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주경미, "李成桂 發願 佛舍利莊嚴具의 硏究" 한국미술사학회 257 (257): 31-65, 2008
2 "懶翁和尙歌頌"
3 최연식, "해남 대흥사소장 ‘탑산사동종’ 명문의 재검토" 6 : 2010
4 강호선, "한국불교의 계율전통" 53 : 2013
5 윤선태, "한국목간학회 하계워크샵 자료집"
6 박광연, "한국 오대산신앙 관련 자료의 재검토 - 『삼국유사』 기록의 비판적 해석 -" 한국사학회 (118) : 203-232, 2015
7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아름다운 금강산"
8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원 HK연구단, "테마 한국불교 3" 동국대출판부 2015
9 춘천시·춘천문화원, "춘천 정체성 확립을 위한 역사문화 아카이브 불교문화"
10 홍성익, "청평사와 한국불교" 경인문화사 2009
1 주경미, "李成桂 發願 佛舍利莊嚴具의 硏究" 한국미술사학회 257 (257): 31-65, 2008
2 "懶翁和尙歌頌"
3 최연식, "해남 대흥사소장 ‘탑산사동종’ 명문의 재검토" 6 : 2010
4 강호선, "한국불교의 계율전통" 53 : 2013
5 윤선태, "한국목간학회 하계워크샵 자료집"
6 박광연, "한국 오대산신앙 관련 자료의 재검토 - 『삼국유사』 기록의 비판적 해석 -" 한국사학회 (118) : 203-232, 2015
7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아름다운 금강산"
8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원 HK연구단, "테마 한국불교 3" 동국대출판부 2015
9 춘천시·춘천문화원, "춘천 정체성 확립을 위한 역사문화 아카이브 불교문화"
10 홍성익, "청평사와 한국불교" 경인문화사 2009
11 강호선, "조선 태조 4년 國行水陸齋 설행과 그 의미" 규장각한국학연구원 (62) : 199-234, 2013
12 강병희, "월정사 팔각구층석탑의 재조명" 2000
13 여성구, "원표의 생애와 천관보살신앙연구" 48 : 1993
14 최성은, "원주 법천사지의 고려시대 불교조각"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9 : 69-102, 2015
15 이창국, "원간섭기 민지의 현실인식-불교기록을 중심으로" 98 : 2001
16 김도윤, "오대산 월정사 공양보살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8
17 국사편찬위원회, "신앙과 사상으로 본 불교 전통의 흐름" 두산동아 2007
18 한기문, "신라말 고려초의 계단사원과 그 기능" 12 : 1988
19 문명대, "선림원지 발굴조사약보고" 10 : 1991
20 방동인, "삼화사의 창건과 역사성 검토" 8 : 1997
21 이인재, "북원경과 남한강 불교문화" 혜안 2016
22 김혜완, "보원사 철불의 조상 –고려초 원주철불과 관련하여" 14 : 2000
23 최성은, "나말여초 중부지역 철불의 양식계보" 8 : 1996
24 석길암, "나말여초 오대산 불교권의 재형성 과정과 배경" 한국사상사학회 (46) : 29-55, 2014
25 조범환, "나말여초 남종선 연구" 일조각 2013
26 최성은, "나말려초 중부지역 석불조각에 대한 고찰 -궁예 태봉(901~918)지역 미술에 대한 시고 -" 한국역사연구회 (44) : 29-64, 2002
27 최병헌, "김철준박사화갑기념사학논총" 1983
28 정병삼, "기록과 유물로 본 정암사의 창건과 전승" 한국사학회 (118) : 123-157, 2015
29 김탁, "금강산의 유래와 그 종교적 의미" 1 : 1993
30 이태호, "금강산의 고려시대 불교유적" 1 : 2012
