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뉴욕 메트로폴리탄미술관 소장 트뤼브너 조상비(造像碑, the Trübner Stele)의 진위 논쟁 재고(1) ―조상기(造像記)와 문헌 및 금석학적 자료를 중심으로 = Reconsideration of the Authenticity over the Trübner Stele (I): Focusing on the Dedicatory Inscription and the Literary and Epigraphic Evidence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미국 뉴욕의 메트로폴리탄미술관(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내 아시아관에는 높이가 308cm에 달하는 대형 불교 조상비가 전시되어 있다. 이 조상비는 〈트뤼브너 조상비(the Trübner stele)〉로 불...

      미국 뉴욕의 메트로폴리탄미술관(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내 아시아관에는 높이가 308cm에 달하는 대형 불교 조상비가 전시되어 있다. 이 조상비는 〈트뤼브너 조상비(the Trübner stele)〉로 불리는데, 이전 소장자였던 외르그 트뤼브너(Jörg Trübner, 1902?-1930)의 성을 따서 붙여진 것이다. 명문에 의하면 이 조상비는 북위(北魏) 영희(永熙) 2년(533)에 제작되기 시작했으며, 동위(東魏) 무정(武定) 원년(元年, 543)에 완성된 것으로 보인다. 〈트뤼브너 조상비〉는 구미의 여러 유명 미술관에 소장된 중국 불교 조각들 중에 가장 논의가 분분한 예 중 하나이다. 이 조상비는 6세기 불교 조각의 가장 중요한 명작으로 높이 평가받기도 했으며, 동시에 20세기 초의 위작이라고 폄하되기도 하였다. 특히 〈트뤼브너 조상비〉 정면의 많은 부분이 보수되면서 원형을 잃고 다시 조각되었다며 그 의미가 축소되기도 했다.
      〈트뤼브너 조상비〉를 둘러싼 논란을 해결하려는 시도는 간단하지 않지만, 중국 불교미술 연구사에 있어서뿐만 아니라 구미(歐美)의 중국 조각 컬렉션의 역사와 의미를 조명하는 데 있어서도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작업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질 수 있다. 먼저 이 조상비의 정면과 뒷면에 새겨진 조상기와 여러 제명(題名)들을 6세기 중엽의 역사적, 지리적 상황과 대조해 보는 것이다. 다음은 조상비에 새겨진 불·보살상의 도상과 양식, 조각의 주제 및 화면 구성과 배치 등을 마찬가지로 6세기 중엽 전후 중국의 불교 석굴, 조상비 및 단독 조상(造像) 등에 나타난 시각적 요소들과 비교함으로써 미술사적으로 면밀하게 검토하는 것이다.
      이 조상비의 정면 조각의 표현에 대해서는 진위 여부에 논란이 많았다. 반면 이와 대조적으로 조상기의 내용 및 서체(書體)에는 그간 특별히 논란이 제기되지 않았다. 그러나 이 조상비를 건립한 주요 공양자(供養者), 이와 관련된 이 조상비의 명칭, 그리고 이 조상비가 원래 세워졌던 지역 및 사원명(寺院名) 등과 관련해서 논란이 있는 부분이 적지 않으므로, 조상기의 내용을 자세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본고는 〈트뤼브너 조상비〉의 명문을 자세히 조사하여, 기록된 공양자의 인명과 관직명, 그리고 원래 위치에 관해 알려 줄 수 있는 지명 등이 6세기 중엽의 역사적, 지리적 상황과 잘 부합된다는 사실을 밝힌 글이다. 따라서 이 조상비의 명문 부분만으로 판단한다면 〈트뤼브너 조상비〉는 6세기 중엽경에 제작된 진작(眞作)으로 보아도 무방할 것으로 생각된다. 다만, 〈트뤼브너 조상비〉를 건립하는 데에 가장 중요하게 기여한 공양자가 누구인지에 대해서는 이도찬(李道贊), 혁련자열(赫連子悅), 무맹종사(武猛從事) 등 다양한 의견이 있다. 이 조상비의 원래 위치 및 관련 사원에 대해서도 이견이 있으나, 대체로 하남 북부의 기현(淇縣) 부근으로 그 범위를 좁혀볼 수 있다.
      조상기와 제명 등 조상비에 기록된 명문은 6세기 중엽 무렵의 역사적 상황에 대한 기록을 잘 담고 있다. 이 명문이 틀림없이 6세기 중엽경 제작된 진작으로 판단됨에 따라 〈트뤼브너 조상비〉의 진위 문제 중 절반 정도는 해결된 셈이다. 그러나 이러한 명문 관련 논의의 진행만으로는 이 조상비의 진위 문제를 완전히 해결할 수는 없다. 따라서 〈트뤼브너 조상비〉의 진위에 대한 논란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조상비에 새겨진 불·보살상과 여러 인물들 및 장식 요소 등을 미술사적으로 상세히 분석해야 한다. 필자는 〈트뤼브너 조상비〉는 6세기 중엽경에 제작된 원작이 이후 어느 시기엔가 보수되면서 재조각되어 다시 봉안된 것일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한다. 이에 대해 필자는 별고를 통해 다룰 생각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large Buddhist stele, called “the Trubner stele” named after Jorg Trubner (1902-1930), its former owner and an art dealer, is displayed at the gallery for Chinese Buddhist art on the second floor of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in New York. Ac...

