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부모의 우울여부에 따른 12~15개월 부모-영아 간 상호작용 특성 연구 =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Parent-Infant Interactions Among Infant Aged 12~15 Months Depending on Depression of Par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5432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characteristics of parent-infant (aged 12 to 15 months old) interactions depending on depression of parents. Subjects included 30 infants and 60 parents. They received developmental assessment in the obstetrics and gynecology departments of four general hospitals in Seoul. The parents were grouped depending on the findings of the 10-item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 Scale (CESD-10). Scores of seven or above were classified as higher depression and the par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of ten pairs each: Group 1 – both parents are depressed; Group 2 – mother is depressed and father is not depressed; and Group 3 – both parents are not depressed.
      Mental state (depression) of parents was measured by the CESD-10. For infants, Ages & Stages Questionnaires (ASQ), the parent-completed infant monitoring system, Infant Behavior Questionnaire-Revised (IBQ-R-S), the assessment of infant temperament, and Infant Toddler Social Emotional Assessment (ITSEA) were administered. Parent-infant interactions were measured by Parent-Child Interaction Play Assessment (P-CIPA), a modified scale of Mother-Infant Play Interaction Scale (MIPIS), and Atypical Maternal Behavior Instrument for Assessment and Classification (AMBIANCE).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among the three groups in terms of father-infant and mother-infant interactions depending on depression of parents. Mothers of Group 3 showed a higher degree of responses to and verbal interactions with infants and a lower degree of intrusion than mothers of Groups 1 & 2. Fathers of Group 3 used a higher level of responses to and visual and verbal interactions with infants than fathers of Groups 1 & 2. In terms of differences in each group, fathers of Group 1 showed a lower level of intrusion and a higher level of sensitivity to developmental level of infants than mothers. In Group 2, fathers showed a higher level of emotion and sensitivity to developmental level of infants and also showed a higher degree of responses to and visual and verbal interactions with infants than mothers. In Group 3, mothers showed a higher level of sensitivity to developmental level of infants and responses to infant interactions than fathers.
      In terms of differences in infant interactions between groups, infants in Group 3 showed a higher level of responses and social responses to interaction of mothers than infants in Groups 1 & 2. In terms of interactions with father, infants in Group 3 showed a higher degree of responses than infants in Group 1. In terms of differences in infant interactions between groups, infants in Group 1 showed a higher degree of responses and social responses to fathers than to mothers. Infants in Group 2 showed a higher level of emotion, responses, and social responses to fathers than to mothers. No difference was found in Group 3.
      In terms of difference in parent-infant synchronous interactions between groups, Group 3 showed a higher level of emotional synchronism and participation in mother-infant interactions than the other two groups. In terms of father-infant interactions, Group 3 showed a higher degree of emotional synchronism than Group 1. Inside the same group, father-infant interactions in Group 1 showed a higher level of emotional synchronism than mother-infant interactions. In Groups 2 & 3, father-infant interactions showed a higher degree of emotional synchronism and participation in interactions than mother-infant interactions.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in characteristics of atypical behaviors of parents depending on depression of parents. Mothers with depression showed more difficulties in responding to signals from infants and inappropriate emotion to behaviors of infants compared with mothers without depression. They were also negative and intrusive physically and verbally and kept distance from infants. Fathers with depression showed less inappropriate emotion to behaviors of infants than fathers without depression. However, they showed a higher level of verbal withdrawal that they kept verbal distance from infants.
      Third, there were correlations between parent-infant interactions and depression of parents. For depression of mothers,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emotion of mothers and emotion and visual response of infants, between mothers’ response to infant interaction and response of infants, and between visual response of mothers and emotion, response, visual response, and social response of infants. For mothers without depression,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intrusion of mothers and response and social response of infants, between sensitivity of mothers to developmental level of infants and response of infants, between response of mothers to infant interaction and response and social response of infants, and between frequencies of verbal interactions of mothers and response and social response of infants. In terms of depression of fathers,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emotion of fathers and emotion and visual response of infants, and between response of fathers to infant interactions and emotion and social response of infants. For fathers without depression,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emotion of fathers and emotion and visual response of infants, between intrusion of fathers and social response of infants, between sensitivity of fathers to developmental level of infants and response and social response of infants, between response of fathers to infant interaction and response and social response of infants, and between frequencies of verbal interactions of fathers and response of infants.
