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디아스포라적 관점에서 재외한인들의 경험을 재조명한다. 사례로는 모국으로의 ‘귀환’과 ‘이탈’을 경험해 온 조선족에 초점을 맞추어 그들의 모국신화와 초국적 이동, 배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704454
전형권 (전남대학교)
2006
-
Diaspora ; Overseas Korean ; migration ; transnatioalism ; ethnic network ; ethnicity ; Chinese Koreans ; 디아스포라 ; 재외한인 ; 이민 ; 초국가주의 ; 다중정체성 ; 조선족 ; 재외동포
KCI등재
학술저널
135-160(26쪽)
2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디아스포라적 관점에서 재외한인들의 경험을 재조명한다. 사례로는 모국으로의 ‘귀환’과 ‘이탈’을 경험해 온 조선족에 초점을 맞추어 그들의 모국신화와 초국적 이동, 배제...
이 논문은 디아스포라적 관점에서 재외한인들의 경험을 재조명한다. 사례로는 모국으로의 ‘귀환’과 ‘이탈’을 경험해 온 조선족에 초점을 맞추어 그들의 모국신화와 초국적 이동, 배제의 경험에 대해 그 보편성과 특수성을 이해한다. 월경 개척유민과 ‘박해도피형’ 디아스포라로 시작한 중국 조선족의 이민은 초국적 경험과 적응과정에서 점차 그 성격도 변한다. 중국 조선족은 현지국에서 역사적인 공로를 인정받아 비교적 성공적인 소수민족으로서 정착하였음에 비해, 모국에서는 과거 국적박탈 및 재외동포 대상 배제라는 차별을 경험해야 했다. 또한 한중수교 등을 계기로 한 지구적 차원의 노동력 이동과정에서 모국으로의 ‘노동귀환형’ 이민이라는 특수한 ‘디아스포라’ 위치를 경험하게 된다. 그런데 모국내에서 불법체류자로서 새로운 형태의 소외를 실감한 이들 재한 조선족은 다시 중국공민으로의 귀향운동이 가시화 되고 있다. 모국신화로부터 이탈이라는 이같은 현상은 기존 디아스포라의 관점에서는 포착되지 않은 조선족만의 특수한 경험으로서, 지구화 시대 디아스포라의 현상을 이해하는 새로운 시각을 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yths of Motherland, Transnational Labor Migrants, and Exit: A diasporatic perspectives on the Chinese Koreans in Korea
Myths of Motherland, Transnational Labor Migrants, and Exit: A diasporatic perspectives on the Chinese Koreans in Korea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인 디아스포라론의 사회학적 함의" 한울 2004
2 "한국 내 재외동포 노동자의 실태와 개선점" 2004
3 "코리안디아스포라 :재외한인의 이주, 적응, 정체성"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4
4 프레드 벅스텐, "코리안 디아스포라와 세계경제" 국제경제연구소 2003
5 전형권, "초국가주의 관점에서 본 화교 디아스포라와 네트워크" 대한정치학회 13 (13): 2005
6 임계순, "우리에게 다가 온 조선족은 누구인가" 현암사 2003
7 "세계의 한민족 2 중국" 서울: 통일원 1996
8 "법무부 홈페이지(http://www.moj.go.kr/)" 2005
9 "민족통합에 관한 네트워크 접근" 한림대민족통합연구소 1998
10 이채문, "망각속의 디아스포라:20세기 초기 하얼빈의 러시아인들" 7 (7): 2003
1 "한인 디아스포라론의 사회학적 함의" 한울 2004
2 "한국 내 재외동포 노동자의 실태와 개선점" 2004
3 "코리안디아스포라 :재외한인의 이주, 적응, 정체성"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4
4 프레드 벅스텐, "코리안 디아스포라와 세계경제" 국제경제연구소 2003
5 전형권, "초국가주의 관점에서 본 화교 디아스포라와 네트워크" 대한정치학회 13 (13): 2005
6 임계순, "우리에게 다가 온 조선족은 누구인가" 현암사 2003
7 "세계의 한민족 2 중국" 서울: 통일원 1996
8 "법무부 홈페이지(http://www.moj.go.kr/)" 2005
9 "민족통합에 관한 네트워크 접근" 한림대민족통합연구소 1998
10 이채문, "망각속의 디아스포라:20세기 초기 하얼빈의 러시아인들" 7 (7): 2003
11 "노동력의 국제이동" 서울대학교출판부 2001
12 "격동기의 중국조선족" 서울: 백산서당 2002
13 Werbner,, "The Place which is diaspora: citizenship, religion and gender in the making of chaordic transnationalism" 28 (28): 2002
14 Kim Hyung Chan, "The Korean Diaspora: Historical and Sociological Studies of Korean Immigration and Assimilation in North America" California Press
15 Osten Wahlbeck, "The Concept of diaspora as an analytical tool in the study of refugee communities" 28 (28): 2002
16 Nina Glick Schiller, "Terrains of blood and nation: Haitian transnational social fields" 22 (22): 1999
17 A. Appadurai, "Modernity at Large: Cultural Dimensions of Globalization"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96
18 Yoo Eui-Young, "Koreans in Los Angeles: Prospects and Promises"
19 Robin Cohen, "Global diasporas: An introduction" London: UCL Press, 1997
20 William Safran, "Diasporas in modern societies myths of homeland and return" 1991
21 Clifford James, "Diasporas" 9 (9): 1994
22 Abelmann,, "Blue Dreams: Korean Americans and the Los Angeles Riots" Harvard University Press 1995
23 "1990년대 이후 국민국가 독일의 재러 독일계 동포이주자에 대한 정책 고찰: 한국내 조선족 이주자에 대한 새로운 이론적 정책적 접근의 모색을 위하여" 재외한인학회 13 (13): 2003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4-11-04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Association of Northeast Asia Studies | ![]() |
2013-12-1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Northeast Asian Studies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5-29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한국동북아논총외국어명 : 미등록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9 | 0.49 | 0.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6 | 0.43 | 0.703 | 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