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박태일, "하위개념 실시형태 중 일부의 효과와 선행발명 실시형태 중 일부의 효과를 대비하여 선택발명의 진보성을 판단하기 위한 요건" 법원도서관 (108) : 2016
2 이진희, "의약용도발명의 명세서 기재요건 및 진보성, 특허법원 개원 20주년 기념논문집" (특별) : 2018
3 한승준, "선택발명의 진보성 판단에 일반발명 법리 개입의 필요성에 관하여 : 특허법원 2019. 3. 29. 선고 2018허2717 판결을 중심으로" 한국지식재산연구원 15 (15): 41-74, 2020
4 정차호, "선택발명의 진보성 법리에 관한 대법원 판결의 변경-대법원 2009. 10. 15. 선고 2008후736, 743 판결-"
5 김원준, "선택발명의 일부 효과가 현저한 경우 진보성 판단 -대법원 2012. 8. 23. 선고 2010후3424 판결-" 한국정보법학회 17 (17): 1-28, 2013
6 박영규, "선택발명의 신규성·진보성 판단을 위한 선행기술의 인정범위" 한국지식재산연구원 14 (14): 169-212, 2019
7 이헌, "선택발명의 신규성 및 진보성 판단 기준" 법원도서관 (112) : 2017
8 최승재, "선택발명에 대한 새로운 접근과 신규성 판단기준에 대한 연구" (73) : 2013
9 최승재, "선택발명에 대한 독일 법원의 태도"
10 최승재, "미국특허법" 법문사 2020
1 박태일, "하위개념 실시형태 중 일부의 효과와 선행발명 실시형태 중 일부의 효과를 대비하여 선택발명의 진보성을 판단하기 위한 요건" 법원도서관 (108) : 2016
2 이진희, "의약용도발명의 명세서 기재요건 및 진보성, 특허법원 개원 20주년 기념논문집" (특별) : 2018
3 한승준, "선택발명의 진보성 판단에 일반발명 법리 개입의 필요성에 관하여 : 특허법원 2019. 3. 29. 선고 2018허2717 판결을 중심으로" 한국지식재산연구원 15 (15): 41-74, 2020
4 정차호, "선택발명의 진보성 법리에 관한 대법원 판결의 변경-대법원 2009. 10. 15. 선고 2008후736, 743 판결-"
5 김원준, "선택발명의 일부 효과가 현저한 경우 진보성 판단 -대법원 2012. 8. 23. 선고 2010후3424 판결-" 한국정보법학회 17 (17): 1-28, 2013
6 박영규, "선택발명의 신규성·진보성 판단을 위한 선행기술의 인정범위" 한국지식재산연구원 14 (14): 169-212, 2019
7 이헌, "선택발명의 신규성 및 진보성 판단 기준" 법원도서관 (112) : 2017
8 최승재, "선택발명에 대한 새로운 접근과 신규성 판단기준에 대한 연구" (73) : 2013
9 최승재, "선택발명에 대한 독일 법원의 태도"
10 최승재, "미국특허법" 법문사 2020
11 강기중, "가. 선택발명에서의 진보성 판단 방법, 나. 이 사건 특허발명의 진보성 판단의 적법 여부(소극)" (45) : 2004
12 井關涼子, "知的財産高等裁判所特別部 平成30年4月13日 判決-進步性判斷の引用發明認定について-" (66) : 2019
13 中山信弘, "特許法" 弘文堂 2016
14 宮前尙祐, "数値限定発明の記載要件を判断した知財高裁判決を読む" 64 (64): 2011
15 Andrew V. Trask, "“OBVIOUS TO TRY”: A PROPER PATENTABILITY STANDARD IN THE PHARMACEUTICAL ARTS?" 76 : 2008
16 R. Polk Wagner, "Of Patents and Path Dependency: A Comment on Burk and Lemley" 18 (18): 1343-1345, 2003
17 Chaho JUNG, "Novelty of Selection Invention - Disclosure & Enabling Requirements of Prior Art -" Korean Lawyers Association 61 (61): 188-252, 2012
18 SCOTT R. CONLEY, "IRRATIONAL BEHAVIOR, HINDSIGHT, AND PATENTABILITY: BALANCING THE “OBVIOUS TO TRY” TEST WITH UNEXPECTED RESULTS"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