      Fourth, in terms of difference in the developmental level among infants between groups which was measured by ITSEA, infants in Groups 1 & 2 showed a higher level of difficulties in adapting to unfamiliar environments and sleep problems than infants in Group 3. However, no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d characteristics of parent-infant (aged 12 to 15 months old) interactions depending on depression of parents. Subjects included 30 infants and 60 parents. They received developmental assessment in the obstetrics and gynecology depar...

      This study examined characteristics of parent-infant (aged 12 to 15 months old) interactions depending on depression of parents. Subjects included 30 infants and 60 parents. They received developmental assessment in the obstetrics and gynecology departments of four general hospitals in Seoul. The parents were grouped depending on the findings of the 10-item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 Scale (CESD-10). Scores of seven or above were classified as higher depression and the par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of ten pairs each: Group 1 – both parents are depressed; Group 2 – mother is depressed and father is not depressed; and Group 3 – both parents are not depressed.
      Mental state (depression) of parents was measured by the CESD-10. For infants, Ages & Stages Questionnaires (ASQ), the parent-completed infant monitoring system, Infant Behavior Questionnaire-Revised (IBQ-R-S), the assessment of infant temperament, and Infant Toddler Social Emotional Assessment (ITSEA) were administered. Parent-infant interactions were measured by Parent-Child Interaction Play Assessment (P-CIPA), a modified scale of Mother-Infant Play Interaction Scale (MIPIS), and Atypical Maternal Behavior Instrument for Assessment and Classification (AMBIANCE).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among the three groups in terms of father-infant and mother-infant interactions depending on depression of parents. Mothers of Group 3 showed a higher degree of responses to and verbal interactions with infants and a lower degree of intrusion than mothers of Groups 1 & 2. Fathers of Group 3 used a higher level of responses to and visual and verbal interactions with infants than fathers of Groups 1 & 2. In terms of differences in each group, fathers of Group 1 showed a lower level of intrusion and a higher level of sensitivity to developmental level of infants than mothers. In Group 2, fathers showed a higher level of emotion and sensitivity to developmental level of infants and also showed a higher degree of responses to and visual and verbal interactions with infants than mothers. In Group 3, mothers showed a higher level of sensitivity to developmental level of infants and responses to infant interactions than fathers.
      In terms of differences in infant interactions between groups, infants in Group 3 showed a higher level of responses and social responses to interaction of mothers than infants in Groups 1 & 2. In terms of interactions with father, infants in Group 3 showed a higher degree of responses than infants in Group 1. In terms of differences in infant interactions between groups, infants in Group 1 showed a higher degree of responses and social responses to fathers than to mothers. Infants in Group 2 showed a higher level of emotion, responses, and social responses to fathers than to mothers. No difference was found in Group 3.
      In terms of difference in parent-infant synchronous interactions between groups, Group 3 showed a higher level of emotional synchronism and participation in mother-infant interactions than the other two groups. In terms of father-infant interactions, Group 3 showed a higher degree of emotional synchronism than Group 1. Inside the same group, father-infant interactions in Group 1 showed a higher level of emotional synchronism than mother-infant interactions. In Groups 2 & 3, father-infant interactions showed a higher degree of emotional synchronism and participation in interactions than mother-infant interactions.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in characteristics of atypical behaviors of parents depending on depression of parents. Mothers with depression showed more difficulties in responding to signals from infants and inappropriate emotion to behaviors of infants compared with mothers without depression. They were also negative and intrusive physically and verbally and kept distance from infants. Fathers with depression showed less inappropriate emotion to behaviors of infants than fathers without depression. However, they showed a higher level of verbal withdrawal that they kept verbal distance from infants.
      Third, there were correlations between parent-infant interactions and depression of parents. For depression of mothers,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emotion of mothers and emotion and visual response of infants, between mothers’ response to infant interaction and response of infants, and between visual response of mothers and emotion, response, visual response, and social response of infants. For mothers without depression,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intrusion of mothers and response and social response of infants, between sensitivity of mothers to developmental level of infants and response of infants, between response of mothers to infant interaction and response and social response of infants, and between frequencies of verbal interactions of mothers and response and social response of infants. In terms of depression of fathers,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emotion of fathers and emotion and visual response of infants, and between response of fathers to infant interactions and emotion and social response of infants. For fathers without depression,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emotion of fathers and emotion and visual response of infants, between intrusion of fathers and social response of infants, between sensitivity of fathers to developmental level of infants and response and social response of infants, between response of fathers to infant interaction and response and social response of infants, and between frequencies of verbal interactions of fathers and response of infants.
