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미래사회와 교육환경의 변화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한국방송통신대학의 장기적인 발전모델의 제안을 목표로 한다. 지난 1972년 성인계속교육을 위한 국립원격대학으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E1409179
2006년
Korean
dCollection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미래사회와 교육환경의 변화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한국방송통신대학의 장기적인 발전모델의 제안을 목표로 한다. 지난 1972년 성인계속교육을 위한 국립원격대학으로 ...
이 연구는 미래사회와 교육환경의 변화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한국방송통신대학의 장기적인 발전모델의 제안을 목표로 한다. 지난 1972년 성인계속교육을 위한 국립원격대학으로 출범한 방송대학은 2005년 오늘에 이르기까지 질적, 양적 측면 모두 실로 놀라운 발전을 거듭하였다. 하지만 대략 2000년을 기점으로 양적인 측면에서 방송대학의 성장은 정체에 이르면서 지금까지와는 다른 새로운 발전방향을 모색할 필요가 절실해졌고, 이 연구는 그와 같은 상황 인식에서 비롯되었다.
개교 이후 2000년에 이르기까지 방송대학은 여러 차례에 걸친 장기발전계획을 수립하여 추진하였고, 이번 '차세대 방송대학 발전모델'도 그 연장선상에 있다. 이 연구는 선행된 중장기 대학발전연구의 성과들을 검토·계승하여, 2006년 이후 방송대학이 직면하게 될 사회적, 문화적, 교육적 환경 변화 속에서 방송대학이 지향해야 할 발전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진은 다음의 네 가지 주제를 핵심 연구과제로 선정하였다.
i) 21세기 교육환경 변화와 방송대학의 정체성, ii) 미래의 교육 수요에 대응하는 열린 교육과정 모델, iii) 원격교육 환경에서의 학습자 지원과 교육매체정책의 방향, iv) 새로운 발전모델 구축을 위한 대학 행·재정 구조의 개편이 여기에 해당한다.
이 연구는 2004년 6월 연구책임자인 곽노현 교수를 포함하여 단과대학을 대표하는 모두 9명의 교수에 의한 공동연구로 시작되었고, 2005년 1월에는 연구책임자가 김보원 교수로 교체되었다. 학내외 22명의 자문위원이 이 연구에 직간접으로 협력하였고, 2005년 9월 30일에 연구가 종료되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