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Goryeo Dynasty, Gyo-Ju-Do(Administrative District) was one of the five local governments that had jurisdiction over Gyo-Ju(交州), Chun-Ju(春州), Dong-Ju(東州) and local administrative areas under the districts. The formation and transition of...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237358
최동녕 (서울역사편찬원)
2019
Korean
교주도(交州道) ; 동계(東界) ; 삭방도(朔方道) ; 춘주도(春州道) ; 안찰사(按察使) ; 영동(嶺東) ; 영서(嶺西) ; Gyo-Ju-Do(交州道) ; Dong-Gye(東界) ; Sakbang-Do(朔方道) ; Chun-Ju-Do(春州道) ; Anchal-sa(按察使) ; Yeongdong(嶺東) ; Yeongseo(嶺西)
KCI등재
학술저널
1-30(30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Goryeo Dynasty, Gyo-Ju-Do(Administrative District) was one of the five local governments that had jurisdiction over Gyo-Ju(交州), Chun-Ju(春州), Dong-Ju(東州) and local administrative areas under the districts. The formation and transition of...
In Goryeo Dynasty, Gyo-Ju-Do(Administrative District) was one of the five local governments that had jurisdiction over Gyo-Ju(交州), Chun-Ju(春州), Dong-Ju(東州) and local administrative areas under the districts. The formation and transition of such Gyo-Ju-Do are closely related to the geographically adjacent Dong-Gye(Eastern Border).
The origin of Gyo-Ju-Do and Dong-Gye(Eastern Border) is derived from Sakbang-Do(朔方道). Sakbang-Do is one of the 10 administrative areas when Do-system(Local Administrative Area System) was implemented as the part of local system reorganization in 995(14thyear of King Seongjong). Sakbang-Do is a region which covers 7 states and counties and it had jurisdiction over current Hamgyong-Do Province and Gangwon-Do Province. While each state and country belonged to Sakbang-Do centering on Anbyeon Dohobu(安邊都護府, Local Administrative Organization), Jeonun-sa(轉運使) who was in charge of taxation and inspection and Byeongma-sa(兵馬使) in charge of military administration co-existed in a provincial unit level.
Later, Sakbang-Do was divided into Dong-Gye(Eastern Border) and Chun-Ju-Do(春州道). After the division, Yeongdong was remained to be Dong-Gye while Yeongseo became the southern province. After becoming the southern province, Chun-Ju-Do was differentiated from Dong-Gye as Gammu or Anchal-sa was dispatched to Chun-Ju-Do. Also, the center of the Chun-Ju-Do was Anyang Dohobu(安陽都護府) which was promoted from Chunju.
However, Dong-Ju and Anyang Dohobu were defeated after the invasion of Khitan in 1217(4thyear of King Gojong). Furthermore, Dong-Ju and Chung-Juwere massively damaged and demoted after 5th invasion of Mongolian military in 1253. This led to change in name of Do-system(Local Administrative Area System). During the King Gojong period, the names were frequently changed from Chun-Ju-do, Gyo-Ju-Do, Dong-Ju-Do, to Gyo-Ju-Do because of the repeated promotions and demotions of provincial centers due to invasion of the foreign enemies. As a result, Gyo-Ju which had relatively less damage from the war became the center of Gyo-Ju-Do and Gyo-Ju-Do became the definite name of the province.
Later, the status of Gyo-Ju-Do started to change when Ssangseong Chonggwanbu(雙城摠管府) was established and Dong-Gye was largely reduced.
Due to reduction of Dong-Gye, Gyo-Ju-Do became the practical military border of Goryeo. In King Chungson period, Gyo-Ju and Dong-Ju were spotlighted as the new local base and got promoted to Hoeyangbu(淮陽府) and Cheorwonbu(鐵 原府) respectively. Especially, Cheollyeong of Hoeyangbu was regarded as the strategic military point and got the name ‘Hoeyang-Do(淮陽道)’.
