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익두, "호남좌도 풍물굿 : 전북대학교 박물관 총서 12" 전북대학교 박물관 1994
2 김익두, "호남우도 풍물굿 : 전라문화총서 5" 전북대학교 전라문화연구소 1994
3 홍현식, "호남농악" 문화재관리국 1967
4 시지은, "호남 우도 농악 판굿의 구성 원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3
5 황경숙, "한국의 벽사의례와 연희문화" 월인 2000
6 신용하, "한국사회사연구 2" 한길수 1984
7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 13: 농악・풍어제・민요 편" 문화재관리국 1982
8 김익두, "풍물굿의 공연원리와 연행적 성격" 한국민속학회 27 : 1995
9 이영배, "풍물굿 연구의 심화를 위한 제언-풍물굿 연구담론의 위상 점검과 새로운 방향 모색-" 한국민속학회 39 : 303-336, 2004
10 "평택농악(중요무형문화재 제11-나호)" 국립문화재연구소 1996
1 김익두, "호남좌도 풍물굿 : 전북대학교 박물관 총서 12" 전북대학교 박물관 1994
2 김익두, "호남우도 풍물굿 : 전라문화총서 5" 전북대학교 전라문화연구소 1994
3 홍현식, "호남농악" 문화재관리국 1967
4 시지은, "호남 우도 농악 판굿의 구성 원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3
5 황경숙, "한국의 벽사의례와 연희문화" 월인 2000
6 신용하, "한국사회사연구 2" 한길수 1984
7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 13: 농악・풍어제・민요 편" 문화재관리국 1982
8 김익두, "풍물굿의 공연원리와 연행적 성격" 한국민속학회 27 : 1995
9 이영배, "풍물굿 연구의 심화를 위한 제언-풍물굿 연구담론의 위상 점검과 새로운 방향 모색-" 한국민속학회 39 : 303-336, 2004
10 "평택농악(중요무형문화재 제11-나호)" 국립문화재연구소 1996
11 鄭銀英, "충청웃다리 풍물굿에 관한 연구" 檀國大學校 大學院 1997
12 "진주삼천포농악(중요무형문화재 제11-가호)" 화산문화 2002
13 함화진, "조선음악소사" 민학사 1975
14 송기태, "전승현장에서 본 마을농악의 가치 -전남 남해안지역을 중심으로-" 도서문화연구원 (52) : 181-210, 2018
15 송기태, "전남 남해안 마을풍물굿 연구" 목포대학교 대학원 2011
16 박혜영, "잡색의 연행과 전승이 지닌 풍물사적 의미" 안동대학교 대학원 2014
17 이영배, "이경화 풍물 예능의 문화적 혼종성과 그 의미" 한국학연구소 (42) : 261-295, 2012
18 송석하, "석남 송석하: 한국 민속의 재음미 상" 국립민속박물관 2004
19 김인우, "민족과 굿" 학민사 1987
20 송기태, "마을농악의 전승구도 변화와 현실 대응 -전남 남해안지역 마을농악을 중심으로-" 한국공연문화학회 (30) : 321-356, 2015
21 임재해 ; 박혜영, "마을굿에서 풍물의 기능과 제의 양식의 변화" 비교민속학회 (35) : 239-286, 2008
22 송기태, "마을굿에서 풍물굿의 제의수행과 구조-전남 완도지역을 중심으로-" 남도민속학회 (17) : 165-215, 2008
23 박혜영, "마을 안팎의 풍물판과 유래담의 풍물사적 연맥-경북 안동 가송(街松)과 수동(水洞) 마을을 중심으로-" 남도민속학회 (27) : 47-85, 2013
24 김혜정, "마당밟이의 가락구성과 그 원리-전남 화순군 이서면 보월리의 마당밟이굿을 중심으로-" 남도민속학회 (7) : 53-73, 2001
25 이병호, "농악의 채에 대한 음악적고찰" 한국민속학회 2 : 1970
26 정병호, "농악의 예능적 특성" 중앙대학교예술연구소 3 : 1983
27 한상수, "농악의 변천과정 연구" 대전대학교 국어국문학회 18 : 2001
28 한상수, "농악의 기원에 관한 고찰" 대전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6 : 1998
29 박진태, "농악대 잡색놀이의 연극성과 제의성" 한국민속학회 29 : 1997
30 송기태, "농악 전승집단의 새로운 생태계 구축과 예능 복원․ 재현의 가치 -고창농악보존회의를 주목하며-" 남도민속학회 (39) : 201-234, 2019
31 정병호, "농악" 열화당 1986
32 유무열, "농악" 민족문화문고간행회 1986
33 정병호, "놀이문화와 축제"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96
34 김혜정, "광산농악의 지역적 기반과 가락 구성" 남도민속학회 (23) : 7-24, 2011
35 손태도, "광대의 가창문화" 집문당 2003
36 이정욱, "공주지역 ‘열두대정이’ 두레공동체의 ‘칠석민속’ 연구" 안동대학교 2017
37 김원호, "경기도의 풍물굿" 경기문화재단 2001
38 시지은, "경기 농사풀이농악과 웃다리농악의 상관성 연구 : 양주농악과 평택농악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8
39 시지은, "강릉농악의 성격 재고찰" 국립민속박물관 (48) : 175-198, 2021
40 "강릉농악(중요무형문화재 제11-라호)"
41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 1~11" 문화재관리국 19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