      Fourth, in terms of difference in the developmental level among infants between groups which was measured by ITSEA, infants in Groups 1 & 2 showed a higher level of difficulties in adapting to unfamiliar environments and sleep problems than infants in Group 3. However, no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부모의 우울 여부에 따른 부모와 12~15개월 영아의 상호작용 특성 차이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에 위치한 종합병원 4곳의 산부인과에서 발달평가를 진행한 후, 본 연구 검사에 참여한 부모 60명과 영아 30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우울 척도(CESD-10) 결과에서 총점이 7점 이상인 경우 우울이 높은 것으로 구분하여, 연구 대상자를 부모 모두 우울한 10쌍(20명), 모 우울이나 부 비우울한 10쌍(20명), 부모 모두 비우울한 10쌍(20명)인 총 세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정신건강을 알아보기 위해 우울(CES-D 10), 영아의 정신건강을 알아보기 위해 부모 작성형 영유아 모니터링 체계(K-ASQ), 영아 기질 검사(IBQ-R-S), 영유아기 사회ㆍ정서 문제행동 측정도구(ITSEA)를 사용하였다. 또한 부모와 영아 간의 상호작용을 측정하기 위해 부모-아동 상호작용 놀이평가도구(P-CIPA)와 모-영아 놀이 상호작용 측정도구(MIPIS)를 수정한 척도와 부모의 비전형적 행동을 측정도구(AMBIANCE)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 우울여부에 따른 부모우울집단, 모우울/부비우울집단, 부모비우울집단 간, 집단 내 부-영아, 모-영아 상호작용 차이를 보였다.
      먼저 부모 상호작용 특성에서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보면 모의 경우 부모비우울집단 모가 다른 두 집단에 비해 영아 상호작용에 따른 반응적 행동과 언어적 상호작용이 더 높았으며 침해성이 더 낮았다. 부의 경우 부모비우울집단 부가 부모우울집단에 비해 영아 상호작용에 따른 반응적 행동과 시각적 상호작용, 언어적 상호작용을 더 많이 사용하였다. 집단 내 차이를 살펴보면 부모우울집단에서는 부가 모에 비해 침해성이 더 낮았고, 영아 발달 수준에 따른 민감성도 더 높았다. 모우울/부비우울집단에서는 부가 모에 비해 정서성 및 영아 발달 수준에 따른 민감성이 더 높았고, 영아 상호작용에 따른 반응적 행동과 시각적 상호작용, 언어적 상호작용을 더 많이 보였다. 부모비우울집단에서는 모가 부보다 영아 발달 수준에 따른 민감성이 더 높았고, 영아 상호작용에 대한 반응성이 더 높았다.
      또한 영아가 보이는 상호작용 특성에서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보면 모와의 상호작용의 경우 아동은 부모비우울집단에서 다른 두 집단에 비해 모 상호작용에 따른 반응적 행동과 사회적 반응성이 더 높았다. 부와의 상호작용의 경우 아동은 부모비우울집단에서 부모우울집단에 비해 부 상호작용에 따른 반응적 행동을 더 많이 높았다. 영아가 보이는 상호작용 특성의 집단 내 차이를 살펴보면, 부모우울집단에서는 영아가 모보다 부와의 상호작용에서 반응적 행동과 사회적 반응성이 더 높았다. 모우울/부비우울집단의 영아는 우울모보다 비우울부와의 상호작용에서 정서성과 부 상호작용에 대한 반응적 행동과 사회적 반응성이 더 높았다. 부모비우울집단에서는 영아의 상호작용 특성 차이가 없었다.
