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쿰란 제 1 동굴에서 발견한 하바쿡 페쉐르(1QpHab)의 본문 연구 : 본문 복원과 이문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f Habakkuk Pesher(1QpHab) Discovered from the First Qumran Cav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6587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947년, 한 베두인이 유다 사막의 한 동굴에서 수많은 보물들을 발견함으로써, 인류는 20세기의 가장 위대한 발견을 시작하였다. 그 당시 그 베두인은 보물의 가치를 알지 못하였지만, 후에 이 보물들은 성서학계 뿐만 아니라 고고학계에 새로운 도전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했다. 사해 문헌은 그 동안 인류가 가지고 있던 히브리 구약 성경 사본의 역사를 다시 쓰게끔 하였다. 총 11개의 쿰란 동굴에서 900여개의 히브리어, 아람어, 그리스어 문헌들이 발견되었는데 이 중 220여개 정도가 히브리 성경과 관련된 사본이었고 680여개가 성경 외의 독특한 사본들이었다. 그 당시에 가장 오래된 히브리 성경 사본은 알렙포 사본(925년경)과 레닌그라드 사본(1008년경)이었는데 새로 발견된 사본들은 기존 사본들보다 적어도 천년 이상을 앞선 것들이었다.
      쿰란 문헌 발견의 가치는 두 가지 차원에서 조명할 수 있다. 첫째로 우리가 지금 가지고 있는 구약 성경의 원문에 더욱 가까이 다가갈 수 있었다는 것이다. 사해 문헌 발견 이전의 학자들은 기존의 사마리아 오경, 마소라 본문, 칠십인 역 성경, 기타 그리스 역본들, 페쉬타, 타르쿰 등의 문헌들을 통해서만이 본문 비평 작업을 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천 년을 앞선 성서 관련 문헌들은 성경 본문이 정형화 내지는 정경화 되기 이전에 어떠한 형태와 내용을 가지고 있었는지를 알 수 있게 해준다. 뿐만 아니라 유다교의 정경화 작업이 벌어진 기원후 100년 이전에 권위 있는 문헌으로 유다인들에게 받아들여졌던 문헌들이 어떤 것들이 있고 어떠한 형태로 존재했는지를 알 수 있게 되었다. 둘째로, 성경 관련 문헌들 외의 여러 문헌들을 통해 유다교 내의 종파들의 종교적 사상들에 대해 깊이 이해할 수 있고 나아가 그 당시 유다교 공동체, 특히 이제까지 잘 알려지지 않았던 종파의 구원관과 메시아 사상을 알 수 있게 되었다.
      쿰란 제1동굴에서 발견된 하바쿡 페쉐르(1QpHab)는 언급한 두 가지 차원에 접근하기에 매우 적합한 문헌이다. 하바쿡 페쉐르 본문은 그들이 보존하고 있던 하바쿡서 전승을 제시하고, 동시에 그들 공동체의 상황에 비추어 전승에 대한 역사적이면서도 종말론적인 해석이 결합된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하바쿡 페쉐르의 본문을 분석하면서, 그들이 기존에 가지고 있던 하바쿡서 전승을 마소라 본문, 칠십인역 본문, 다른 사해 사본들과 비교하여 그 차이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이에 대한 해석(페쉐르) 부분을 다루면서 그들의 종교적 사상과 역사적 상황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번역하기

      1947년, 한 베두인이 유다 사막의 한 동굴에서 수많은 보물들을 발견함으로써, 인류는 20세기의 가장 위대한 발견을 시작하였다. 그 당시 그 베두인은 보물의 가치를 알지 못하였지만, 후에 이...

