의 사회복귀나 사회적응을 위한 사회복귀시설과 정신건강센터가 설치·운영되어 지역사회 내에서 다양한 정신보건서비스를 받을 수 있어야 한다.
3. 환자와 그 가족은 정신질환의 깊은 이해와 사회적 기능의 결함을 이해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배우고 훈련받는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
4. 지역사회주민의 편견 없는 환자에 대한 태도와 정신건강에 올바른 의식을 가질 수 있는 교육과 홍보가 필요하다. 즉. 정신질환과 환자의 사회복귀에 대해 적극적으로 배우고 훈련받는 기회가 제공되어야 한다.
따라서 정신장애인의 대한 사회복귀는 정부의 전반적인 정신보건계획과 함께 지역사회치료에 대한 실천지식과 기술개발 그리고 정책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지방화시대의 지방 박물관 설립의 당위성과 전망에 관한 연구
전자제어엔진의 점화조건 변화에 따른 정비성 향상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