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보리의 품종 및 도정률이 막걸리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176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보리의 품종 및 도정률이 막걸리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과 대조구인 기존 쌀 막걸리와 보리 막걸리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건조주박량은 새쌀보리 그룹인 Ss-4, Ss-12, S...

      본 연구에서는 보리의 품종 및 도정률이 막걸리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과 대조구인 기존 쌀 막걸리와 보리 막걸리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건조주박량은 새쌀보리 그룹인 Ss-4, Ss-12, Ss-18이 92.3 g, 69.4 g, 63.8 g을 나타냈고, 흰찰쌀보리 그룹인 Hcs-6, Hcs-14, Hcs-20은 62.3 g, 42.2 g, 32.2 g을 나타내 도정률과 품종 간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냈으며(P<0.05), 주박함수율은 도정률 증가에 비례하였다. 한편 Ss-8, Sdj-8의 주박량은 19.0 g, 7.7 g으로 쌀과 보리 원료에 따른 큰 차이를 나타냈다. 원료 도정률 증가에 따라 탄수화물은 증가, 그 외 성분은 감소하였고, 그중 회분은 막걸리에 직접적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pH, 총산 함량, 아미노산도는 도정률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는데, 이는 도정 정도를 달리하는 원료 특성에 따라 생성되는 유기산과 함유된 영양성분의 차이에 기인할 것으로 보인다. 보리도정률에 따른 막걸리의 가용성 고형분 함량과 알코올 함량은 도정률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품종 간 차이를 보였고 보리 막걸리는 10.7~11.8°Brix, 14.07~15.07%로 쌀 막걸리 12.0~12.2°Brix, 17.27~17.77%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도정에 따른 원료곡의 색차이는 막걸리의 색도에도 영향을 주어 도정률 증가에 따라 L값과 b값이 증가하였다. 발효와 관련한 유산균수는 Ss-4, Ss-12, Ss-18이 7.21, 6.99, 6.67 log CFU/mL였고, Hcs-6, Hcs-14, Hcs-20은 6.14, 5.39, 5.65 log CFU/mL로 도정률 증가에 따른 유의적 감소를 나타냈다(P<0.05). 이러한 결과는 효모에서도 같은 경향을 보였고, 특히 막걸리의 주요 품질로 현탁안정성이 도정률에 따른 차이를 보여 도정률 조정으로 현탁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cultivar and milling degree of barley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as well as compare differences between barley Makgeolli and rice Makgeolli. Saessal-bori groups (Ss-4, Ss-12, and S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cultivar and milling degree of barley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as well as compare differences between barley Makgeolli and rice Makgeolli. Saessal-bori groups (Ss-4, Ss-12, and Ss-18) showed dry lees contents of 92.3 g, 69.4 g, and 63.8 g, respectively, whereas Huinchalssal-bori groups (Hcs-6, Hcs-14, and Hcs-20) showed contents of 62.3 g, 42.2 g, and 32.2 g.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between milling degrees and cultivars (P<0.05). The moisture, ash, crude protein, and crude fat contents of raw materials decreased with elevated milling degree. Especially, ash content of raw materials had a direct effect on Makgeolli. The pH, total acidity, and amino acidity milling with elevated decreased degree.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otal sugar or alcohol content in Makgeolli according to milling degree of barley, wherea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ultivars. Barley Makgeolli showed total sugar and alcohol contents of 10.7∼11.8°Brix and 14.07∼15.07%, respectively, which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12.0∼12.2°Brix and 17.27∼17.77% in rice Makgeolli (P<0.05). Differences in colors of raw barley according to milling degree had effects on chromaticity of Makgeolli; as milling degree increased, L and b values increased. Lactic acid bacteria counts were 7.21, 6.99, and 6.67 log CFU/mL in Ss-4, Ss-12, and Ss-18, respectively, as well as 6.14, 5.39, and 5.65 log CFU/mL in Hcs-6, Hcs-14, and Hcs-20, which suggests significant reductions with increased milling degree (P<0.05). The same trend was observed in yeast as a key quality of Makgeolli. Suspension stability differed depending on milling degree, so it is expected that suspension stability can be improved by adjusting milling degre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옥선, "흑미 첨가 막걸리의 항산화 및 발효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1 (41): 1693-1700, 2012

      2 이수민, "한방 발효주 주박 추출물의 미백 및 피부 주름 개선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3 (43): 1695-1700, 2014

      3 김성란, "품종 및 도정도별 백미와 미강의 특성 및 페놀산 함량" 한국식품과학회 36 (36): 930-936, 2004

      4 김계원, "포도 첨가 막걸리의 양조 특성" 한국산업식품공학회 16 (16): 263-269, 2012

      5 진영, "팥을 첨가한 막걸리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9 (29): 777-784, 2013

      6 김순미, "탁주 주박의 섭취가 스트렙토조토신으로 당뇨를 유발시킨 흰쥐의 혈당수준에 미치는 효과"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1 (21): 638-643, 2006

