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조연순, "한국초등교육의 기원" 학지사 1995
2 최미선, "한국소년소설과 근대주체 ‘소년’" 소명출판 2015
3 김정의, "한국 현대소년운동의 기점과 이념" 역사실학회 10 (10): 1999
4 손증상, "전시체제기 아동극에서의 일상과 함세덕의 아동극" 한국극예술학회 (66) : 131-161, 2019
5 박용규, "일제시대 한글운동에서의 신명균의 위상" 민족문학사연구소 (38) : 365-394, 2008
6 박태일, "이주홍의 초기 아동문학과 ?신소년?" 현대문학이론학회 (18) : 6-173, 2002
7 브루노 베텔하임, "옛이야기의 매력 1. 2" 시공주니어 1998
8 김지연, "어린이와 신소년의 1920년대 ‘독자문단(讀者文壇)’ 연구 -동요(童謠)를 중심으로-" 사단법인 방정환연구소 5 (5): 23-53, 2023
9 김태호, "어린이와 신소년 창간 초기 서사에 나타난 근대적 내면 연구" 사단법인 방정환연구소 5 (5): 1-21, 2023
10 이재철, "아동문학의 이론" 형설출판사 1983
1 조연순, "한국초등교육의 기원" 학지사 1995
2 최미선, "한국소년소설과 근대주체 ‘소년’" 소명출판 2015
3 김정의, "한국 현대소년운동의 기점과 이념" 역사실학회 10 (10): 1999
4 손증상, "전시체제기 아동극에서의 일상과 함세덕의 아동극" 한국극예술학회 (66) : 131-161, 2019
5 박용규, "일제시대 한글운동에서의 신명균의 위상" 민족문학사연구소 (38) : 365-394, 2008
6 박태일, "이주홍의 초기 아동문학과 ?신소년?" 현대문학이론학회 (18) : 6-173, 2002
7 브루노 베텔하임, "옛이야기의 매력 1. 2" 시공주니어 1998
8 김지연, "어린이와 신소년의 1920년대 ‘독자문단(讀者文壇)’ 연구 -동요(童謠)를 중심으로-" 사단법인 방정환연구소 5 (5): 23-53, 2023
9 김태호, "어린이와 신소년 창간 초기 서사에 나타난 근대적 내면 연구" 사단법인 방정환연구소 5 (5): 1-21, 2023
10 이재철, "아동문학의 이론" 형설출판사 1983
11 "신소년 창간호"
12 최배은, "신명균의 글쓰기와 국문의 현대화 - 한글 표기와 문체를 중심으로-" 우리말글학회 81 : 81-108, 2019
13 "소년"
14 최기영, "백수 정열모의 생애와 어문민족주의" 한국근현대사학회 25 : 2003
15 장만호, "민족주의 아동잡지 「신소년」 연구 - 동심주의와 계급주의의 경계를 넘어서 -" 한국학연구소 (43) : 209-228, 2012
16 "대한매일신보"
17 "開闢"
18 "少年韓半島"
19 최미선, "『신소년』의 서사 특성과 작가의 경향 분석" 한국아동문학학회 (27) : 189-264, 2014
20 류덕제, "『신소년』의 발간 배경 연구"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31) : 319-358, 2022
21 원종찬, "『신소년』과 조선어학회"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15) : 107-140, 2014
22 박정선, "[신소년] 독자담화실의 특성과 기능" 한국어문학회 (128) : 247-275, 2015
23 진선희, "1930년대 『신소년』 수록 동시 연구 - 수록 현황 및 목소리 유형별 특징을 중심으로 -"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7) : 135-190, 2020
24 최미선, "1920년대 『新少年』의 아동 서사문학 연구" 한국아동문학학회 (23) : 105-138, 2012
25 정진헌, "1920년대 ≪신소년≫ 소년시少年詩 연구" 한국아동문학학회 (28) : 175-202,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