In addition, after the reduction of Dong-Gye, Yeongdong’s Gangneung-Do and Yeongseo’s Gyo-Ju-Do carried out united operation. They were integrated to ‘Dong-Gye Gyo-Ju-Do(東界交州道)’, ‘Gangneung Gyo-Ju-Do’, or ‘Gyo-Ju Gangneung-Do’ under discussion and they were operated by dispatching Anryeomsa(按廉使) or Gyejumsa(計點使). In 1356(5th year of King Gongmin), Ssangeong Chonggwanbu was recovered and Dong-Gyegot expanded. In response, the Gangneung-Do regions located in the southern side of Cheollyeong became the southern province. In 1388(14th year of King U), Yeongdong and Yeongseo were finally integrated and unified into Gyo-Ju Gangneung-Do. At the same time, Dogwanchal Chulchuk-sa(都觀察黜陟使) of Yangbu Daeshin(兩府大 臣) was dispatched and it became a definite provincial unit. From late Goryeo Dynasty and early Joseon Dynasty, Gyo-Ju Gangneung-Do arranged the grounds for changing into Gangwon-Do.
국문 초록 (Abstract)
고려시대 交州道는 交州·春州·東州와 그곳에 소속된 속현들을 관할하던 5道의하나였다. 교주도가 형성되고 변천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지역적으로 인접했던 東界 와 밀접한 연관성이 있었...
고려시대 交州道는 交州·春州·東州와 그곳에 소속된 속현들을 관할하던 5道의하나였다. 교주도가 형성되고 변천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지역적으로 인접했던 東界 와 밀접한 연관성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교주도와 동계는 朔方道에서 비롯되었다. 995년(성종 14)에 지방제도 개편으로道制가 실시될 때, 10道의 하나였던 삭방도는 7州 62縣을 아우르는 영역으로써지금의 함경도와 강원도 일대를 관할하였다. 삭방도 관내의 安邊都護府를 중심으로각 州縣이 이곳에 소속되었지만, 도 단위 차원에서도 租賦 및 외관감찰 업무를 담당하던 轉運使와 군정업무를 총괄하던 兵馬使가 병존하였다.
삭방도는 이후에 동계와 春州道로 분화되었다. 교통체계의 편의를 고려해서 태백산맥을 기준으로 嶺東은 동계로 남겨두고 嶺西는 남도화한 조치였다. 남도화 된춘주도에는 監務나 按察使를 파견하여 동계와 구별하였고, 춘주를 安陽都護府로승격하기에 이른다.
그러나 안양도호부는 1217년(고종 4) 거란유종의 침입과 1253년 몽골군의 5차침입에 막대한 피해를 받게 되었다. 이는 곧 안양도호부의 강등과 도의 명칭변화로이어졌다. 고종대 춘주도-교주도-동주도-교주도로 잦은 명칭변화가 발생했던 것은외적의 침입으로 인해 도내의 중심지들이 陞降을 거듭했기 때문이었다. 결국은 상대적으로 전란의 피해가 적었던 교주를 교주도의 중심으로 삼으면서, 이때부터 교주도는 확고한 도의 명칭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이후 교주도의 위상이 변화하게 된 계기는 원의 雙城摠管府가 설치되어 동계가대규모로 축소되면서 부터이다. 동계의 축소로 인해 교주도는 고려의 실질적인 군사접경지대가 되었고, 충선왕대 교주와 동주는 새로운 거점지역으로 주목되어 각각淮陽府와 鐵原府로 승격되었다. 특히 회양부의 鐵嶺은 군사적 要害地로서 중시되었는데, 이에 따라 도의 명칭을 ‘淮陽道’라고 부르기도 했다.
