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북한 고중 『국어』 및 『문학』과 중국 조선족 『조선어문』 수록 시의 비교 고찰 = A Comparative Study of Poems in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Textbooks for Higher Middle School in North Korea, And Writing And Language of Joseon from the Korean-Chines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785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1996년 교육과정의 개편에 따라 최근 간행된, 북한 고중 『국어』 및 『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시들을 대상으로 그 특질을 고찰하는 데에 일차적 목표를 두고 있다. 김일성 사후 김정일 우상화 작업이 본격화된 시점에 개편된 이들 교재에 실린 시들을 분류 및 분석하여 그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 것이다. 그래서 여기 수록된 작품들은 남한의 중학교 및 고등학교 『국어』 또는 『문학』 교과서뿐만 아니라 중국 조선족 초중 및 고중 『조선어문』 교재에 실린 시들과도 많은 차이를 보인다는 점을 알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적으나마 남아 있는, 분단 이전의 남북한 공유 작품을 비롯하여 신편 『조선어문』에 새로 수록된 남한 교과서의 시 작품은, 통일 시대 『국어』와 『문학』 책이 어떻게 엮어질 수 있는가를 미리 짐작할 수 있게 해 준다는 면에서 의미가 있다.
      번역하기

      본고는, 1996년 교육과정의 개편에 따라 최근 간행된, 북한 고중 『국어』 및 『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시들을 대상으로 그 특질을 고찰하는 데에 일차적 목표를 두고 있다. 김일성 사후 김...

      본고는, 1996년 교육과정의 개편에 따라 최근 간행된, 북한 고중 『국어』 및 『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시들을 대상으로 그 특질을 고찰하는 데에 일차적 목표를 두고 있다. 김일성 사후 김정일 우상화 작업이 본격화된 시점에 개편된 이들 교재에 실린 시들을 분류 및 분석하여 그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 것이다. 그래서 여기 수록된 작품들은 남한의 중학교 및 고등학교 『국어』 또는 『문학』 교과서뿐만 아니라 중국 조선족 초중 및 고중 『조선어문』 교재에 실린 시들과도 많은 차이를 보인다는 점을 알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적으나마 남아 있는, 분단 이전의 남북한 공유 작품을 비롯하여 신편 『조선어문』에 새로 수록된 남한 교과서의 시 작품은, 통일 시대 『국어』와 『문학』 책이 어떻게 엮어질 수 있는가를 미리 짐작할 수 있게 해 준다는 면에서 의미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to prepare for consideration the peculiarity designed for poems with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textbooks for higher middle school recently published by reforming the curriculum in North Korea in 1996. The poems in their restructured text mean to be sorted out and analyzed their quality from this point of time they get down to making an idol of Kim Jong-il after Kim Il-sung died. And the works contained in here show a huge difference in the poems in the textbook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textbooks for middle & high school in South Korea in addition to those of writing and language of Joseon for middle and higher middle school of the Korean-Chinese people residing in China. And yet, the common works with North and South Korea which exist a little before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have a feeling to presume early how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textbooks will be compiled in unification epoch.
      번역하기

      This paper is to prepare for consideration the peculiarity designed for poems with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textbooks for higher middle school recently published by reforming the curriculum in North Korea in 1996. The poems in their restructured...

      This paper is to prepare for consideration the peculiarity designed for poems with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textbooks for higher middle school recently published by reforming the curriculum in North Korea in 1996. The poems in their restructured text mean to be sorted out and analyzed their quality from this point of time they get down to making an idol of Kim Jong-il after Kim Il-sung died. And the works contained in here show a huge difference in the poems in the textbook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textbooks for middle & high school in South Korea in addition to those of writing and language of Joseon for middle and higher middle school of the Korean-Chinese people residing in China. And yet, the common works with North and South Korea which exist a little before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have a feeling to presume early how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textbooks will be compiled in unification epoch.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영천, "형상과 비전" 소명출판 2008

      2 김재홍, "한국현대시인연구" 일지사 1986

      3 황규수, "한국 현대시와 만주체험" 한국학술정보 2009

      4 이승하, "한국 시문학의 빈터를 찾아서" 푸른사상사 2006

      5 이인제, "통일 한국의 국어 교육과 교육 과정 통합의 방향" 한국어교육학회 (117) : 173-228, 2005

      6 김용은, "초·고중 문학 교수에서의 작품" 교육도서출판사 1958

      7 尹永川, "중국조선족 初?高中學校 詩敎育에 대하여-北韓 高等中學校 詩敎育의 영향과 관련하여-"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0 (30): 277-298, 2002