      1947년, 한 베두인이 유다 사막의 한 동굴에서 수많은 보물들을 발견함으로써, 인류는 20세기의 가장 위대한 발견을 시작하였다. 그 당시 그 베두인은 보물의 가치를 알지 못하였지만, 후에 이 보물들은 성서학계 뿐만 아니라 고고학계에 새로운 도전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했다. 사해 문헌은 그 동안 인류가 가지고 있던 히브리 구약 성경 사본의 역사를 다시 쓰게끔 하였다. 총 11개의 쿰란 동굴에서 900여개의 히브리어, 아람어, 그리스어 문헌들이 발견되었는데 이 중 220여개 정도가 히브리 성경과 관련된 사본이었고 680여개가 성경 외의 독특한 사본들이었다. 그 당시에 가장 오래된 히브리 성경 사본은 알렙포 사본(925년경)과 레닌그라드 사본(1008년경)이었는데 새로 발견된 사본들은 기존 사본들보다 적어도 천년 이상을 앞선 것들이었다.
      쿰란 문헌 발견의 가치는 두 가지 차원에서 조명할 수 있다. 첫째로 우리가 지금 가지고 있는 구약 성경의 원문에 더욱 가까이 다가갈 수 있었다는 것이다. 사해 문헌 발견 이전의 학자들은 기존의 사마리아 오경, 마소라 본문, 칠십인 역 성경, 기타 그리스 역본들, 페쉬타, 타르쿰 등의 문헌들을 통해서만이 본문 비평 작업을 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천 년을 앞선 성서 관련 문헌들은 성경 본문이 정형화 내지는 정경화 되기 이전에 어떠한 형태와 내용을 가지고 있었는지를 알 수 있게 해준다. 뿐만 아니라 유다교의 정경화 작업이 벌어진 기원후 100년 이전에 권위 있는 문헌으로 유다인들에게 받아들여졌던 문헌들이 어떤 것들이 있고 어떠한 형태로 존재했는지를 알 수 있게 되었다. 둘째로, 성경 관련 문헌들 외의 여러 문헌들을 통해 유다교 내의 종파들의 종교적 사상들에 대해 깊이 이해할 수 있고 나아가 그 당시 유다교 공동체, 특히 이제까지 잘 알려지지 않았던 종파의 구원관과 메시아 사상을 알 수 있게 되었다.
      쿰란 제1동굴에서 발견된 하바쿡 페쉐르(1QpHab)는 언급한 두 가지 차원에 접근하기에 매우 적합한 문헌이다. 하바쿡 페쉐르 본문은 그들이 보존하고 있던 하바쿡서 전승을 제시하고, 동시에 그들 공동체의 상황에 비추어 전승에 대한 역사적이면서도 종말론적인 해석이 결합된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하바쿡 페쉐르의 본문을 분석하면서, 그들이 기존에 가지고 있던 하바쿡서 전승을 마소라 본문, 칠십인역 본문, 다른 사해 사본들과 비교하여 그 차이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이에 대한 해석(페쉐르) 부분을 다루면서 그들의 종교적 사상과 역사적 상황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bout Habakkuk Pesher(1QpHab) discovered from the first Qumran cave, especially focused on reconstruction of the texts and analysis of variants. 1QpHab contains the text and accompanying commentary on Habakkuk 1-2. The reason 1QpHab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Qumran scrolls is two points of view. Through the text, it is possible to compare between Leningrad codex which we generally use, and through the commentary(pesher), to recognize the peculiarities of the Qumran community who write the scrolls. 1QpHab is written between first century B.C. to first century A.D. by Qumran community who lived at Khirbet Qumran near dead sea. They are a part of the group of the Essene who is part of Jews.

      For the effective study, I have largely separated 3 chapters. At the first chapter, general information has been introduced. At first, the studying history of 1QpHab have been introduced. At second, It has been introduced the biblical hebrew text thesises which were announced by de Lagarde, Kahle, Cross, Talmon, and Tov. At third, it have been mentioned 3 ways to recognize when the 1QpHab was copied. Those are called Historical Allusions, Paleography, and Radiocardon-14(or AMS).

      At the second chapter, 1QpHab text has been analysed in earnest in two points of view. One is reconstruction of the text, another is analysis of variants. Because 1QpHab is broken and rubbed out, it need to reconstruction with comparing the biblical hebrew texts and other Qumran texts. However, the most important work is to compare the biblical texts in 1QpHab to another hebrew text(masorah text) and greek texts(septuagint, 8HevXIIgr). While the hebrew text we universaly use is Leningrad codex which was copied around 1008 A.D., 1QpHab is copied between 100 B.C to 100 A.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ccept that 1QpHab is more original traditional than Leningrad codex. Moreover, masorah text(Leningrad codex) was worked and fixed by scholars intentionally. However, distinguishment is very important between the time of the copy and the time of the original writing. Although masorah text is later, it is possible to have earlier traditional than 1QpHab. So, comparing work is very important and needed. Focused on 1QpHab, some cases have been same with the greek texts and different with the masorah text, and some cases have been same with the masorah text and different with the greek text. As 1QpHab has compared with another hebrew text(the masorah text), 140 differences has been found during the work.

      At the third chapter, 130 differences has been presented. The differences has been divided 2 types. One has been same meaning each other, and another has been different meaning. This work suggests that the differences are caused that the texts were not fixed then. So, it would be serious oversight to conclude that some text is more original and traditional than others. Nevertheless, this study provides a stepping stone for developing an account of relationship among ancient biblical codices.
      번역하기

      This study is about Habakkuk Pesher(1QpHab) discovered from the first Qumran cave, especially focused on reconstruction of the texts and analysis of variants. 1QpHab contains the text and accompanying commentary on Habakkuk 1-2. The reason 1QpHab is v...

      This study is about Habakkuk Pesher(1QpHab) discovered from the first Qumran cave, especially focused on reconstruction of the texts and analysis of variants. 1QpHab contains the text and accompanying commentary on Habakkuk 1-2. The reason 1QpHab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Qumran scrolls is two points of view. Through the text, it is possible to compare between Leningrad codex which we generally use, and through the commentary(pesher), to recognize the peculiarities of the Qumran community who write the scrolls. 1QpHab is written between first century B.C. to first century A.D. by Qumran community who lived at Khirbet Qumran near dead sea. They are a part of the group of the Essene who is part of Jews.

