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선택발명의 진보성 판단기준으로서의 선택의 곤란성 - 대상판결: 대법원 2021. 4. 8. 선고 2019후10609판결 - = The Difficulties of the Selection as a Standard for Inventive Step of the Selection Inventio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Korean Supreme Court has clarified meaning of the selection invention standard in April 2021. Before this case, the standard for inventive step of selection invention has been repeatedly stipulated by many different Korean Courts in a number of cases. We could say that the jurisprudence under the context of the inventive step or non-obviousness of the selection invention is well established in a sense. The selection invention is an invention that states the element of a preceding or already publicized invention as its superordinate concept and whose elements entirely or partly consist of subordinate concepts derived from the above superordinate concept. Korean Supreme Court’s Decision, a patent can be granted to a selective invention on the following conditions. First, a preceding invention has not yet disclosed subordinate concepts comprising a concrete selective invention; second, subordinate concepts possess either different effects or substantially larger effects. In the decision 2021 of Korean Supreme Court, the difficulty of the selection is to be an element of the reason not to be rejected or invalidated in the context of the non-obviousness.
      In Japan and Korea for a while, the selection invention is understood as a non- invention because it is a sort of double patenting. However we can acknowledge the selection invention as an invention because it is useful from the industrial standpoint. Due to this reason, it has to be understood that the patent admissibility of them as a patent has to be narrowly tailored. This sense of understanding shows us that the ONLY case to be admitted as a patent up to now in the history of Korean Court is the Olanzapine case.
      In this paper after reviewing the attitude toward the selection invention of the countries including United States and European Union, we came to a conclusion that Japan and Korea are the two countries which apply the strict standard to the selection invention. However even the Japan seemed to turn their position to much a agreeable position to the selection invention since 2018.
      I was very doubtful to the effect ONLY standard of the selection invention and Korean Supreme Court 2021 decision come to be on the same page with my opinion. ①The difficulties of the selection among the candidates has to be the equivalent factor as is the same case with the difficulties of the assembly of the already existing parts and products. ②The meaning of the selection does not simply mean that the PHOSITA knew the any possible subset of the subordinate concepts. ③The non-obviousness can be denied when the inventor was suggested, motivated or taught by the prior art and it was very obvious to try the selection of the subordinate concepts.
      번역하기

      The Korean Supreme Court has clarified meaning of the selection invention standard in April 2021. Before this case, the standard for inventive step of selection invention has been repeatedly stipulated by many different Korean Courts in a number of ca...

      The Korean Supreme Court has clarified meaning of the selection invention standard in April 2021. Before this case, the standard for inventive step of selection invention has been repeatedly stipulated by many different Korean Courts in a number of cases. We could say that the jurisprudence under the context of the inventive step or non-obviousness of the selection invention is well established in a sense. The selection invention is an invention that states the element of a preceding or already publicized invention as its superordinate concept and whose elements entirely or partly consist of subordinate concepts derived from the above superordinate concept. Korean Supreme Court’s Decision, a patent can be granted to a selective invention on the following conditions. First, a preceding invention has not yet disclosed subordinate concepts comprising a concrete selective invention; second, subordinate concepts possess either different effects or substantially larger effects. In the decision 2021 of Korean Supreme Court, the difficulty of the selection is to be an element of the reason not to be rejected or invalidated in the context of the non-obviousness.
      In Japan and Korea for a while, the selection invention is understood as a non- invention because it is a sort of double patenting. However we can acknowledge the selection invention as an invention because it is useful from the industrial standpoint. Due to this reason, it has to be understood that the patent admissibility of them as a patent has to be narrowly tailored. This sense of understanding shows us that the ONLY case to be admitted as a patent up to now in the history of Korean Court is the Olanzapine case.
      In this paper after reviewing the attitude toward the selection invention of the countries including United States and European Union, we came to a conclusion that Japan and Korea are the two countries which apply the strict standard to the selection invention. However even the Japan seemed to turn their position to much a agreeable position to the selection invention since 2018.
      I was very doubtful to the effect ONLY standard of the selection invention and Korean Supreme Court 2021 decision come to be on the same page with my opinion. ①The difficulties of the selection among the candidates has to be the equivalent factor as is the same case with the difficulties of the assembly of the already existing parts and products. ②The meaning of the selection does not simply mean that the PHOSITA knew the any possible subset of the subordinate concepts. ③The non-obviousness can be denied when the inventor was suggested, motivated or taught by the prior art and it was very obvious to try the selection of the subordinate concep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대상판결은 선택발명의 경우에도 다른 발명과 같이 진보성 판단에 있어서 구성의 곤란성을 고려하도록 함으로써 정립된 법리라고 할 정도로 반복되고 있었던 기존 판례를 정리한 의미를 가진다. 대법원은 기존 하급심이나 실무해석이 대법원 판결의 취지를 오해했다는 것으로 정리할 수 있겠다. 선행 또는 공지의 발명에 구성요건이 상위개념으로 기재되어 있고 위 상위개념에 포함되는 하위개념만을 구성요건 중의 전부 또는 일부로 하는 선택발명은, 첫째, 선행발명이 선택발명을 구성하는 하위개념을 구체적으로 개시하지 않고 있으면서(신규성), 둘째, 선택발명에 포함되는 하위개념들 모두가 선행발명이 갖는 효과와 질적으로 다른 효과가 있거나, 질적인 차이가 없더라도 양적으로 현저한 차이가 있는 경우(진보성)에 한하여 특허를 받을 수 있다는 결론은 이제 선택의 곤란성이 인정되면 진보성이 부정되지 않는다는 것이 판례의 태도로 정리되었다.
      선택발명은 중복발명이므로 원래 특허를 받을 수 없는 것을 예외적으로 산업상의 필요가 있어서 특허를 인정하는 것이니 엄격하게 특허요건을 적용하여야 하고, 양적인 측면에서의 효과의 현저성 또는 질적인 효과의 차이가 존재하여야 진보성을 인정할 수 있다고 보는 일본 법원의 태도에서 벗어나 선택발명이라고 해서 선택의 곤란성, 즉 구성이 진보성 판단에서 고려될 수 없는 것은 아니라고 판단한 것이다. 이는 미국의 태도와 유사하게 접근한 것이며, 우리나라의 법문과도 부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다른 나라가 어떤 입장을 취했는지의 문제와는 별개로 필자는 기본적으로 선택발명이 중복발명인지 부터가 의문이다. 그리고 선택발명의 진보성 판단에서 선택의 곤란성은 결합발명에서의 결합의 곤란성과 마찬가지로 진보성의 근거가 된다. 선택이 가능하다는 것은 막연한 선택의 가능성이 아니라 그와 같은 선택을 할 가능성, 즉 그런 시도를 하는 것이 자명한 것인가의 문제가 되어야 하며, 이런 점에서 선택발명에서도 효과의 측면뿐만 아니라 선택(구성)의 곤란성도 선택발명에서 진보성이 인정되어야 할 근거가 된다. 이런 측면에서 본고에서는 미국 법원의 시도자명 법리를 참고하여 선택발명에서의 선택의 곤란성을 진보성 판단기준으로 보아야 한다는 입론을 제시하였다. 이런 논의는 특허법원 2019. 3. 29. 선고 2018허2717 판결(아픽사반 판결)을 파기환송한 대법원의 판결(대상판결)에 의해서 채택되었다. 대법원의 판결태도는 타당하다고 보이며, 향후 법리에 따른 판례들을 통해서 적용례가 정립될 것으로 기대한다.
      번역하기