      A large Buddhist stele, called “the Trubner stele” named after Jorg Trubner (1902-1930), its former owner and an art dealer, is displayed at the gallery for Chinese Buddhist art on the second floor of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in New York. According to the inscription carved on the front and obverse sides of the stele, its creation began in 533 during the Northern Wei dynasty (386- 534) and was completed in 543 during the Eastern Wei dynasty (534-550). The Trubner stele is one of the most controversial Chinese Buddhist sculptures housed in several renowned art museums in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It has been highly acclaimed as the most important masterpiece among Chinese Buddhist sculptures from the sixth century, disparaged as a forgery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or even disregarded for having been considerably recut and restored.
      The effort to resolve the controversy surrounding the Trubner stele is not that simple, but the issue is crucial not only in the history of Chinese Buddhist art, but also in illuminating the history and contribution of the collections of Chinese sculptures in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Such investigation can be carried out in two main ways. The first is to compare the names of men who participated in the creation of the stele, their official titles, and place names carved in the dedicatory inscription of the stele to the historical and geographical circumstances of the mid-sixth century. Secondly, visual imageries carved on the stele, such as Buddhas, bodhisattvas, other figures, and ornamental elements should also be extensively investigated in terms of form, style, and iconography, using visual elements from Buddhist caves, Buddhist steles, and freestanding sculptures in China from the sixth century.
      In contrast to the controversy over the authenticity of the sculptures carved on the frontal surface of the stele, little question has been raised over the contents and calligraphic style of the stele’s inscription. However, it is essential to analyze the inscription, since there are many controversies concerning the main contributor of the stele, the original geographical location, and the temple wherein it was originally established. This paper investigates the dedicatory inscription on the Trubner stele and reveals that the names of patrons, their official titles, and place names are in good accordance with the historical and geographical circumstances of the mid-sixth century. Thus, it can be an important clue in locating the original location. Accordingly, this stele can be considered a genuine Buddhist sculpture produced in the midsixth century. However, there are various opinions on who contributed the most to the construction of the stele, including Li Daozan, Helian Ziyue, or the wumeng congshi. There is also disagreement about the original location of this stele and the associated temple, but it cannot be determined accurately at this point. In general, the area can be narrowed down to the northern part of the Henan province near Qi County.
      Since the dedicatory inscription carved on the stele reflects the historical situation of the mid-sixth century, the inscription itself can be regarded as a genuine work created at that time. Thus, at least half of the issue regarding the authenticity of the Trubner stele appears to be resolved. Nevertheless, these discussions over the dedicatory inscription alone does not fully address the issue of authenticity over the stele. In order to resolve the controversy, it is fundamental to closely examine Buddhist imageries and other visual elements carved on the stele.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genuine piece of the Trubner stele was created in the sixth century, but the frontal surface of the stele had been substantially damaged and thus had to be recarved and rededicated at some point to be the present form of the Trubner stele. I would like to proceed with this argument through a separate pape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康僧會, "六度集經"

