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COPUS KCI등재 SCIE

      만성 신부전 환자에서 Methylenetetrahydrofolate reductase (MTHFR)유전자 다형성이 고호모시스테인혈증과 말초혈관 동맥경화에 미치는 영향: 만성 신부전 환자에서 MTHFR 유전자 다형성의 의미 MTHFR 유전자 다형성과 말초혈관 동맥경화의 연관성 = Methylenetetrahydrofolate Reductase (MTHFR) Polymorphism in Korean Chronic Renal Failure Patients: Impacts on Hyperhomocysteinemia and Peripheral Atherosclerosis만성 신부전 환자에서 Methylenetetrahydrofolate reductase (MTHFR)유전자 다형성이 고호모시스테인혈증과 말초혈관 동맥경화에 미치는 영향: 만성 신부전 환자에서 MTHFR 유전자 다형성의 의미 MTHFR 유전자 다형성과 말초혈관 동맥경화의 연관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0449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최근에 신부전 환자들의 심혈관 질환의 발생은 혈중 호모시스테인 농도와 관련이 없고 5, 10-Methylenetetrahydrofolate reductase (MTHFR) C677T 유전자 다형성과 관련이 있다는 보고가 나오고 있다. ...

      목적: 최근에 신부전 환자들의 심혈관 질환의 발생은 혈중 호모시스테인 농도와 관련이 없고 5, 10-Methylenetetrahydrofolate reductase (MTHFR) C677T 유전자 다형성과 관련이 있다는 보고가 나오고 있다. MTHFR 유전자 다형성이 혈중 호모시스테인의 농도를 증가시킨다는 기존의 의미 외에, 그 자체가 죽상동맥경화증이나 심혈관계 질환의 독립적인 위험인자가 될지는 매우 흥미로운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만성 신부전 환자에서 MTHFR 유전자 다형성을 조사하여 혈장 호모시스테인 농도, 말초혈관의 동맥경화증 등과의 연관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이화의료원에서 2004년 7월에서 2005년 6월까지 신장내과에 입원한 중등도 이상 (GFR 30 mL/min 미만)의 만성 신부전 환자 128명의 MTHFR 유전자형을 standard PCR/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를 이용하여 분석 하였고, Doppler 혈압측정기를 이용하여 ankle brachial index (ABI)를 측정하였다. 환자들의 혈액을 채취하여 호모시스테인, 엽산, 비타민 B12 등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종합검진을 위해 내원한 사람들 중 신장 기능에 이상이 없는 170명을 대상으로 혈액 채취를 하여 MTHFR 유전자 다형성을 환자군과 같은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1) 한국인 만성 신부전 환자에서 MTHFR 677유 전자형의 분포는 CC (33.6%), CT (47.7%), TT (18.7%)로 나타났고 이는 신기능이 정상인 군과 차이가 없었고, TT형에서 CC형에 비해 혈장 호모시스테인 농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p<0.05). 2) 만성 신부전환자의 MTHFR 1298 유전자형의 분포는 AA (63.78%), AC (33.07%), CC (3.15%)로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고, 유전자형에 따른 혈장 호모시스테인 농도의 차이가 없었다 (p=0.2063). 3) ABI 수치와 혈장 호모시스테인 농도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4) 혈장 호모시스테인 농도는 비타민 B12, 엽산 농도와 각각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각각 r=-0.305, r=-0.293, p<0.001). 5) 전체 환자군에서 ABI에 영향을 주는 인자로 볼 수 있는 당뇨, 고혈압, 55세 이상, 흡연력, 심혈관 질환, 투석 기간, 투석 방법, 혈장 호모시스테인 농도를 보정하여 로지스틱스 회귀분석한 결과 MTHFR 677 유전자형이 TT인 군에서 말초 혈관질환을 의심할 수 있는 ABI<0.9일 위험도는 CC군에 비해 위험도가 3.226 이었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1435). 6) 투석환자군에서 ABI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분석하였을 때 단변량 회귀분석 결과 MTHFR 677 TT 유전형이 ABI와 음의 상관 관계를 보이는 경향이었으나 (p=0.053), 다변량 회귀분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의미는 없었다. 결론: 한국인에서 만성 신부전 환자와 대조군 사이에 MTHFR 유전자 다형성에는 차이가 없었다. MTHFR 677 TT 유전자 변형이 고호모시스테인혈증과 연관이 있었으나 이 두 가지 모두 말초혈관 질환의 위험성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이 없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Recently, many studies have investigated that Methylenetetrahydrofolate Reductase (MTHFR) polymorphism may be not a only cause for hyperhomocysteinemia, but also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cardiovascular disease or atherosclerosis in rena...

      Purpose: Recently, many studies have investigated that Methylenetetrahydrofolate Reductase (MTHFR) polymorphism may be not a only cause for hyperhomocysteinemia, but also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cardiovascular disease or atherosclerosis in renal failure patients. In this study, we analyzed MTHFR polymorphisms in chronic renal failure (CRF) patients, and investigated relationship between MTHFR polymorphism and peripheral atherosclerosis. Methods: One hundred twenty eight CRF patients with GFR<30 mL/min were enrolled. We analyzed their MTHFR polymorphism by standard PCR/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and measured their ankle brachial index (ABI) using blood pressure cuff and Doppler stethoscope. Plasma homocysteine, vitamin B12, and folic acid levels were measured. 170 healthy peoples were enrolled for control group. Results: The distribution of MTHFR 677 polymorphism of CRF patients was as follows: CC genotype, 33.6%; CT, 47.7% and TT 18.7%. Plasma homocysteine concentration was higher in TT group than in CC group (p<0.05). The distribution of MTHFR 1298 polymorphism of CRF patients was as follows: AA type, 63.78%; AC, 33.07% and CC 18.7%. The distributions of MTHFR polymorphisms in control group were not different from patients group, respectively. There was no definite correlation between ABI and plasma homocysteine concentration. A trend of lower ABI in TT type compared with CC type within CRP patients group, but no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hown. Conclusions: No difference of the distribution of MTHFR polymorphism was noted between CRF patients and healthy population. In CRF patients, MTHFR C677T mutation was closely associated with hyperhomocysteinemia, but both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to peripheral arterial disease.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