      대상판결은 선택발명의 경우에도 다른 발명과 같이 진보성 판단에 있어서 구성의 곤란성을 고려하도록 함으로써 정립된 법리라고 할 정도로 반복되고 있었던 기존 판례를 정리한 의미를 가...

      대상판결은 선택발명의 경우에도 다른 발명과 같이 진보성 판단에 있어서 구성의 곤란성을 고려하도록 함으로써 정립된 법리라고 할 정도로 반복되고 있었던 기존 판례를 정리한 의미를 가진다. 대법원은 기존 하급심이나 실무해석이 대법원 판결의 취지를 오해했다는 것으로 정리할 수 있겠다. 선행 또는 공지의 발명에 구성요건이 상위개념으로 기재되어 있고 위 상위개념에 포함되는 하위개념만을 구성요건 중의 전부 또는 일부로 하는 선택발명은, 첫째, 선행발명이 선택발명을 구성하는 하위개념을 구체적으로 개시하지 않고 있으면서(신규성), 둘째, 선택발명에 포함되는 하위개념들 모두가 선행발명이 갖는 효과와 질적으로 다른 효과가 있거나, 질적인 차이가 없더라도 양적으로 현저한 차이가 있는 경우(진보성)에 한하여 특허를 받을 수 있다는 결론은 이제 선택의 곤란성이 인정되면 진보성이 부정되지 않는다는 것이 판례의 태도로 정리되었다.
      선택발명은 중복발명이므로 원래 특허를 받을 수 없는 것을 예외적으로 산업상의 필요가 있어서 특허를 인정하는 것이니 엄격하게 특허요건을 적용하여야 하고, 양적인 측면에서의 효과의 현저성 또는 질적인 효과의 차이가 존재하여야 진보성을 인정할 수 있다고 보는 일본 법원의 태도에서 벗어나 선택발명이라고 해서 선택의 곤란성, 즉 구성이 진보성 판단에서 고려될 수 없는 것은 아니라고 판단한 것이다. 이는 미국의 태도와 유사하게 접근한 것이며, 우리나라의 법문과도 부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다른 나라가 어떤 입장을 취했는지의 문제와는 별개로 필자는 기본적으로 선택발명이 중복발명인지 부터가 의문이다. 그리고 선택발명의 진보성 판단에서 선택의 곤란성은 결합발명에서의 결합의 곤란성과 마찬가지로 진보성의 근거가 된다. 선택이 가능하다는 것은 막연한 선택의 가능성이 아니라 그와 같은 선택을 할 가능성, 즉 그런 시도를 하는 것이 자명한 것인가의 문제가 되어야 하며, 이런 점에서 선택발명에서도 효과의 측면뿐만 아니라 선택(구성)의 곤란성도 선택발명에서 진보성이 인정되어야 할 근거가 된다. 이런 측면에서 본고에서는 미국 법원의 시도자명 법리를 참고하여 선택발명에서의 선택의 곤란성을 진보성 판단기준으로 보아야 한다는 입론을 제시하였다. 이런 논의는 특허법원 2019. 3. 29. 선고 2018허2717 판결(아픽사반 판결)을 파기환송한 대법원의 판결(대상판결)에 의해서 채택되었다. 대법원의 판결태도는 타당하다고 보이며, 향후 법리에 따른 판례들을 통해서 적용례가 정립될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태일, "하위개념 실시형태 중 일부의 효과와 선행발명 실시형태 중 일부의 효과를 대비하여 선택발명의 진보성을 판단하기 위한 요건" 법원도서관 (108) : 2016