      2 하정민, "텍스트에서 이미지로, 그리고 다시 이미지에서 텍스트로: 5-6세기 중국불비상(佛碑像)에 나타난 시각적 구현 방식의 변화"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0) : 28-67, 2017

      3 이기영, "유마경강의 하" 한국불교연구원 2000

      4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中國造像碑" 국립중앙박물관 2015

      5 김혜원,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中國造像碑" 국립중앙박물관 204-213, 2015

      6 北京魯迅博物館, "魯迅輯校石刻手稿" 上海書畫出版社 1987

      7 金申, "關於神王的探討" 1995 (1995): 55-62, 1995

      8 姚美玲, "邑義五百餘人造像碑研究" 25 : 72-82, 2017

      9 王景荃, "試論北朝佛敎造像碑" 6 : 36-37, 2000

      10 鳩摩羅什, "維摩詰所說經"

      1 康僧會, "六度集經"

      2 하정민, "텍스트에서 이미지로, 그리고 다시 이미지에서 텍스트로: 5-6세기 중국불비상(佛碑像)에 나타난 시각적 구현 방식의 변화"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0) : 28-67, 2017

      3 이기영, "유마경강의 하" 한국불교연구원 2000

      4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中國造像碑" 국립중앙박물관 2015

      5 김혜원,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中國造像碑" 국립중앙박물관 204-213, 2015

      6 北京魯迅博物館, "魯迅輯校石刻手稿" 上海書畫出版社 1987

      7 金申, "關於神王的探討" 1995 (1995): 55-62, 1995

      8 姚美玲, "邑義五百餘人造像碑研究" 25 : 72-82, 2017

      9 王景荃, "試論北朝佛敎造像碑" 6 : 36-37, 2000

      10 鳩摩羅什, "維摩詰所說經"

      11 長廣敏雄, "第3卷 彫塑" 講談社 1972

      12 范壽銘, "石刻史料新编, 第2辑 第20冊" 新文豐出版公司 14463-14482, 1979

      13 范壽銘, "石刻史料新编, 第2辑 第12冊" 新文豐出版公司 8951-9023, 1979

      14 顧燮光, "石刻史料新编, 第2辑 第12冊" 新文豐出版公司 8863-8884, 1926

      15 范壽銘, "石刻史料新编, 第2辑 第12冊" 新文豐出版公司 8885-8949, 1979

      16 繆荃孫, "石刻史料新编, 第1辑 第26冊" 新文豐出版公司 19519-19824, 1979

      17 陳漢章, "石刻史料新编 第2辑 第20冊" 新文豐出版公司 14482-14485, 1979

      18 趙萬里, "漢魏南北朝墓誌集釋" 新文豐出版公司 1986

      19 趙超, "漢魏南北朝墓誌彙編" 天津古籍出版社 2008

      20 范壽銘, "河朔古蹟圖識" 合衆圖書館 1943

      21 鍾稚鷗, "東魏〈邑義五百餘人造像碑〉考釋" 2009 (2009): 121-130,

      22 松本榮一, "敦煌畫の研究" 東方文化學院 1937

      23 大村西崖, "支那美術史雕塑篇" 佛書刊行會圖像部 1915

      24 聖堅, "太子須大拏經"

      25 常青, "圖像與真偽: 大都會藝術博物館藏圖伯納碑再思考" 20 : 163-212, 2018

      26 李百藥, "北齊書" 中華書局 1972

      27 정재균, "北朝시기 義邑造像記 자료의 성격과 가치" 중국고중세사학회 (54) : 1-47, 2019

      28 佐藤智水, "北朝造像銘考" 86 : 1421-1467, 1977

      29 顏娟英, "北朝佛教石刻拓片百品" 中央硏究院歷史語言硏究所 2008

      30 倉本尙德, "北朝佛敎造像銘硏究" 法藏館 2016

      31 李延壽, "北史" 中華書局 1974

      32 北京大學圖書館金石組, "北京大學圖書館藏歴代金石拓本菁華" 文物出版社 1998

      33 北京圖書館金石組, "北京圖書館藏中國歷代石刻拓本滙編" 中州古籍出版社 1991

      34 韓理洲, "全北魏東魏西魏文補遺" 三秦出版社 2010

      35 金申, "佛教美術叢考續編" 華齡出版社 2010

      36 金申, "佛敎美術叢考" 科學出版社 2004

      37 水野弘元, "佛典解題事典" 春秋社 1977

      38 劉淑芬, "五至六世紀華北鄕村的佛敎信仰" 63 : 497-544, 1993

      39 이시마츠 히나코(石松 日奈子), "中國의 佛敎 供養者像에 관하여 -北朝期의 作例를 중심으로-" 불교미술사학회 21 : 149-173, 2016