      부모와 영아의 동시적 상호작용 특성에서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보면 모-영아 상호작용의 경우 부모비우울집단에서 다른 두 집단에 비해 정서의 동시성과 상호작용 참여 수준이 높았다. 부-영아 상호작용의 경우 부모비우울집단에서는 부모우울집단에 비해 정서의 동시성이 더 높았다. 동시적 상호작용 특성에서 집단 내 차이를 살펴보면 부모우울집단에서 부-영아 상호작용이 모-영아 상호작용보다 정서적 동시성이 더 높았으며, 모우울/부비우울집단과 부모비우울집단에서 부-영아 상호작용이 모-영아 상호작용보다 정서적 동시성과 상호작용 참여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 우울여부에 따라 부모의 비전형적 행동 특성에 차이를 보였다. 먼저 모의 경우 우울모는 비우울모에 비해 아이의 신호에 반응하는데 어려움을 보이고, 영아의 행동에 부적절한 정서를 보였으며, 신체적 혹은 언어적으로 부정적이고 침해적이며, 영아로부터 거리감을 두는 모습을 보였다. 부의 경우 우울부는 비우울부에 비해 영아의 행동에 부적절한 정서를 덜 보였으나, 영아로부터 언어적 거리감을 두는 언어적 철회행동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우울여부에 따른 부모와 영아 간 상호작용은 상호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우울의 경우 모정서성은 영아정서성 및 시각적 반응성과 영아 상호작용에 대한 반응성은 영아반응성과 모 시각적 상호작용은 영아정서성, 반응성, 시각적 반응성, 사회적 반응성과 상관관계를 보였다. 모비우울의 경우 모침해성은 영아반응성, 사회적 반응성과 영아 발달수준에 따른 민감성은 영아반응성과 영아 상호작용에 대한 반응성은 영아반응성, 사회적 반응성과 모 언어적 상호작용의 횟수는 영아반응성, 사회적 반응성과 상관관계를 보였다. 부우울의 경우 부정서성은 영아정서성, 시각적 반응성과 영아 상호작용에 대한 반응성은 영아정서성, 사회적 반응성과 상관관계를 보였다. 부비우울의 경우 부정서성은 영아정서성, 시각적 반응성과 부침해성은 영아의 사회적 반응성과 영아 발달수준에 따른 민감성은 영아반응성, 사회적 반응성과 영
      번역하기

      본 연구는 부모의 우울 여부에 따른 부모와 12~15개월 영아의 상호작용 특성 차이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에 위치한 종합병원 4곳의 산부인과에서 발달평가를 진행한 ...

      본 연구는 부모의 우울 여부에 따른 부모와 12~15개월 영아의 상호작용 특성 차이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에 위치한 종합병원 4곳의 산부인과에서 발달평가를 진행한 후, 본 연구 검사에 참여한 부모 60명과 영아 30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우울 척도(CESD-10) 결과에서 총점이 7점 이상인 경우 우울이 높은 것으로 구분하여, 연구 대상자를 부모 모두 우울한 10쌍(20명), 모 우울이나 부 비우울한 10쌍(20명), 부모 모두 비우울한 10쌍(20명)인 총 세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정신건강을 알아보기 위해 우울(CES-D 10), 영아의 정신건강을 알아보기 위해 부모 작성형 영유아 모니터링 체계(K-ASQ), 영아 기질 검사(IBQ-R-S), 영유아기 사회ㆍ정서 문제행동 측정도구(ITSEA)를 사용하였다. 또한 부모와 영아 간의 상호작용을 측정하기 위해 부모-아동 상호작용 놀이평가도구(P-CIPA)와 모-영아 놀이 상호작용 측정도구(MIPIS)를 수정한 척도와 부모의 비전형적 행동을 측정도구(AMBIANCE)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 우울여부에 따른 부모우울집단, 모우울/부비우울집단, 부모비우울집단 간, 집단 내 부-영아, 모-영아 상호작용 차이를 보였다.
      먼저 부모 상호작용 특성에서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보면 모의 경우 부모비우울집단 모가 다른 두 집단에 비해 영아 상호작용에 따른 반응적 행동과 언어적 상호작용이 더 높았으며 침해성이 더 낮았다. 부의 경우 부모비우울집단 부가 부모우울집단에 비해 영아 상호작용에 따른 반응적 행동과 시각적 상호작용, 언어적 상호작용을 더 많이 사용하였다. 집단 내 차이를 살펴보면 부모우울집단에서는 부가 모에 비해 침해성이 더 낮았고, 영아 발달 수준에 따른 민감성도 더 높았다. 모우울/부비우울집단에서는 부가 모에 비해 정서성 및 영아 발달 수준에 따른 민감성이 더 높았고, 영아 상호작용에 따른 반응적 행동과 시각적 상호작용, 언어적 상호작용을 더 많이 보였다. 부모비우울집단에서는 모가 부보다 영아 발달 수준에 따른 민감성이 더 높았고, 영아 상호작용에 대한 반응성이 더 높았다.
