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BCG 림프절염의 초음파 소견 = Ultrasonographic Features of BCG Lymphadenit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323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o evaluate the ultrasonographic findings of BCG lymphadenitis complicated by BCG vaccination in children.
      Materials and Methods: Ultrasonography was performed for 22 cases of BCG lymphadenitis in 21 patients who were diagnosed by clinical (n=10) or pathological (n=11) examinations. Their age ranged from 4 months to 3 years (mean age; 14 month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ultrasonographic findings for location, multiplicity, size, shape, margin, echogenecity, posterior enhancement, calcifications, inner anechoic portion and Doppler pattern of the BCG lymphadenitis.
      Results: The BCG lymphadenitis was found at the axillary area in 15 cases (68%) and at the supraclavicular area in 7 cases (32%). There were ten cases (45%) of solitary lesion and 12 cases (55%) of multiple conglomerated lesions. The maximum diameter ranged from about 0.9 cm to 3.2 cm. The BCG lymphadenitis showed as round (82%), well defined (86%), or heterogeneous hypoechoic (68%) lesions with posterior enhancement (78%). Calcifications were found in 6 cases (27%) and 5 cases (83%) had been vaccinated more than 5 months ago. There were eccentric inner anechoic portions in 16 cases (73%), which were pathologically confirmed as having caseating necrosis. There were increased Doppler flow patterns in 15 cases (68%); 4 cases (18%) were of the central type, 6 cases (27%) were of the peripheral type and 5 cases (23%) were of mixed type.
      Conclusion: BCG lymphadenitis is frequently located at the axillary area adjacent to a vaccination site. The ultrasonographic findings of BCG lymphadenitis are well-defined, round, heterogeneously hypoechoic lesions with posterior enhancement, calcifications and inner eccentric anechoic portion.
      번역하기

      Purpose: To evaluate the ultrasonographic findings of BCG lymphadenitis complicated by BCG vaccination in children. Materials and Methods: Ultrasonography was performed for 22 cases of BCG lymphadenitis in 21 patients who were diagnosed by clinical (n...

      Purpose: To evaluate the ultrasonographic findings of BCG lymphadenitis complicated by BCG vaccination in children.
      Materials and Methods: Ultrasonography was performed for 22 cases of BCG lymphadenitis in 21 patients who were diagnosed by clinical (n=10) or pathological (n=11) examinations. Their age ranged from 4 months to 3 years (mean age; 14 month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ultrasonographic findings for location, multiplicity, size, shape, margin, echogenecity, posterior enhancement, calcifications, inner anechoic portion and Doppler pattern of the BCG lymphadenitis.
      Results: The BCG lymphadenitis was found at the axillary area in 15 cases (68%) and at the supraclavicular area in 7 cases (32%). There were ten cases (45%) of solitary lesion and 12 cases (55%) of multiple conglomerated lesions. The maximum diameter ranged from about 0.9 cm to 3.2 cm. The BCG lymphadenitis showed as round (82%), well defined (86%), or heterogeneous hypoechoic (68%) lesions with posterior enhancement (78%). Calcifications were found in 6 cases (27%) and 5 cases (83%) had been vaccinated more than 5 months ago. There were eccentric inner anechoic portions in 16 cases (73%), which were pathologically confirmed as having caseating necrosis. There were increased Doppler flow patterns in 15 cases (68%); 4 cases (18%) were of the central type, 6 cases (27%) were of the peripheral type and 5 cases (23%) were of mixed type.
      Conclusion: BCG lymphadenitis is frequently located at the axillary area adjacent to a vaccination site. The ultrasonographic findings of BCG lymphadenitis are well-defined, round, heterogeneously hypoechoic lesions with posterior enhancement, calcifications and inner eccentric anechoic por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BCG 접종을 받은 환아에서 합병된 BCG 림프절염의 초음파 소견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BCG 림프절염으로 진단된 환아 중 초음파를 시행한 21명 환아의 22병변을 대상으로 하였고 이 중10명은 임상적으로, 11명은 수술적 절제에 의해 병리학적으로 확진 되었다. 1명의 환아는 액와부와 쇄골상부 2병소에 병변이 있었다. 연령은 4개월에서 3세로 평균 14개월이었다. 초음파 소견에서 BCG 림프절염의 위치, 수, 크기, 모양, 경계, 에코, 후방 음향 증강, 석회화, 내부의 무에코성 병변, 그리고 색 도플러 소견을 분석하였다.
      결과: 액와부의 병변이 15예(68%), 쇄골상부병변은 7예(32%)에서 있었고, 이 중 단일병변만 있었던 경우가 10예(45%), 다발성 병변은 12예(55%)였다. 최대직경은 0.9 cm부터 3.2 cm까지 였다. BCG 림프절염의 초음파 소견은 원형(82%)의 경계가 명확한(86%) 비균질한 저에코성 병변(68%)으로, 후방음향 증강을 동반하는 소견을 보였다. 림프절 내부의 무에코성 병변이 16예(73%)에서 동반되었다. 병리학적 검사를 시행한 6예 중 5예에서 무에코성 병변이 있었으며 이 중 3예는 건락괴사로, 2예는 농양으로 확인되었다. 림프절 내부의 석회화는 6예(27%)에서 보였고, 이 중 BCG 접종 후 5개월 이상 경과된 경우가 5예(83%)였다. 색 도플러에서 신호 증가를 보인 경우는 15예(68%)였고 이 중 4예(18%)는 중심부, 6예(27%)는 주변부에서, 5예(23%)는 중심부와 주변부 모두에서 보였다.
      결론: BCG 림프절염은 접종부위에 인접한 액와부에 호발하였고, 초음파 소견은 경계가 명확한 원형의 비균질적인 저에코성의 림프절 종대로 후방음향 증강, 석회화, 무에코성 괴사부위등을 동반할 수 있다.
      번역하기