      40 孫迪, "中國流失海外佛教造像總合圖目 全10卷" 外文出版社 2005

      41 金申, "中國歷代紀年佛像圖典" 文物出版社 1994

      42 譚其驤, "中國歴史地圖集" 中國地圖出版社 1987

      43 楊泓, "中國大百科全書—考古學—" 中國大百科全書出版社 639-640, 1986

      44 石松日奈子, "中國仏教造像の供養者像—仏教美術史研究の新たな視點—" 55 : 364-377, 2006

      45 佐藤智水, "中國における初期の邑義について(中)" 46 : 181-237, 2007

      46 佐藤智水, "中國における初期の邑義について(下)" 51 : 105-139, 2012

      47 佐藤智水, "中國における初期の「邑義」について(上)" 45 : 77-113, 2006

      48 소현숙, "中國 南北朝時代 佛敎造像碑 연구" 동아시아고대학회 (47) : 107-137, 2017

      49 劉淑芬, "中古的佛敎與社會" 上海古籍出版社 2008

      50 郝春文, "东晋南北朝佛社首领考略" 1991 (1991): 49-58, 1991

      51 Leidy, Denise Party, "Wisdom Embodied: Chinese Buddhist and Daoist Sculpture in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Metropolitan Museum of Art; New Haven and London: Yale University Press 2010

      52 Leidy, Denise Party, "Wisdom Embodied: Chinese Buddhist and Daoist Sculpture in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Metropolitan Museum of Art; New Haven and London: Yale University Press 189-197, 2010

      53 Hsu, Eileen Hsiang-Ling, "The Trübner Stele Re-Examined: Epigraphic and Literary Evidence" 67 : 177-199, 2007

      54 Ho, Wai-Kam, "The Trubner Stele" 20 : 16-27, 2001

      55 Bunker, Emma C, "The Style of the Trü bner Stele" 19 : 26-32, 1965

      56 Bunker, Emma C, "The Sprit Kings in Sixth Century Chinese Buddhist Sculpture" 18 : 26-37, 1964

      57 Lippe, Aschwin, "The Date of the Trübner Stele" 19 : 61-62, 1965

      58 Sickman, Laurence, "The Art and Architecture of China" Harmondsworth:Penguin Books 1971

      59 Kümmel, Otto, "Jörg Trübner zum Gedächtnis" Klinkhardt & Biermann 1930

      60 Chang, Qing, "Genuine or Forged: Methods of Identifying Forgeries of Chinese Buddhist Sculptures" 36 : 78-109, 2009

      61 Bunker, Emma C, "Early Chinese Representations of Vimalakrti" 30 : 28-52, 1968

      62 Salmony, Alfred, "Dr Jörg Trübner" 3 : 235-238, 1928

      63 Wong, Dorothy C, "Chinese Steles: Pre-Buddhist and Buddhist Use of a Symbolic Form"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4

      64 Priest, Alan, "Chinese Sculpture in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1944

      65 Ganza, Kenneth, "A Forged Buddhist Stele Inscription as a Case Study in Chinese Epigraphy" 111 : 512-522, 1991

      66 Priest, Alan, "A Chinese Stele" 25 : 234-239, 1930

      67 소현숙, "6世紀 北朝의 宗敎造像과 鄕村景觀 ― 銘文 分析을 통해 본 公共的 佛道造像碑의 立地와 性格 ―" 중국고중세사학회 (42) : 365-396, 2016

      68 侯旭東, "5·6世紀北方民衆佛敎信仰 : 以造像記爲中心的考察" 中國社會科學出版社 2015

      69 정재균, "5-6世紀 中國 造像記 자료 및 연구 성과의 소개와 과제" 중국고중세사학회 (44) : 87-113,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7 0.37 0.4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6 0.45 0.903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