아울러 동계가 축소되면서 영동의 江陵道와 영서의 교주도를 통합·운영하는 양상도 보였는데, 사안에 따라 ‘東界交州道’, ‘江陵交州道’, ‘交州江陵道’ 등으로 통합하여 按廉使나 計點使를 파견하였다. 나아가 1356년(공민왕 5)에 쌍성총관부를 수복하고 동계가 그 이전보다 크게 확장되자 철령을 기준으로 남쪽에 위치한 강릉도일대까지도 남도화 되는 양상을 보인다. 그리고 마침내 1388년(우왕 14)에는 영동과영서를 병합하여[幷嶺東西] 교주강릉도로 일원화하고 동시에 兩府大臣의 都觀察黜 陟使를 파견함으로서 확고한 도 단위로 정착하게 되었다. 이로서 교주강릉도는 고려말 조선초를 거치면서 강원도로 변천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참고문헌 (Reference)
1 金甲童, "羅末麗初의 豪族과 社會變動 硏究" 高麗大學校民族文化硏究所 1990
2 허인욱, "호남읍지湖南邑誌의 고려시대안렴사按廉使 명단 검토" 한국국학진흥원 (32) : 199-233, 2017
3 金潤坤, "한국 중세의 역사상" 영남대학교출판부 2001
4 박종기, "지배와 자율의 공간, 고려의 지방사회" 푸른역사 2002
5 위은숙, "전근대 동해안 지역사회의 운용과 양상" 景仁文化社 2005
6 한기문, "상주본 『慶尙道營主題名記』의 고려 경상도 안찰사 명단 검토" 대구사학회 125 : 31-60, 2016
7 윤경진, "고려후기 東北面의 지방제도 변화 - 州鎭의 변화를 중심으로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72) : 333-366, 2015
8 윤경진, "고려초기 10道制의 시행과 운영체계" 진단학회 (101) : 99-134, 2006
9 권영국, "고려전기 동북면과 동해안의 방어체제" 숭실사학회 (30) : 37-77, 2013
10 윤경진, "고려전기 道의 다원적 편성과 5道의 성립" 국학연구원 (135) : 1-46, 2006
1 金甲童, "羅末麗初의 豪族과 社會變動 硏究" 高麗大學校民族文化硏究所 1990
2 허인욱, "호남읍지湖南邑誌의 고려시대안렴사按廉使 명단 검토" 한국국학진흥원 (32) : 199-233, 2017
3 金潤坤, "한국 중세의 역사상" 영남대학교출판부 2001
4 박종기, "지배와 자율의 공간, 고려의 지방사회" 푸른역사 2002
5 위은숙, "전근대 동해안 지역사회의 운용과 양상" 景仁文化社 2005
6 한기문, "상주본 『慶尙道營主題名記』의 고려 경상도 안찰사 명단 검토" 대구사학회 125 : 31-60, 2016
7 윤경진, "고려후기 東北面의 지방제도 변화 - 州鎭의 변화를 중심으로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72) : 333-366, 2015
8 윤경진, "고려초기 10道制의 시행과 운영체계" 진단학회 (101) : 99-134, 2006
9 권영국, "고려전기 동북면과 동해안의 방어체제" 숭실사학회 (30) : 37-77, 2013
10 윤경진, "고려전기 道의 다원적 편성과 5道의 성립" 국학연구원 (135) : 1-46, 2006
11 한기문, "고려시대 상주계수관 연구" 景仁文化社 2017
12 윤경진, "고려시대 按察使의 기능에 대한 재검토 - 군사 및 사법 기능을 중심으로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65) : 193-226, 2014
13 박종진, "고려시기 지방제도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7
14 이정기, "고려시기 양계 병마사의 성립과 기능" 한국중세사학회 (24) : 137-172, 2008
15 박종진, "고려시기 안찰사의 기능과 위상" 국학연구원 (122) : 215-251, 2003
16 이정기, "고려시기 동계 영역의 변동과 도호부의 이동" 한국민족문화연구소 (47) : 241-267, 2013