      7 이하나, "크랜베리를 첨가한 막걸리의 품질 특성"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3 (23): 85-91, 2013

      8 백새열림, "칼슘 나노분말과 마이크로 분말의 이화학적 특성 비교" 한국산업식품공학회 16 (16): 134-138, 2012

      9 임채윤, "첨가하는 감의 가공형태에 따른 감막걸리 품질특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9 (19): 159-166, 2012

      10 왕명현, "찹쌀 벼 도정도가 진양주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과학회 39 (39): 546-551, 2007

      1 김옥선, "흑미 첨가 막걸리의 항산화 및 발효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1 (41): 1693-1700, 2012

      2 이수민, "한방 발효주 주박 추출물의 미백 및 피부 주름 개선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3 (43): 1695-1700, 2014

      3 김성란, "품종 및 도정도별 백미와 미강의 특성 및 페놀산 함량" 한국식품과학회 36 (36): 930-936, 2004

      4 김계원, "포도 첨가 막걸리의 양조 특성" 한국산업식품공학회 16 (16): 263-269, 2012

      5 진영, "팥을 첨가한 막걸리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9 (29): 777-784, 2013

      6 김순미, "탁주 주박의 섭취가 스트렙토조토신으로 당뇨를 유발시킨 흰쥐의 혈당수준에 미치는 효과"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1 (21): 638-643, 2006

      7 이하나, "크랜베리를 첨가한 막걸리의 품질 특성"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3 (23): 85-91, 2013

      8 백새열림, "칼슘 나노분말과 마이크로 분말의 이화학적 특성 비교" 한국산업식품공학회 16 (16): 134-138, 2012

      9 임채윤, "첨가하는 감의 가공형태에 따른 감막걸리 품질특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9 (19): 159-166, 2012

      10 왕명현, "찹쌀 벼 도정도가 진양주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과학회 39 (39): 546-551, 2007

      11 권상철, "주박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와 Tyrosinase, Xanthine Oxidase, ACE 저해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1 (41): 1191-1196, 2012

      12 김미선, "전통주 주박의 항혈전 활성 평가" 한국생명과학회 24 (24): 865-872, 2014

      13 이호성, "전분질 원료를 달리한 입국 막걸리의 품질 특성" 한국산업식품공학회 18 (18): 215-221, 2014

      14 오세관, "양조전용 설갱벼로 제조한 전통주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0 (40): 1189-1194, 2011

      15 이슬애, "아로니아 막걸리의 안토시아닌 안정성" 한국산업식품공학회 18 (18): 374-381, 2014

      16 이윤지, "쌀의 품종, 쌀의 도정도, 누룩에 따른 막걸리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1 (41): 1785-1791, 2012

      17 우관식, "수수 첨가량 및 누룩을 달리한 발효주의 이화학적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548-553, 2010

      18 김봉희, "석류즙 농축액을 첨가하여 제조한 막걸리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 한국식품과학회 44 (44): 417-421, 2012

      19 전미향, "블루베리 첨가 막걸리의 발효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0 (40): 444-449, 2011

      20 백창호, "발효조건을 달리하여 제조한 현미 막걸리의 품질특성"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41 (41): 168-175, 2013

      21 서고운, "막걸리 부산물의 미용 소재로서의 기능성 분석"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2 (42): 505-511, 2013

      22 김혜련, "도정도에 따른 찹쌀발효주의 이화학적 특성 및 휘발성 향기성분" 한국식품과학회 42 (42): 75-81, 2010

      23 천아름, "도정도에 따른 소곡주의 품질 및 기호도 변이"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1 (41): 136-142, 2012

      24 천지은, "다양한 고구마를 이용하여 제조한 막걸리의 최적화" 한국식품영양학회 26 (26): 29-34, 2013

      25 우관식, "누룩 및 조 첨가량에 따른 전통발효주의 이화학적 특성" 한국식품과학회 42 (42): 298-303, 2010

      26 Ryu IS, "Textbook of Korea traditional alcoholic drink" Gyomunsa 140-153, 2014

      27 So MH, "Takju brewing by combined use of Rhizopus japonicus-nuruk and Aspergillus oryzae-nuruk" 25 : 157-162, 1996

      28 Kim KA,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hydration of rice on various polishing degrees" 28 : 959-964, 1996

      29 Seog HM, "Physic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barley" 3 : 302-305, 2010

      30 Parsons SA, "Magnetically augmented water treatment" 75 : 98-104, 1997

      31 So MH,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Takju by a modified Nuruk" 12 : 427-432, 1999

      32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Handbook on the food code"

      33 NTS Liquors Licence Aid Center, "Coursebook on the preparation of Takju and Yakju"

      34 Song JC, "Change of Takju qualities by addition of cyclodextrin during the brewing and aging" 29 : 895-900, 1997

      35 Batchelor GK, "An introduction to fluid dynam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33-, 196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4-06-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영문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4-04-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영문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2 1.99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