      2 이진희, "의약용도발명의 명세서 기재요건 및 진보성, 특허법원 개원 20주년 기념논문집" (특별) : 2018

      3 한승준, "선택발명의 진보성 판단에 일반발명 법리 개입의 필요성에 관하여 : 특허법원 2019. 3. 29. 선고 2018허2717 판결을 중심으로" 한국지식재산연구원 15 (15): 41-74, 2020

      4 정차호, "선택발명의 진보성 법리에 관한 대법원 판결의 변경-대법원 2009. 10. 15. 선고 2008후736, 743 판결-"

      5 김원준, "선택발명의 일부 효과가 현저한 경우 진보성 판단 -대법원 2012. 8. 23. 선고 2010후3424 판결-" 한국정보법학회 17 (17): 1-28, 2013

      6 박영규, "선택발명의 신규성·진보성 판단을 위한 선행기술의 인정범위" 한국지식재산연구원 14 (14): 169-212, 2019

      7 이헌, "선택발명의 신규성 및 진보성 판단 기준" 법원도서관 (112) : 2017

      8 최승재, "선택발명에 대한 새로운 접근과 신규성 판단기준에 대한 연구" (73) : 2013

      9 최승재, "선택발명에 대한 독일 법원의 태도"

      10 최승재, "미국특허법" 법문사 2020

      1 박태일, "하위개념 실시형태 중 일부의 효과와 선행발명 실시형태 중 일부의 효과를 대비하여 선택발명의 진보성을 판단하기 위한 요건" 법원도서관 (108) : 2016

      2 이진희, "의약용도발명의 명세서 기재요건 및 진보성, 특허법원 개원 20주년 기념논문집" (특별) : 2018

      3 한승준, "선택발명의 진보성 판단에 일반발명 법리 개입의 필요성에 관하여 : 특허법원 2019. 3. 29. 선고 2018허2717 판결을 중심으로" 한국지식재산연구원 15 (15): 41-74, 2020

      4 정차호, "선택발명의 진보성 법리에 관한 대법원 판결의 변경-대법원 2009. 10. 15. 선고 2008후736, 743 판결-"

      5 김원준, "선택발명의 일부 효과가 현저한 경우 진보성 판단 -대법원 2012. 8. 23. 선고 2010후3424 판결-" 한국정보법학회 17 (17): 1-28, 2013

      6 박영규, "선택발명의 신규성·진보성 판단을 위한 선행기술의 인정범위" 한국지식재산연구원 14 (14): 169-212, 2019

      7 이헌, "선택발명의 신규성 및 진보성 판단 기준" 법원도서관 (112) : 2017

      8 최승재, "선택발명에 대한 새로운 접근과 신규성 판단기준에 대한 연구" (73) : 2013

      9 최승재, "선택발명에 대한 독일 법원의 태도"

      10 최승재, "미국특허법" 법문사 2020

      11 강기중, "가. 선택발명에서의 진보성 판단 방법, 나. 이 사건 특허발명의 진보성 판단의 적법 여부(소극)" (45) : 2004

      12 井關涼子, "知的財産高等裁判所特別部 平成30年4月13日 判決-進步性判斷の引用發明認定について-" (66) : 2019

      13 中山信弘, "特許法" 弘文堂 2016

      14 宮前尙祐, "数値限定発明の記載要件を判断した知財高裁判決を読む" 64 (64): 2011

      15 Andrew V. Trask, "“OBVIOUS TO TRY”: A PROPER PATENTABILITY STANDARD IN THE PHARMACEUTICAL ARTS?" 76 : 2008

      16 R. Polk Wagner, "Of Patents and Path Dependency: A Comment on Burk and Lemley" 18 (18): 1343-1345, 2003

      17 Chaho JUNG, "Novelty of Selection Invention - Disclosure & Enabling Requirements of Prior Art -" Korean Lawyers Association 61 (61): 188-252, 2012

      18 SCOTT R. CONLEY, "IRRATIONAL BEHAVIOR, HINDSIGHT, AND PATENTABILITY: BALANCING THE “OBVIOUS TO TRY” TEST WITH UNEXPECTED RESULTS"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6-06-1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인권과정의 -> 인권과 정의
      외국어명 : 미등록 -> Human Right and Justice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1 0.41 0.4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6 0.43 0.478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