      8 윤해연, "중국에서의 한국어문학 교육의 문제점과 그 해법 in: 동아시아한국학입문" 역락 237-255, 2008

      9 홍정선, "중국 조선족문학에 미친 중국문학과 북한문학의 영향 연구" 국학자료원 26 : 202-244, 2003

      10 이종순, "중국 조선족 문학교육 연구-중․고등학교 조선어문과목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2002

      1 윤영천, "형상과 비전" 소명출판 2008

      2 김재홍, "한국현대시인연구" 일지사 1986

      3 황규수, "한국 현대시와 만주체험" 한국학술정보 2009

      4 이승하, "한국 시문학의 빈터를 찾아서" 푸른사상사 2006

      5 이인제, "통일 한국의 국어 교육과 교육 과정 통합의 방향" 한국어교육학회 (117) : 173-228, 2005

      6 김용은, "초·고중 문학 교수에서의 작품" 교육도서출판사 1958

      7 尹永川, "중국조선족 初?高中學校 詩敎育에 대하여-北韓 高等中學校 詩敎育의 영향과 관련하여-"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0 (30): 277-298, 2002

      8 윤해연, "중국에서의 한국어문학 교육의 문제점과 그 해법 in: 동아시아한국학입문" 역락 237-255, 2008

      9 홍정선, "중국 조선족문학에 미친 중국문학과 북한문학의 영향 연구" 국학자료원 26 : 202-244, 2003

      10 이종순, "중국 조선족 문학교육 연구-중․고등학교 조선어문과목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2002

      11 황규수, "중국 조선족 고중(高中) 신편(新編)『조선어문』 수록 시 연구"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8) : 149-171, 2009

      12 황규수, "중국 조선족 初中 新編 『조선어문』收錄 詩 考察"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6 (36): 501-521, 2008

      13 연변교육출판사 조선어문편집실, "조선족고급중학교교과서 조선어문(필수)①〜④" 연변교육출판사 2007

      14 연변교육출판사 조선어문편집실, "조선족고급중학교교과서 조선어문(선택, 시가와 수필 감상)" 연변교육출판사 2008

      15 김경훈, "조선족 초중 ≪조선어문≫ 교재 연구 -소설과 시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문학교육학회 (26) : 305-320, 2008

      16 연변교육출판사 조선어문편집실, "의무교육조선족학교교과서 조선어문 9학년용(상권·하권)" 연변교육출판사 2007

      17 연변교육출판사 조선어문편집실, "의무교육조선족학교교과서 조선어문 7학년 상권〜8학년 하권" 연변교육출판사 2004

      18 김양희, "북한의 문학 교육-인민학교, 고등중학교 시 교육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15 : 169-216, 2005

      19 이명재, "민족시인 심연수 문학론 in: 20세기 중국조선족문학사료전집 제1집(심연수 문학편)" 중국조선민족 문화예술출판사 532-576, 2004

      20 윤경수, "문학(중학교 제5학년용, 2판)" 교육도서출판사 2001

      21 김창덕, "문학(고등중학교 제6학년용, 2판)" 교육도서출판사 2001

      22 리혜숙, "문학(고등중학교 제4학년용, 2판)" 교육도서출판사 2002

      23 이인제, "남북한 초․중등 국어과 교육 과정 및 교과서 통합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0

      24 홍기천, "국어(중학교 제2학년용, 3판)" 교육도서출판사 2002

      25 홍기천, "국어(고등중학교 제3학년용, 3판)" 교육도서출판사 2002

      26 홍기천, "국어(고등중학교 제1학년용, 3판)" 교육도서출판사 2002

      27 문무영, "개편된 북한 교과서의 체제와 내용" 한국어문교육연구회 111 : 260-283, 2001

      28 량선옥, "<지식 정보화시대에 대비한 조선어문 교재의 연구와 개발>, 《인터넷 ‘문화산맥’》" 중국연변조선족문화발전추진회

      29 김양희, "80년대 이후 북한의 『국어』 교과서 연구"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13 : 373-402,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12-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Association of Korean Education KCI등재
      2013-12-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Modern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 KOREAN EDUC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6 1.06 1.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8 0.95 1.479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