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세대 간 어두 유음의 발음 양상 비교 = Comparison of the pronunciation of word-initial liquids between generations in Kore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058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t aspects of word-initial liquid sounds in Korean according to generations. Five women in their 50s and seven in their 20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We examined FL (formant of liquids) and voice sustained time by using Praat software. Three English native speakers were asked to judge the Korean speakers’ recorded speech samples for marking [l] or [r] using evaluation sheet. The results of the two experiments revealed three important aspect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FL of the words ‘racket’ and ‘ruby.’ Second, we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rhythm’, ‘ruby’ and ‘litter’ from the measurement of the duration of the acoustic data. Third, there was no difference in pronunciation between the two groups according to the phonemes of the original langu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e duration of word-initial liquids and the phoneme difference of the original language are indicators to distinguish the word-initial liquids between generations. Also, it was seen that the pronunciation of Korean word-initial liquid sounds varied across generation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t aspects of word-initial liquid sounds in Korean according to generations. Five women in their 50s and seven in their 20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We examined FL (formant of liquids)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t aspects of word-initial liquid sounds in Korean according to generations. Five women in their 50s and seven in their 20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We examined FL (formant of liquids) and voice sustained time by using Praat software. Three English native speakers were asked to judge the Korean speakers’ recorded speech samples for marking [l] or [r] using evaluation sheet. The results of the two experiments revealed three important aspect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FL of the words ‘racket’ and ‘ruby.’ Second, we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rhythm’, ‘ruby’ and ‘litter’ from the measurement of the duration of the acoustic data. Third, there was no difference in pronunciation between the two groups according to the phonemes of the original langu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e duration of word-initial liquids and the phoneme difference of the original language are indicators to distinguish the word-initial liquids between generations. Also, it was seen that the pronunciation of Korean word-initial liquid sounds varied across generatio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1. 서론
      • 2. 연구방법 및 목적
      • 3. 연구결과
      • 4. 결론 및 제언
      • Abstract
      • 1. 서론
      • 2. 연구방법 및 목적
      • 3. 연구결과
      • 4.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Kim, J.,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설측음 발화의 문제점: 음향음성학적 특징을 중심으로" 7 (7): 138-149, 2000

      2 이재강, "한국어의 세대 별 음향 연구 -단순모음을 중심으로-" 325-328, 2000

      3 민현식, "한국어의 변화에 대한 사회문화적인 접근"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2 (12): 97-124, 2015

      4 조남민, "한국어 어두 유음의 변이음에 관한 연구 - 외래어의 고유어 의식과a 유음의 발음 변화" 언어과학회 (70) : 433-460, 2014

      5 박재익, "한국어 기식음의 모음 앞 약화 현상에 대한 음운론적 해석: 방언, 세대, 남녀별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음운론학회 20 (20): 323-355, 2014

      6 정일진, "표준 어 단순 모음의 세대간 차이에 대한 실험음성학적 분석 연구" 33 : 111-125, 1997

      7 박경래, "제천방언의 음운체계에 대한 세대별 비교 고찰" 우리말글학회 42 : 21-63, 2008

      8 김원보, "제주방언화자의 세대별(20 대, 50 대, 70 대) 이중모음의 음향분석과 이중모음체계" 한국음성과학회 14 (14): 99-114, 2007

      9 김원보, "제주방언 화자의 세대별(20대/50대/70대) 어두 파열음의 VOT, F0 및 파열강도(burst energy) 변이양상" 탐라문화연구원 (44) : 123-144, 2013

      10 조성문, "이중모음 /ㅢ/의 세대별, 성별 발음 실태에 대한 분석" 한국언어문화학회 (58) : 321-346, 2015

      1 Kim, J.,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설측음 발화의 문제점: 음향음성학적 특징을 중심으로" 7 (7): 138-149, 2000

      2 이재강, "한국어의 세대 별 음향 연구 -단순모음을 중심으로-" 325-328, 2000

      3 민현식, "한국어의 변화에 대한 사회문화적인 접근"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2 (12): 97-124, 2015

      4 조남민, "한국어 어두 유음의 변이음에 관한 연구 - 외래어의 고유어 의식과a 유음의 발음 변화" 언어과학회 (70) : 433-460, 2014

      5 박재익, "한국어 기식음의 모음 앞 약화 현상에 대한 음운론적 해석: 방언, 세대, 남녀별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음운론학회 20 (20): 323-355, 2014

      6 정일진, "표준 어 단순 모음의 세대간 차이에 대한 실험음성학적 분석 연구" 33 : 111-125, 1997

      7 박경래, "제천방언의 음운체계에 대한 세대별 비교 고찰" 우리말글학회 42 : 21-63, 2008

      8 김원보, "제주방언화자의 세대별(20 대, 50 대, 70 대) 이중모음의 음향분석과 이중모음체계" 한국음성과학회 14 (14): 99-114, 2007

      9 김원보, "제주방언 화자의 세대별(20대/50대/70대) 어두 파열음의 VOT, F0 및 파열강도(burst energy) 변이양상" 탐라문화연구원 (44) : 123-144, 2013

      10 조성문, "이중모음 /ㅢ/의 세대별, 성별 발음 실태에 대한 분석" 한국언어문화학회 (58) : 321-346, 2015

      11 구희산, "영어학습자의 유음 /l/과 /r/의 발성 능력 연구"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0 (30): 115-126, 2012

      12 조남민, "어두 유음의 음성적 실현에 관한 연구 - 인접 모음과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 언어과학회 (75) : 289-310, 2015

      13 박지윤, "서울 지역 세대 간 /ㅔ/와 /ㅐ/ 모음의 포먼트 측정 - 조음음성학적 특징과 스펙트로그램을 중심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88) : 295-314, 2011

      14 황미경, "베트남인 초급 학습자의 한국어 유음 발음 양상에 대한 분석" 이화어문학회 (39) : 49-87, 2016

      15 장혜진, "대구 방언 어두 폐쇄음의 음향적 특성과 지각 단서에서 나타나는 세대 간 차이" 언어과학회 (65) : 277-296, 2013

      16 장혜진, "대구 방언 단모음의 세대 간 차이에 대한 음향 음성학적 연구" 대한음성학회 (57) : 15-30, 2006

      17 김무식, "국어 유음의 음성학적 연구" 12 (12): 23-47, 1991

      18 김수미, "과제유형, 숙달도에 따른 한국어 학습자의유음 /ㄹ/ 습득 양상 연구" 국제어문학회 (69) : 261-288, 2016

      19 Ladefoged, P., "Vowels and Consonants (2nd edition)" Blackwell Publishing 2005

      20 Gass, S., "Second Language Acquisition: An Introductory Course (4th edition)" Routledge 2013

      21 Pullum, G., "Phonetic Symbol Guide" The University of Chicago 1986

      22 Ladefoged, P., "A Course In Phonetics (3rd edition)" Harcourt Brace College Publishers 199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5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49 0.988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