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데노바이러스는 다양한 급성호흡기감염증을 유발하며, 대부분 영유아나 어린이, 면역기능이 저하된 환자에게서 주로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9년부터 2011년까지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548000
이현경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 이명진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 문수경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바이러스팀) ; 김운호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바이러스팀) ; 조한길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바이러스팀) ; 윤미혜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바이러스팀) ; 이정복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바이러스팀) ; 정향민 (질병관리본부 호흡기바이러스과) ; Lee, Hyun-Kyung ; Lee, Myung-Jin ; Mun, Su-Kyoung ; Kim, Woon-Ho ; Cho, Han-Gil ; Yoon, Mi-Hye ; Lee, Jong-Bok ; Cheong, Hyang-Min
2012
Korean
SCOPUS,KCI등재
학술저널
175-179(5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아데노바이러스는 다양한 급성호흡기감염증을 유발하며, 대부분 영유아나 어린이, 면역기능이 저하된 환자에게서 주로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9년부터 2011년까지 ...
아데노바이러스는 다양한 급성호흡기감염증을 유발하며, 대부분 영유아나 어린이, 면역기능이 저하된 환자에게서 주로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9년부터 2011년까지 경기지역 소아청소년과 및 내과에 내원한 급성호흡기 감염증 의심환자를 대상으로 호흡기아데노바이러스의 유행양상 및 혈청형 분포양상을 분석하였다. 총 1,622명의 급성상기도 감염증이 의심되는 환자의 검체를 분석한 결과 102건(6.3%)에서 아데노바이러스를 검출하였다. 102건의 아데노바이러스 양성 검체에서 세포배양법으로 76주의 아데노바이러스를 분리하였고, 혈청형별 특이유전자인 헥손 유전자의 염기서열 분석을 통하여 혈청형을 확인하였다. 최근 3년간 경기도내에서 아데노바이러스 1형부터 6형까지 6개의 다른 혈청형이 분리되었고, 이 중 3형(n=40, 52.6%)이 가장 주류를 이루었다. 2009년에는 1형과 3형, 2010년에는 3형, 2011년에는 5형이 각각 우점하였다. 1, 2, 4, 5, 6형은 연중 산발적으로 확인되었으나, 3형은 산발적으로 발생하면서 2010년에는 큰 유행을 일으킨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최근 3년동안 경기도내 아데노바이러스에 의한 outbreak의 주 원인 혈청형은 아데노바이러스 3형임을 알 수 있었고, 앞으로도 outbreak의 원인이 되는 특정 혈청형에 대한 지속적인 감시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Reference)
1 Seo, J.J, Chosun University 2008
2 박기원, "하기도 감염 환아에서 분리된 Adenovirus 1, 2, 5 혈청형의 유전체형 분석" 한국소아감염병학회 12 (12): 166-177, 2005
3 신선희, "소아의 아데노바이러스 하기도 감염증 : 혈청형 및 임상상" 한국소아감염병학회 9 (9): 182-192, 2002
4 Jones, M.S.II, "New adenovirus species found in patient presenting with gastroenteritis" 81 : 5978-5984, 2007
5 Wadell, G, "Molecular epidemiology of human adenoviruses" 110 : 191-220, 1984
6 Hong, J.Y., "Low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due to adenovirus in hospitalized Korean children: epidemiology, clinical features, and prognosis" 32 : 1423-1429, 2001
7 Kang, S.J., "Laboratory diagnosis of infectious diseases"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913-920, 2005
8 Walsh, M.P., "Evidence of molecular evolution driven by recombination events influencing tropism in a novel human adenovirus that causes epidemic keratoconjunctivitis" 4 : 1-14, 2009
9 Chung, Y.S., "Establishment of the molecular and serological diagnosis of the respiratory adenoviruses" 39 : 70-92, 2002
10 Jiang, R., "Epidemiological study on the outbreak of respiratory infection due to adenovirus" 21 : 925-927, 2005
1 Seo, J.J, Chosun University 2008
2 박기원, "하기도 감염 환아에서 분리된 Adenovirus 1, 2, 5 혈청형의 유전체형 분석" 한국소아감염병학회 12 (12): 166-177, 2005
3 신선희, "소아의 아데노바이러스 하기도 감염증 : 혈청형 및 임상상" 한국소아감염병학회 9 (9): 182-192, 2002
4 Jones, M.S.II, "New adenovirus species found in patient presenting with gastroenteritis" 81 : 5978-5984, 2007
5 Wadell, G, "Molecular epidemiology of human adenoviruses" 110 : 191-220, 1984
6 Hong, J.Y., "Low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due to adenovirus in hospitalized Korean children: epidemiology, clinical features, and prognosis" 32 : 1423-1429, 2001
7 Kang, S.J., "Laboratory diagnosis of infectious diseases"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913-920, 2005
8 Walsh, M.P., "Evidence of molecular evolution driven by recombination events influencing tropism in a novel human adenovirus that causes epidemic keratoconjunctivitis" 4 : 1-14, 2009
9 Chung, Y.S., "Establishment of the molecular and serological diagnosis of the respiratory adenoviruses" 39 : 70-92, 2002
10 Jiang, R., "Epidemiological study on the outbreak of respiratory infection due to adenovirus" 21 : 925-927, 2005
11 Lebeck, M.G., "Emergent US adenovirus 3 strains associated with an epidemic and serious disease" 46 : 331-336, 2009
12 Walsh, M.P., "Computational analysis identifies human adenovirus type 55 as a re-emergent acute respiratory disease pathogen" 48 : 991-993, 2010
13 Lee, J., "Comprehensive serotyping and epidemiology of human adenovirus isolated from the respiratory tract of Korean children over 17 consecutive years (1991-2007)" 82 : 624-631, 2010
14 Cho, K.S., "Charactrization of adenoviruses isolated from children with respiratory illness in Busan, 1999-2000" 12 : 5-16, 2000
15 Liu, X., "An outbreak of pharyngoconjunctival fever caused by adenovirus" 22 : 381-383, 2007
16 Ross, R.T, "Aenovirus, In Handbook of clinical neurology, pp" Elsevier Biomedical press 281-293, 1989
17 De Jong, J.C, "Adenoviruses from human immunodeficiency virus-infected individuals, including two strains that represent new candidate serotypes Ad50 and Ad51 of species B1 and D, respectively" 37 : 3940-3945, 1999
18 K.W., "Adenoviruses from human immunodeficiency virus-infected individuals, including two strains that represent new candidate serotypes Ad50 and Ad51 of species B1 and D, respectively" 37 : 3940-3945, 1999
19 Landry, M.L., "Adenovirus type 3 outbreak in connecticut associated with a novel variant" 81 : 1380-1384, 2009
20 Flomenberg, P, "Adenovirus infetions" 37 : 676-678, 2009
21 Hong, J.Y, "Adenoviral low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 of children in Korea from 1990 through 1998" 7 : 94-106, 1998
22 Kim, C.K., "A Study of adenovirus pneumonia: Early summer outbreak in 1996" 3 : 145-153, 1996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의 쿼럼 센싱 수용체인 QscR의 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아미노산 잔기 분석
Two-component System 기반 재조합균을 이용한 인공폐수에서의 중금속 인지 및 제거
미세조류 옥외 배양시스템을 이용한 도시하수 정화 및 미생물 군집다양성 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
2013-12-02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1998-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1 | 0.21 | 0.2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6 | 0.24 | 0.48 | 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