31 박광연, "관단 사원과 계단(戒壇) - 고려전기 금산사의 교단에서의 위상 -" 한국불교학회 (88) : 7-30, 2018
32 홍대한, "고려전기 탑전보살상 고찰" 18 : 2003
33 권보경, "고려전기 강릉일대 석조보살상 연구" 수선사학회 (25) : 113-149, 2006
34 노명호, "고려역사상의 탐색" 새문사 2017
35 이종서, "고려시대사 2" 푸른역사 2017
36 주경미, "고려시대 월정사 석탑 출토 사리장엄구 再論" 진단학회 (113) : 61-97, 2011
37 김창현, "고려시대 금강산과 그 불교신앙" 부경역사연구소 (31) : 199-261, 2012
38 한기문, "고려시대 資福寺의 성립과 존재 양상" 민족문화연구소 (49) : 279-328, 2011
39 송은석, "고려시대 正趣菩薩 信仰과 正趣菩薩圖-보타락가산 신앙의 또 다른 측면-" 태동고전연구소 37 : 133-170, 2016
40 한기문, "고려시대 州縣 資福寺와 香徒의 역할" 동국역사문화연구소 (59) : 117-159, 2015
41 정성권, "고려시대 塔前 石造供養菩薩像의 등장과 전개" 불교미술사학회 21 : 43-79, 2016
42 강호선, "고려말 나옹혜근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43 김복순, "강원불교사연구" 소화 1996
44 "高麗史"
45 黃金順, "高麗 水月觀音圖에 보이는 『40華嚴經』 영향" 미술사연구회 (17) : 2003
46 "韓國金石全文"
47 김민구, "閔漬와 楡岾寺 五十三佛의 成立" 불교문화연구원 (55) : 567-604, 2010
48 "稼亭集"
49 정동락, "眞空(855~937)의 생애와 사상" 한국중세사학회 (26) : 5-40, 2009
50 "益齋亂藁"
51 "牧隱詩稿"
52 "楡岾寺本末寺誌"
53 김창호, "東海市 三和寺 鐵佛 銘文의 재검토" 12 : 1999
54 "東文選"
55 "東人之文四六"
56 "朝鮮金石總覽 上"
57 홍성익, "春川 淸平寺 藏經碑 復元을 위한 基礎資料 檢討" 한국문화사학회 (27) : 705-729, 2007
58 권덕영, "新羅 道義禪師의 初期 法系와 億聖寺" 신라사학회 (16) : 197-224, 2009
59 "新增東國輿地勝覽"
60 정병삼, "文殊寺藏經碑와 원간섭기 불교신앙의 한 경향" 규장각한국학연구원 (60) : 3-36, 2012
61 최연식, "師子山 禪門의 성립과정에 대한 재검토" 불교학연구회 21 : 219-257, 2008
62 文明大, "元曉系 華嚴宗 本尊佛 問題와 三和寺 鐵盧舍那佛像의 硏究" 한국미술사학회 236 : 2002
63 宋日基, "五臺山 月精寺 八角九層石塔 出土『全身舍利經』의 考察" 한국도서관·정보학회 33 (33): 2002
64 "三國遺事"
65 김상현, "三和寺鐵佛과 華嚴業 決言大大德" 11·12·13 : 1999
66 정영호, "三和寺 鐵佛과 三層石塔의 佛敎美術史的 照明" 8 : 1997
67 염중섭, "『오대산사적기(五臺山事蹟記)』의 판본과 민지(閔漬)의 자장전기(慈藏傳記) 자료 검토-새로 발견된 민지의 자장전기 자료를 중심으로-" 불교학연구회 46 : 121-147, 2016
68 최연식, "『삼국유사』 소재 오대산 관련 항목들의 서술 양상 비교" 인문과학연구소 (44) : 111-137, 2015
69 염중섭, "「노영魯英 필筆 고려高麗 태조太祖 담무갈보살曇無竭菩薩예배도禮拜圖」의 타당성 검토" 한국국학진흥원 (30) : 553-598, 2016
70 노명호, "《고려사》의 "僭擬之事"와 "大赦天下"의 "以實直書" -핵심이 삭제된 고려의 황제제도-"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60 : 2014
71 신동하, "‘이자현 제문’의 사료적 가치" 12 : 2006
72 강호선, "14세기 전반기 여·원불교교류와 임제종"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