      목적: BCG 접종을 받은 환아에서 합병된 BCG 림프절염의 초음파 소견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BCG 림프절염으로 진단된 환아 중 초음파를 시행한 21명 환아의 22병변을 대상으로 하였...

      목적: BCG 접종을 받은 환아에서 합병된 BCG 림프절염의 초음파 소견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BCG 림프절염으로 진단된 환아 중 초음파를 시행한 21명 환아의 22병변을 대상으로 하였고 이 중10명은 임상적으로, 11명은 수술적 절제에 의해 병리학적으로 확진 되었다. 1명의 환아는 액와부와 쇄골상부 2병소에 병변이 있었다. 연령은 4개월에서 3세로 평균 14개월이었다. 초음파 소견에서 BCG 림프절염의 위치, 수, 크기, 모양, 경계, 에코, 후방 음향 증강, 석회화, 내부의 무에코성 병변, 그리고 색 도플러 소견을 분석하였다.
      결과: 액와부의 병변이 15예(68%), 쇄골상부병변은 7예(32%)에서 있었고, 이 중 단일병변만 있었던 경우가 10예(45%), 다발성 병변은 12예(55%)였다. 최대직경은 0.9 cm부터 3.2 cm까지 였다. BCG 림프절염의 초음파 소견은 원형(82%)의 경계가 명확한(86%) 비균질한 저에코성 병변(68%)으로, 후방음향 증강을 동반하는 소견을 보였다. 림프절 내부의 무에코성 병변이 16예(73%)에서 동반되었다. 병리학적 검사를 시행한 6예 중 5예에서 무에코성 병변이 있었으며 이 중 3예는 건락괴사로, 2예는 농양으로 확인되었다. 림프절 내부의 석회화는 6예(27%)에서 보였고, 이 중 BCG 접종 후 5개월 이상 경과된 경우가 5예(83%)였다. 색 도플러에서 신호 증가를 보인 경우는 15예(68%)였고 이 중 4예(18%)는 중심부, 6예(27%)는 주변부에서, 5예(23%)는 중심부와 주변부 모두에서 보였다.
      결론: BCG 림프절염은 접종부위에 인접한 액와부에 호발하였고, 초음파 소견은 경계가 명확한 원형의 비균질적인 저에코성의 림프절 종대로 후방음향 증강, 석회화, 무에코성 괴사부위등을 동반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예방 지침서" 정문 문화사1991 26-32,

      2 윤춘식, "영유아에서Bacille Calmette-Guerin(BCG)접종후 발생한 결핵성 림프절" 18 : 319-323, 1999

      3 "비시지 예방 접종 반응과 조치 방법" 650 : 40-818, 1995

      4 이호승, "경부림프절염의 초음파진단" 20 : 213-219, 2001

      5 "WHO expanded programme on immunization" 14-15, who/epi/gen/rev1986

      6 Goraya JS, "Virdi VS.Bacille Calmette-Guerin lymphadenitis" 78 : 327-329, 2002

      7 Wu CH, "Usefulness of Doppler spectral analysis and power Doppler sonography in the differentiation of cervical lymphadenopathies" 171 : 503-509, 1998

