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종섭, "헌법학원론" 박영사 2014
2 권영성, "헌법학원론" 법문사 2008
3 김철수, "헌법학개론" 박영사 2007
4 성낙인, "헌법학" 法文社 [서울] 2009
5 국회의장자문기구 헌법연구자문위원회, "헌법연구자문위원회 결과보고서" 2009
6 전광석, "한국헌법론" 집현재 2018
7 이재강, "출입국항에서의 난민인정신청 문제에 대한 검토" 법학연구원 24 (24): 297-341, 2014
8 이일, "출입국항 난민신청제도 운영현황 및 변호인접견권의 헌법적 보장" 서울지방변호사회 2019
9 출입국,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월보"
10 성중탁, "출입국 외국인(난민)의 기본권 보장범위에 관한 헌재 결정 및 관련 법제에 대한 검토와 그 개선방안 - 헌법재판소 2018. 5. 31. 2014헌마346 결정을 중심으로 -" 한국행정판례연구회 25 (25): 337-381, 2020
1 정종섭, "헌법학원론" 박영사 2014
2 권영성, "헌법학원론" 법문사 2008
3 김철수, "헌법학개론" 박영사 2007
4 성낙인, "헌법학" 法文社 [서울] 2009
5 국회의장자문기구 헌법연구자문위원회, "헌법연구자문위원회 결과보고서" 2009
6 전광석, "한국헌법론" 집현재 2018
7 이재강, "출입국항에서의 난민인정신청 문제에 대한 검토" 법학연구원 24 (24): 297-341, 2014
8 이일, "출입국항 난민신청제도 운영현황 및 변호인접견권의 헌법적 보장" 서울지방변호사회 2019
9 출입국,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월보"
10 성중탁, "출입국 외국인(난민)의 기본권 보장범위에 관한 헌재 결정 및 관련 법제에 대한 검토와 그 개선방안 - 헌법재판소 2018. 5. 31. 2014헌마346 결정을 중심으로 -" 한국행정판례연구회 25 (25): 337-381, 2020
11 정태호, "외국인의 기본권주체성과 헌법해석의 한계" 헌법재판연구원 6 (6): 3-42, 2019
12 윤수정, "외국인의 기본권 주체성에 대한 고찰 ― 헌법 제6조 제2항의 해석을 중심으로 ―" 한국공법학회 48 (48): 107-130, 2019
13 최계영, "독일의 공항절차-절차적 보장과 변호사 조력을 중심으로-" 서울지방변호사회 2019
14 유엔난민기구, "대한민국 난민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 제정안에 관한 UNHCR의 의견"
15 신성식, "난민인정 절차의 실태와 개선방안" 한국범죄심리학회 16 (16): 137-148, 2020
16 이재강, "난민신청자의 변호사 도움을 받을 권리" 한국헌법학회 26 (26): 37-87, 2020
17 최유, "난민법에 대한 사후적 입법평가" 헌법재판연구원 2017
18 정금심, "난민 인권 보호를 위한 난민법 개정 방향 연구 - 난민 심사 및 난민 처우를 중심으로 -" 법조협회 67 (67): 645-698, 2018
19 김수연, "기본권 주체로서의 외국인" 유럽헌법학회 (7) : 291-322, 2010
20 정영훈, "국선변호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대한변호사협회 (479) : 91-114, 2019
21 Dae Keun Kim, "Legal Interpretation and Alternatives for Normalization of Asylum Procedure at Ports of Entry" Legal Research Institute of Korea University 93 : 73-114, 2019
22 Jeongyeon Kim, "Ensuring the right to ‘effective’ assistance of counsel in criminal proceedings" Korean Constitutional Law Association 25 (25): 1-36, 2019
23 대한변호사협회, "2018 인권보고서" 2019
24 난민지원네트워크, "2016년도 한국의 공항, 그 경계에 갇힌 난민들 - 공항에서의 난민신청 실태조사 보고서" 유엔난민기구 한국대표부 2016