17 윤경진, "고려말 조선초 東界의 운영체계 변화와 道의 재편" 한국중세사학회 (44) : 235-277, 2016
18 이인재, "고려말 안렴사와 도관찰출척사" 역사학연구소 (2) : 41-68, 1993
19 정은정, "고려말 東北面 경계의 공간분절과 多層的 권력" 부경역사연구소 (39) : 75-108, 2016
20 金東洙, "고려 중·후기의 監務 파견" 3 : 1989
21 한정훈, "고려 전기 兩界의 교통로와 운송권역" 한국사연구회 (141) : 123-156, 2008
22 신안식, "고려 고종초기 거란유종의 침입과 김취려의 활약" 한국중세사학회 (30) : 213-251, 2011
23 윤경진, "고려 按察使의 연원과 ‘五道按察使’의 성립" 규장각한국학연구원 (61) : 69-101, 2013
24 강원도사편찬위원회, "강원도사 4" 강원도사편찬위원회 2012
25 金潤坤, "麗代의 按察使制度 成立과 그 背景" (創刊) : 1985
26 金南奎, "高麗兩界地方史硏究" 새문社 1989
27 尹武炳, "高麗時代 州府郡縣의 領屬關係와 界首官" 17-18 : 1962
28 이진한, "高麗時代 守令의 京職 兼帶" 진단학회 (95) : 1-28, 2003
29 崔貞煥, "高麗時代 5道 兩界의 成立" 21 : 1998
30 邊太燮, "高麗政治制度史硏究" 一潮閣 1971
31 邊太燮, "高麗按察使考" 40 : 1968
32 朴京安, "高麗後期 土地制度硏究―13·14世紀 田制釐正政策의 推移―" 혜안 1996
33 崔貞煥, "高麗後期 5道 兩界의 變遷" 5 : 1998
34 尹龍爀, "高麗對蒙抗爭史硏究" 一志社 1991
35 金龍善, "高麗墓誌銘集成" 翰林大學校出版部 2012
36 河炫綱, "高麗地方制度의 一硏究(上·下)―道制를 中心으로―" 13-14 : 1962
37 "高麗史節要"
38 "高麗史"
39 邊太燮, "高麗前期의 外官制" 2 : 1968
40 정요근, "高麗前期 驛制의 整備와 22驛道" 45 : 2001
41 洪淵津, "高麗前期 道制의 成立과 그 性格" 17 : 1993
42 金南奎, "高麗 兩界의 監倉使에 對하여" 17-18 : 1973
43 崔貞煥, "高麗 政治制度와 祿俸制 硏究" 신서원 2002
44 崔東寧, "高麗 忠宣王代 地方制度의 개편과 그 의미" 高麗大學校 2018
45 河炫綱, "韓國中世史硏究" 一潮閣 1988
46 "稼亭集"
47 朴京安, "甲寅柱案考―忠宣王代의 田制 釐正을 중심으로―" 66 : 1990
48 "牧隱文藁"
49 江原道, "江原道史―歷史編―" 江原道史編纂委員會 1995
50 "東文選"
51 "新增東國輿地勝覽"
52 "拙藁千百"
53 "慶尙道地理志"
54 "宋史"
55 "太祖實錄"
56 "世宗實錄"
57 허인욱, "『慶尙道營主題名記』의 고려시대 按察使 명단 검토" 전북사학회 (50) : 29-80, 2017
58 정요근, "GIS 기반 고려시대 역사지도의 제작" 한국중세사학회 (37) : 307-342, 2013
59 박종기, "14세기 고려의 정치와 사회" 민음사 1994
60 김진수, "13세기 말 哈丹軍의 침공에 대한 高麗의 대응"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77) : 87-115, 2010
61 이강한, "1308~1310년 고려내 “牧・府 신설”의 내용과 의미 -충선왕대 지방제도[계수관제] 개편방향에 대한 검토-" 한국사연구회 (158) : 67-119, 2012
62 이창섭, "11세기 초 동여진 해적에 대한 고려의 대응" 고려사학회 (30) : 77-109, 2008
63 정요근, "11세기 동여진 해적의 실체와 그 침략 추이" 한국사학회 (107) : 45-88, 2012
냉전과 탈냉전 시기 한국 민족주의의 역사적 전개와 성격: 전쟁과 평화, 통일 문제를 중심으로
조지 포레스트(George Forrest, 1873-1932)의 윈난(雲南)식물채집과 이미지의 오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