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남 농악과 사물놀이의 별달거리를 활용한 초등 타악 교육 방안 = A Plan for Traditional Percussion Education Utilizing "Byeoldalgeori" in Elementary Schoo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5798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yeoldalgeori" is a rearranged piece based on Yeongnam nongak . Not only Jinju-Samcheonpo nongak's "Byeolgutnori", which is directly mentioned as the background of the creation of "Byeoldalgeori", but also Geumneung Bitnae nongak's "Panan dadeuraegi (sorigut)" are closely related to "Byeoldalgeori".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musical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between the three musical pieces and examines musical expressions of the percussions shown in nongak (also called pungmul; percussion ensemble music) and samulnori (a modernized version of pungmul). Thus, it aims to find educational plans that can be used for elementary students to learn traditional percussions.
      In order to examine the musical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samulnori and nongak, this study divides the entire piece into instrumental and vocal elements to explore musical characteristics and effects. In addition, it grasps the structure of the jangdan (rhythmic patterns) by identifying it with sobak (lit. small beat; subdivided beat) and bak (beat) according to the rhythmic structure, and analyzes phrases and whole pieces based on the rhythmic type.
      As a result, the musical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are derived as follows.
      First of all, both nongak and samulnori include vocal and instrumental elements, which are arranged in a balanced way, based on hwimori jangdan (four beats with duple subdivisions). Vocal elements include lines, slogans, and rhymes, each of which plays a role of giving signals, praying for wishes, and conveying daily situations, respectively, enriching the contents of the music. The rhythm patterns of hwimori jangdan can be seen as variations, and they form a musical phrases such as a type of one jangdan (one jangdan periodically), a type of dual jangdans (two contrasting jangdans periodically), and a stereotyped type (the fixed number of jangdans with the fixed rhythmic patterns and order periodically). The style ofcall and response and the style according to hanbae (tempo) in an entire piece are found.
      This study proposes an educational plan using the musical expressions of Korean traditional percussion music. First, in terms of vocal elements, learners can express various contents in slogans, and rhymes to match hwimori jangdan. Second, in terms of instrumental elements, they can learn various rhythm patterns of hwimori jangdan and then make various musical phrases combining them in a new way.
      Third, they can properly arrange vocal and instrumental elements and introduce the style of call and response to make the entire piece well-structured. Lastly, they can properly utilize the function of conventional hwimori jangdan to realize the form according to hanbae in the entire piece
      번역하기

      "Byeoldalgeori" is a rearranged piece based on Yeongnam nongak . Not only Jinju-Samcheonpo nongak's "Byeolgutnori", which is directly mentioned as the background of the creation of "Byeoldalgeori", but also Geumneung Bitnae nongak's "Panan dadeuraegi ...