      For the effective study, I have largely separated 3 chapters. At the first chapter, general information has been introduced. At first, the studying history of 1QpHab have been introduced. At second, It has been introduced the biblical hebrew text thesises which were announced by de Lagarde, Kahle, Cross, Talmon, and Tov. At third, it have been mentioned 3 ways to recognize when the 1QpHab was copied. Those are called Historical Allusions, Paleography, and Radiocardon-14(or AMS).

      At the second chapter, 1QpHab text has been analysed in earnest in two points of view. One is reconstruction of the text, another is analysis of variants. Because 1QpHab is broken and rubbed out, it need to reconstruction with comparing the biblical hebrew texts and other Qumran texts. However, the most important work is to compare the biblical texts in 1QpHab to another hebrew text(masorah text) and greek texts(septuagint, 8HevXIIgr). While the hebrew text we universaly use is Leningrad codex which was copied around 1008 A.D., 1QpHab is copied between 100 B.C to 100 A.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ccept that 1QpHab is more original traditional than Leningrad codex. Moreover, masorah text(Leningrad codex) was worked and fixed by scholars intentionally. However, distinguishment is very important between the time of the copy and the time of the original writing. Although masorah text is later, it is possible to have earlier traditional than 1QpHab. So, comparing work is very important and needed. Focused on 1QpHab, some cases have been same with the greek texts and different with the masorah text, and some cases have been same with the masorah text and different with the greek text. As 1QpHab has compared with another hebrew text(the masorah text), 140 differences has been found during the work.

      At the third chapter, 130 differences has been presented. The differences has been divided 2 types. One has been same meaning each other, and another has been different meaning. This work suggests that the differences are caused that the texts were not fixed then. So, it would be serious oversight to conclude that some text is more original and traditional than others. Nevertheless, this study provides a stepping stone for developing an account of relationship among ancient biblical codic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연구 목적 1
      • 2. 연구 범위 2
      • I. 쿰란 문헌에 관한 전체적 접근 5
      • 1. 연구 목적 1
      • 2. 연구 범위 2
      • I. 쿰란 문헌에 관한 전체적 접근 5
      • 1. 쿰란 문헌의 발견 5
      • 1.1. 동굴 및 문헌들의 발견 7
      • 1.1.1. 첫 번째 동굴과 문헌들 7
      • 1.1.2. 다른 동굴들과 문헌들 12
      • 2. 히브리 본문의 기원 19
      • 2.1. Paulo A. de Lagarde 20
      • 2.2. Paul Kahle 21
      • 2.3. Frank Moore Cross 22
      • 2.4. Shemaryahu Talmon 25
      • 2.5. Emmanuel Tov 27
      • 3. 하바쿡 페쉐르의 연대측정 31
      • 3.1. 역사적 암시(Historical Allusions) 31
      • 3.2. 고문서학적 증거(Paleography) 35
      • 3.3. 방사선 동위 원소법(Radiocarbon-14) 40
      • II. 하바쿡 페쉐르의 본문 연구 42
      • 1. 하바쿡 페쉐르의 본문 연구를 위한 전 이해 42
      • 1.1. 정경 문제 42
      • 1.2. 인용 본문 연구를 위한 사본 소개 45
      • 1.2.1. 레닌그라드 사본 45
      • 1.2.2. Wadi Murabbaat 사본 46
      • 1.2.3. 8HevXIIgr. 사본 47
      • 1.2.4. 칠십인역본 59
      • 1.2.5. 불가타역본 49
      • 1.3. 활자판의 문자표 50
      • 2. 하바쿡 페쉐르의 본문 연구 52
      • 2.1. I 단 52
      • 2.2. II 단 83
      • 2.3. III 단 112
      • 2.4. IV 단 141
      • 2.5. V 단 162
      • 2.6. VI 단 195
      • 2.7. VII 단 213
      • 2.8. VIII 단 239
      • 2.9. IX 단 272
      • 2.10. X 단 292
      • 2.11. XI 단 313
      • 2.12. XII 단 340
      • 2.13. XIII 단 363
      • III. 하바쿡 페쉐르 내 인용 본문의 이문 분석 370
      • 1. 이문 나열표 370
      • 2. 이문 분석 376
      • 2.1. 의미가 같은 이문 376
      • 2.1.1. 철자법에 따른 이문 376
      • 2.1.2. 문자의 혼동 377
      • 2.1.3. 탈락 377
      • 2.1.4. 특별한 상황 378
      • 2.2. 의미가 다른 이문 378
      • 2.2.1. 접속사의 유무 378
      • 2.2.2. 정관사의 유무 378
      • 2.2.3. 단어의 생략 378
      • 2.2.4. 다른 어휘가 사용된 경우 379
      • 2.2.5. 동일한 어휘이나 변화가 다른 경우 379
      • 2.2.6. 접미사의 유무 379
      • 2.2.7. 접미사 수의 차이 379
      • 결 론 380
      • 부록: 인용 본문 대조표 384
      • 참고문헌 421
      • Abstract 43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