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수도권 지역 도시대기측정소 PM<sub>2.5</sub>, PM<sub>10</sub>, O<sub>3</sub> 농도의 지리적 분포 특성 =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PM<sub>2.5</sub>, PM<sub>10</sub> and O<sub>3</sub> Concentrations Measured at the Air Quality Monitoring System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 지역의 대기오염물질(PM<sub>2.5</sub>, PM<sub>10</sub>, O<sub>3</sub>) 농도와 지형 고도, 건물 면적비, 인구 밀도의 상관성을 조사하였다. 지형 고도와...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 지역의 대기오염물질(PM<sub>2.5</sub>, PM<sub>10</sub>, O<sub>3</sub>) 농도와 지형 고도, 건물 면적비, 인구 밀도의 상관성을 조사하였다. 지형 고도와 건물 면적비를 분석하기 위해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수치지형도를 이용하였고, 건물 면적비를 계산하기 위해 수도권 지역을 TM 중부원점을 기준으로 수평 9 km × 9 km 격자로 구분하였다. 인구 밀도는 국가통계포털의 행정구역별 면적과 인구수 자료를 이용하였다. 대기오염물질농도 자료는 수도권에 위치한 도시대기측정소 146개 지점의 PM<sub>2.5</sub>, PM<sub>10</sub>, O<sub>3</sub> 농도 측정 자료를 이용하였다. 분석 기간은 2010년 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이고, 1시간 평균 농도 자료를 이용하여 월평균 농도를 계산하였다. 지형 고도는 경기도 북부와 동부 지역에서 높았고 서해안에 근접할수록 낮았다. 건물 면적비와 인구밀도 분포는 서로 유사하였고, 서울특별시에서 가장 높았으며, 산악과 해안지역에서는 낮게 나타났다. 월평균 PM<sub>2.5</sub>과 PM<sub>10</sub> 농도는 봄철과 겨울철(1월~3월)에 높았고 O<sub>3</sub> 농도는 늦봄부터 초여름(4~6월)까지 높았다. 농도가 높은 3개월에 대해서 AMQS 지점별 평균 농도를 비교·분석하였다. 건물면적비나 인구밀도와 대기오염물질 농도 사이에는 음의 상관 관계가 분석되었다(인구밀도와 PM<sub>2.5</sub>, PM<sub>10</sub> 농도 사이는 약한 음의 상관관계가, O<sub>3</sub> 농도와는 비교적 강한 음의 상관관계). 반면, 대기오염물질 농도와 도시대기측정소 측정 고도 사이의 뚜렷한 상관성을 나타나지 않았는데, 향후, 이에 대한 연구 수행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air quality (PM<sub>2.5</sub>, PM<sub>10</sub>, O<sub>3</sub>) concentrations and local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terrain heights, building area ratio...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air quality (PM<sub>2.5</sub>, PM<sub>10</sub>, O<sub>3</sub>) concentrations and local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terrain heights, building area ratios, population density in 9 km × 9 km gridded subarea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o analyze the terrain heights and building area ratios, we used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data provided by the NGII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Also, we used the administrative districts and population provided by KOSIS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to estimate population densities. We analyzed the PM<sub>2.5</sub>, PM<sub>10</sub>, and O<sub>3</sub> concentrations measured at the 146 AQMSs (air quality monitoring system) with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e analysis period is from January 2010 to December 2020, and the monthly concentrations were calculated by averaging the hourly concentrations. The terrain is high in the northern and eastern parts of Gyeonggi-do and low near the west coastline. The distributions of building area ratios and population densities were similar to each other. During the analysis period, the monthly PM<sub>2.5</sub> and PM<sub>10</sub> concentrations at 146 AQMSs were high from January to March. The O<sub>3</sub> concentrations were high from April to June. The population densitie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PM<sub>2.5</sub>, PM<sub>10</sub>, and O<sub>3</sub> concentrations (weakly with PM<sub>2.5</sub> and PM<sub>10</sub> but strongly with O<sub>3</sub>). On the other hand, the AQMS heights showe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pollutant concentrations, implying that further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rrain heights and pollutant concentrations should be accompanied.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