      "Byeoldalgeori" is a rearranged piece based on Yeongnam nongak . Not only Jinju-Samcheonpo nongak's "Byeolgutnori", which is directly mentioned as the background of the creation of "Byeoldalgeori", but also Geumneung Bitnae nongak's "Panan dadeuraegi (sorigut)" are closely related to "Byeoldalgeori".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musical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between the three musical pieces and examines musical expressions of the percussions shown in nongak (also called pungmul; percussion ensemble music) and samulnori (a modernized version of pungmul). Thus, it aims to find educational plans that can be used for elementary students to learn traditional percussions.
      In order to examine the musical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samulnori and nongak, this study divides the entire piece into instrumental and vocal elements to explore musical characteristics and effects. In addition, it grasps the structure of the jangdan (rhythmic patterns) by identifying it with sobak (lit. small beat; subdivided beat) and bak (beat) according to the rhythmic structure, and analyzes phrases and whole pieces based on the rhythmic type.
      As a result, the musical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are derived as follows.
      First of all, both nongak and samulnori include vocal and instrumental elements, which are arranged in a balanced way, based on hwimori jangdan (four beats with duple subdivisions). Vocal elements include lines, slogans, and rhymes, each of which plays a role of giving signals, praying for wishes, and conveying daily situations, respectively, enriching the contents of the music. The rhythm patterns of hwimori jangdan can be seen as variations, and they form a musical phrases such as a type of one jangdan (one jangdan periodically), a type of dual jangdans (two contrasting jangdans periodically), and a stereotyped type (the fixed number of jangdans with the fixed rhythmic patterns and order periodically). The style ofcall and response and the style according to hanbae (tempo) in an entire piece are found.
      This study proposes an educational plan using the musical expressions of Korean traditional percussion music. First, in terms of vocal elements, learners can express various contents in slogans, and rhymes to match hwimori jangdan. Second, in terms of instrumental elements, they can learn various rhythm patterns of hwimori jangdan and then make various musical phrases combining them in a new way.
      Third, they can properly arrange vocal and instrumental elements and introduce the style of call and response to make the entire piece well-structured. Lastly, they can properly utilize the function of conventional hwimori jangdan to realize the form according to hanbae in the entire pie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별달거리는 영남 농악을 바탕으로 재구성한 악곡이다. 별달거리의 생성배경으로 직접 거론되는 진주삼천포농악의 ‘별굿놀이’ 뿐만 아니라 금릉빗내농악의 ‘판안다드래기(소리굿)’도 별달거리와 서로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세악곡 사이의 음악적 구성 및 특징을 살펴보고 비교・분석하여 농악과 사물놀이에서 드러나는 타악 음악 어법을 검토한 후 초등국악 타악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교육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사물놀이와 농악의 음악적 구성과 특징을 살펴보기위해 악곡 전체를 기악적 요소와 성악적 요소로 나누어 음악적 특징과 효과를 탐색하였다. 또한 박자구조에 따라 소박과 박으로구분하여 장단의 구조를 파악하고 가락유형을 기준으로 악구와 전체 악곡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출된 음악적 구성과 특징은다음과 같다. 농악과 사물놀이 모두 2소박 4박의 휘모리장단을 기반으로 성악적 요소와 기악적 요소로 이루어져 있고 두 요소를 적절히 배치하였다. 성악적 요소에는 대사, 구호, 말장단이 있는데 각각 안내하는 신호 역할, 소망을 기원하는 역할, 일상적상황을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악곡의 내용을 더욱 풍성하게 하였다. 휘모리의 장단꼴들은 변주 양상으로 볼 수 있으며단독 혹은 2개 이상이 결합하여 외장단형, 대비형, 가진형 등의 악구를 형성하였다. 전체 악곡 상 주고받는 형식과 한배에 따른형식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국악 타악의 음악 어법을 활용한 교육방안을 제안하였다. 첫째, 성악적 요소 측면에서학습자는 구호나 말장단에 여러 내용을 담아 휘모리장단에 어울리도록 표현할 수 있다. 둘째, 기악적 요소 측면에서 학습자는휘모리의 여러 장단꼴들을 익히고 이들을 새롭게 구성하여 다양한 악구를 만들 수 있다. 셋째, 학습자는 성악적 요소와 기악적요소를 적절하게 배치하고 주고받는 형식까지 도입하여 전체 악곡을 짜임새 있게 만들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학습자는 관습적인휘모리 가락의 기능을 적절히 활용하여 전체 악곡에서 한배에 따른 형식을 구현할 수 있다.
      번역하기

      별달거리는 영남 농악을 바탕으로 재구성한 악곡이다. 별달거리의 생성배경으로 직접 거론되는 진주삼천포농악의 ‘별굿놀이’ 뿐만 아니라 금릉빗내농악의 ‘판안다드래기(소리굿)’도 ...