      또한 영아가 보이는 상호작용 특성에서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보면 모와의 상호작용의 경우 아동은 부모비우울집단에서 다른 두 집단에 비해 모 상호작용에 따른 반응적 행동과 사회적 반응성이 더 높았다. 부와의 상호작용의 경우 아동은 부모비우울집단에서 부모우울집단에 비해 부 상호작용에 따른 반응적 행동을 더 많이 높았다. 영아가 보이는 상호작용 특성의 집단 내 차이를 살펴보면, 부모우울집단에서는 영아가 모보다 부와의 상호작용에서 반응적 행동과 사회적 반응성이 더 높았다. 모우울/부비우울집단의 영아는 우울모보다 비우울부와의 상호작용에서 정서성과 부 상호작용에 대한 반응적 행동과 사회적 반응성이 더 높았다. 부모비우울집단에서는 영아의 상호작용 특성 차이가 없었다.
      부모와 영아의 동시적 상호작용 특성에서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보면 모-영아 상호작용의 경우 부모비우울집단에서 다른 두 집단에 비해 정서의 동시성과 상호작용 참여 수준이 높았다. 부-영아 상호작용의 경우 부모비우울집단에서는 부모우울집단에 비해 정서의 동시성이 더 높았다. 동시적 상호작용 특성에서 집단 내 차이를 살펴보면 부모우울집단에서 부-영아 상호작용이 모-영아 상호작용보다 정서적 동시성이 더 높았으며, 모우울/부비우울집단과 부모비우울집단에서 부-영아 상호작용이 모-영아 상호작용보다 정서적 동시성과 상호작용 참여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 우울여부에 따라 부모의 비전형적 행동 특성에 차이를 보였다. 먼저 모의 경우 우울모는 비우울모에 비해 아이의 신호에 반응하는데 어려움을 보이고, 영아의 행동에 부적절한 정서를 보였으며, 신체적 혹은 언어적으로 부정적이고 침해적이며, 영아로부터 거리감을 두는 모습을 보였다. 부의 경우 우울부는 비우울부에 비해 영아의 행동에 부적절한 정서를 덜 보였으나, 영아로부터 언어적 거리감을 두는 언어적 철회행동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우울여부에 따른 부모와 영아 간 상호작용은 상호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우울의 경우 모정서성은 영아정서성 및 시각적 반응성과 영아 상호작용에 대한 반응성은 영아반응성과 모 시각적 상호작용은 영아정서성, 반응성, 시각적 반응성, 사회적 반응성과 상관관계를 보였다. 모비우울의 경우 모침해성은 영아반응성, 사회적 반응성과 영아 발달수준에 따른 민감성은 영아반응성과 영아 상호작용에 대한 반응성은 영아반응성, 사회적 반응성과 모 언어적 상호작용의 횟수는 영아반응성, 사회적 반응성과 상관관계를 보였다. 부우울의 경우 부정서성은 영아정서성, 시각적 반응성과 영아 상호작용에 대한 반응성은 영아정서성, 사회적 반응성과 상관관계를 보였다. 부비우울의 경우 부정서성은 영아정서성, 시각적 반응성과 부침해성은 영아의 사회적 반응성과 영아 발달수준에 따른 민감성은 영아반응성, 사회적 반응성과 영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Ι.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5
      • Ⅱ. 이론적 배경 6
      • 1. 우울 6
      • Ι.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5
      • Ⅱ. 이론적 배경 6
      • 1. 우울 6
      • 1) 우울 개념 6
      • 2) 부모의 우울감 차이 8
      • 3) 부모의 우울감이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 10
      • 2. 상호작용 11
      • 1) 영유아기 부모와의 상호작용 특성 11
      • 2) 영유아기 부모와의 상호작용의 중요성 12
      • Ⅲ. 연구방법 14
      • 1. 연구대상 14
      • 2. 연구도구 18
      • 3. 연구절차 22
      • 4. 자료분석 24
      • Ⅳ. 연구 결과 25
      • 1. 부모 우울여부에 따른 세 집단 간 부-영아, 모-영아 상호작용 특성 차이 25
      • 2. 부모우울 여부에 따른 부모의 비전형적 행동 특성 차이 35
      • 3. 부모의 우울여부에 따른 부-영아, 모-영아 상호작용의 상관관계 39
      • 4. 부모의 우울여부에 따른 세 집단 간 영아 발달 차이 42
      • Ⅴ. 논의 및 결론 46
      • 참고문헌 55
      • 부 록 66
      • Abstract 7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