      8 Clemens JD, "The BCG controversy.Amethodological and statistical reappraisal" 249 : 2362-2369, 1983

      9 Hengster P, "Surgical treatment ofbacillus Calmette Guerin lymphadenitis" 21 : 520-523, 1997

      10 Hengster P, "Surgical treatment ofBacillus Calmette-Guerin lymphadenitis" 21 : 520-523, 1997

      1 "예방 지침서" 정문 문화사1991 26-32,

      2 윤춘식, "영유아에서Bacille Calmette-Guerin(BCG)접종후 발생한 결핵성 림프절" 18 : 319-323, 1999

      3 "비시지 예방 접종 반응과 조치 방법" 650 : 40-818, 1995

      4 이호승, "경부림프절염의 초음파진단" 20 : 213-219, 2001

      5 "WHO expanded programme on immunization" 14-15, who/epi/gen/rev1986

      6 Goraya JS, "Virdi VS.Bacille Calmette-Guerin lymphadenitis" 78 : 327-329, 2002

      7 Wu CH, "Usefulness of Doppler spectral analysis and power Doppler sonography in the differentiation of cervical lymphadenopathies" 171 : 503-509, 1998

      8 Clemens JD, "The BCG controversy.Amethodological and statistical reappraisal" 249 : 2362-2369, 1983

      9 Hengster P, "Surgical treatment ofbacillus Calmette Guerin lymphadenitis" 21 : 520-523, 1997

      10 Hengster P, "Surgical treatment ofBacillus Calmette-Guerin lymphadenitis" 21 : 520-523, 1997

      11 Banani SA, "Needle aspiration for suppurative post-BCGadenitis" 71 : 446-447, 1994

      12 Caglayan S, "Managementof suppuration in regional lymph nodes secondary to BCG vaccina-tion" 33 : 699-702, Jpn1991

      13 Tschammler A, "Lymphadenopathy:differentiation of benign from malig-nant disease--color Doppler US assessment of intranodal angioar-chitecture" 208 : 117-123, 1998

      14 Ustvedt HJ, "Local reactions in BCG vaccination" 2 : 441-468, 1950

      15 Hsing CT, "Local complications of BCG vaccination in pre-schoolchildren and new-born babies" 11 : 1023-1029, 1954

      16 Yegin O, "Ismedical therapy effective for regional lymphadenitis followingBCG vaccination" 1213-1214, amjdischild1987

      17 Papakonstantinou O, "High-resolution and color Doppler ultrasonog-raphy of cervical lymphadenopathy in children" 42 : 470-476, 2001

      18 Noah PK, "Evaluation of oral ery-thromycin and local isoniazid instillation therapy in infants withBacillus Calmette-Guerin lymphadenitis and abscesses" 12 : 136-139, J1993

      19 Lotte A, "Estimates of the risks among vaccinated subjects andstatistical analysis of their main characteristics" 21 : 107-193, Res1984

      20 Na DG, "Differentialdiagnosis of cervical lymphadenopathy:usefulness of colorDoppler sonography" 168 : 1311-1316, 1997

      21 Gupta K, "Cytomorphologic patterns in Calmette Guerin bacillus lym-phadenitis" 41 : 348-350, 1997

      22 Kuyucu N, "Comparison of oral ery-thromycin,local administration of streptomycin and placebo ther-apy for nonsuppurative Bacillus Calmette-Guerin lymphadenitis" 17 : 524-525, 1998

      23 Jakubikova I, "Child’s tuberculosis lymphadenitis with fistula evoked by theBCG stem" 37 : 85-90, 1996

      24 Steinkamp HJ, "Cervical lymphadenopathy:ratio of long- to short-axis diameter asa predictor of malignancy" 68 : 266-270, 1995

      25 Victoria MS, "Bacillus Calmette-Guerin lymphadenitis:acase report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4 : 295-296, 1985

      26 김동주, "BCG 합병증에 대한 고찰" 11 : 11-13, 1967

      27 김미정, "BCG 접종에 의한 화농성림프절염.Rifampicin 국소 주위 요법" 45 : 454-458, 2002

      28 김경효, "BCG 접종시기에 따른 결핵 반응 양전율 및합병증의 비교" 30 : 487-490, 198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11-2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Radiological Society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JKSR) KCI등재
      2016-11-15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Radiological Society ->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9-1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방사선의학회지 -> 대한영상의학회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 0.1 0.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06 0.05 0.258 0.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