      별달거리는 영남 농악을 바탕으로 재구성한 악곡이다. 별달거리의 생성배경으로 직접 거론되는 진주삼천포농악의 ‘별굿놀이’ 뿐만 아니라 금릉빗내농악의 ‘판안다드래기(소리굿)’도 별달거리와 서로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세악곡 사이의 음악적 구성 및 특징을 살펴보고 비교・분석하여 농악과 사물놀이에서 드러나는 타악 음악 어법을 검토한 후 초등국악 타악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교육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사물놀이와 농악의 음악적 구성과 특징을 살펴보기위해 악곡 전체를 기악적 요소와 성악적 요소로 나누어 음악적 특징과 효과를 탐색하였다. 또한 박자구조에 따라 소박과 박으로구분하여 장단의 구조를 파악하고 가락유형을 기준으로 악구와 전체 악곡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출된 음악적 구성과 특징은다음과 같다. 농악과 사물놀이 모두 2소박 4박의 휘모리장단을 기반으로 성악적 요소와 기악적 요소로 이루어져 있고 두 요소를 적절히 배치하였다. 성악적 요소에는 대사, 구호, 말장단이 있는데 각각 안내하는 신호 역할, 소망을 기원하는 역할, 일상적상황을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악곡의 내용을 더욱 풍성하게 하였다. 휘모리의 장단꼴들은 변주 양상으로 볼 수 있으며단독 혹은 2개 이상이 결합하여 외장단형, 대비형, 가진형 등의 악구를 형성하였다. 전체 악곡 상 주고받는 형식과 한배에 따른형식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국악 타악의 음악 어법을 활용한 교육방안을 제안하였다. 첫째, 성악적 요소 측면에서학습자는 구호나 말장단에 여러 내용을 담아 휘모리장단에 어울리도록 표현할 수 있다. 둘째, 기악적 요소 측면에서 학습자는휘모리의 여러 장단꼴들을 익히고 이들을 새롭게 구성하여 다양한 악구를 만들 수 있다. 셋째, 학습자는 성악적 요소와 기악적요소를 적절하게 배치하고 주고받는 형식까지 도입하여 전체 악곡을 짜임새 있게 만들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학습자는 관습적인휘모리 가락의 기능을 적절히 활용하여 전체 악곡에서 한배에 따른 형식을 구현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문화부, "한국의 민속예술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33년사" 문화부 1992

      2 이혜구, "한국음악이론" 민속원 2005

      3 국립국악원, "한국음악 제27집 사물놀이" 국립국악원 1992

      4 장기범, "초등학교 음악 6" ㈜ 미래엔 2019

      5 김애경, "초등학교 음악 6" 천재교육 2019

      6 석문주, "초등학교 음악 5 교과서" 동아출판 2019

      7 허정미, "초등학교 음악 5" 지학사 2019

      8 홍종건, "초등학교 음악 5" 와이비엠 2019

      9 김용희, "초등학교 음악 3" ㈜ 금성출판사 2018

      10 조순이, "초등학교 음악 3" 비상교육 2018

      1 문화부, "한국의 민속예술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33년사" 문화부 1992

      2 이혜구, "한국음악이론" 민속원 2005

      3 국립국악원, "한국음악 제27집 사물놀이" 국립국악원 1992

      4 장기범, "초등학교 음악 6" ㈜ 미래엔 2019

      5 김애경, "초등학교 음악 6" 천재교육 2019

      6 석문주, "초등학교 음악 5 교과서" 동아출판 2019

      7 허정미, "초등학교 음악 5" 지학사 2019

      8 홍종건, "초등학교 음악 5" 와이비엠 2019

      9 김용희, "초등학교 음악 3" ㈜ 금성출판사 2018

      10 조순이, "초등학교 음악 3" 비상교육 2018

      11 김혜정, "초등 음악교육에서의 농악 교육 현황과 개선방안" 남도민속학회 (44) : 75-100, 2022

      12 김현숙, "진주삼천포농악" 화산문화 2002

      13 국립무형유산원, "진주삼천포농악" 국립무형유산원

      14 최병삼, "원리에서 연주까지 사물놀이 배우기" 학민사 2000

      15 "서울마당놀이"

      16 김한복, "삼도농악과 사물놀이 가락 변화 양상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0

      17 문화재관리국, "무형문화재조사보고서 제2집" 문화재관리국 1965

      18 김정헌, "농악의 노래굿에 관한 고찰" 한국공연문화학회 15 (15): 33-64, 2007

      19 김현숙, "농악에서 채보와 분석의 문제" 한국국악학회 19 : 1991

      20 이보형, "농악 장단의 종류와 분류체계" 한국전통음악학회 4 : 2003

      21 김정헌, "남원농악" 민속원 2014

      22 김헌선, "금릉빗내농악" 민속원 2016

      23 "국악방송 특별기획 농악인의 날 선포기념 ‘농악축제’ 김천금릉빗내농악"

      24 양옥경, "경상북도 중부 내륙지방 농악의 예능적 특성-김천 빗내농악과 대구 비산농악을 중심으로-" 2014

      25 金鉉淑, "湖南左道農樂에 關한 硏究" 서울大學校 大學院 1988

      26 "2021 온라인 빗내농악 상설공연 1부"

      27 "2012년 10월 12일 제53회 전국민속예술축제의 초청 공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