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의 목적은 생태계 위기가 전 지구적으로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는 현 시점에서 그 원인을 파악하고, 이에 대하여 선교적 교회들의 연합이라고 할 수 있는 세계교회협의회와 대한예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674055
서울 : 장로회신학대학교, 2017
학위논문(석사) --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 선교신학 전공 , 2018. 2
2017
한국어
000 판사항(23)
서울
v, 80 p. 30 cm
지도교수: 한국일
참고문헌: p.77-8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생태계 위기가 전 지구적으로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는 현 시점에서 그 원인을 파악하고, 이에 대하여 선교적 교회들의 연합이라고 할 수 있는 세계교회협의회와 대한예수...
본 논문의 목적은 생태계 위기가 전 지구적으로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는 현 시점에서 그 원인을 파악하고, 이에 대하여 선교적 교회들의 연합이라고 할 수 있는 세계교회협의회와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의 활동을 소개하고 현 시점에서 평가한 뒤, 선교적 교회의 역할을 논의하려는 것이다. 이것을 위하여 2장에서는 생태계 위기의 심각성을 살펴본 후, 생태계 위기의 원인으로 지적되는 것들을 살펴보았다. 그 원인은 첫째는 기독교 신학이 초래한 인간중심적 세계관, 둘째는 근대 이후의 세계관에 대한 비판으로서 큰 뿌리가 되는 데카르트의 이원론과 남성 중심적인 시스템, 신자유주의와 세계화가 가져온 경쟁구조와 생태계에 대한 착취적 구조에 대한 비판을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생태계에 대한 성경의 가르침을 토대로 신학적인 이해를 가지려고 하였다. 이를 위해 인간에 대한 신학적인 이해, 인간을 제외한 피조세계에 대한 신학적인 이해를 정의한 후에 생태계에 대한 인간의 역할은 무엇인지 정의를 내린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4장에서는 선교적 교회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먼저 ‘선교적’이라는 용어의 의미가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를 살펴보았고, 이후 ‘교회의 선교’에서 ‘선교적 교회’로 전환하게 된 과정 살펴보았다. 다음으로는 선교적 교회론의 핵심적인 신학에 대하여 정리하였는데, 첫째, ‘삼위일체 하나님의 선교’둘째, ‘평신도의 역할’셋째, ‘신학적인 경신(更新)’의 필요성에 대하여, 마지막으로는 ‘공적책임에 대한 선교적 교회들의 연합’의 필요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5장에서는 생태계 위기에 대한 선교적 교회의 역할을 논의했는데 먼저 생태계 위기에 대한 세계교회협의회의 활동을 살펴보았고 이어서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의 활동을 살펴보았다. 2002년부터 2012년까지 진행된 “생명살리기운동 10년”과 2012년부터 2022년, 현재에 진행 중인 “치유와 화해의 생명공동체 운동 10년”을 살펴보고 평가 및 제안을 하였다.
본 논문을 통하여, 현재 교단에서 진행중인 “치유와 화해의 생명공동체 운동 10년”이라는 프로그램의 주제처럼 생태계 위기를 직면한 현 시대에서 한국교회의 생명공동체적 선교의 사명을 재확인하고 생명공동체로 거듭남으로써 삼위일체 하나님의 선교에 응답하는 한국교회가 되기를 희망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